메뉴 건너뛰기

아이오와주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12개국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는 다음달 1일부터 부과될 것이라면서 각국에 책정된 상호관세율은 “10∼20% 수준에서 60∼70%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한은 이날부터 발송되며 며칠 동안 서한이 추가로 발송된다. 블룸버그는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수치가 확정된다면 최고 상호관세율의 경우 지난 4월초 발표때보다 높은 수준일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이 압박 강도를 높이는 것은 관세 부과의 근거로 제시하는 무역적자가 5월 들어 다시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미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5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715억 달러로, 4월보다 113억 달러(18.7%) 증가했다. 미국의 무역적자는 관세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의 재고 확보 영향으로 3월까지 급증했다가 4월 들어 크게 줄었지만, 한달 만에 다시 늘어난 것이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관세 정책의 부작용으로 수출 둔화가 발생했다”고 지적하며 고율 관세로 인한 글로벌 수요 둔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한국을 상대로 한 무역적자 폭은 지난달 38억 달러에서 60억 달러로 확대했다. 반면 중국과의 교역에서 미국의 무역적자는 139억 달러로 2020년 3월(117억 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무역 합의에 성공한 베트남을 상대로 한 무역적자는 147억 달러로 중국보다 많았다.

한미 관세협상 추진 계획 보고하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한미 관세협의 통상조약법 절차 추진 계획 등을 보고 있다. 2025.7.4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미국과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한 한국 정부는 비상이 걸렸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밤 급히 미국을 찾아가 협상에 나선다. 지난달 22∼27일 여 본부장이 새 정부 출범 후 워싱턴 DC에서 첫 고위급 통상 면담을 진행한 지 약 일주일만이다. 여 본부장은 이번 방미를 통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고위급 면담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은 새 정부 출범 등으로 다른 국가보다 협상이 늦어졌는데, 상호관세 유예시한(8일) 앞두고 미국의 압박이 거세다. 최악의 경우 상호관세율이 적힌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받고, 협상을 이어가야 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 “(현재 현상 시한으로알려진) 7월 8일까지 끝낼 수 있는지도 확언하기 어렵다”며 “매우 쉽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일단 정부는 상호관세 부과를 추가로 유예하고 협상을 이어갈 뜻을 내비치고 있다. 여 본부장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고에서 “협상 진행 경과에 따라 필요시에 상호관세 유예 연장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협상을 타결할 수 있도록 고위급·실무급 협상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겠다”고 언급했다.

유예 방안이 있느냐는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는 “시한보다는 내실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 방미를 통해 윈-윈딜을 타결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좀 더 갖고 상호호혜적으로 협상을 가속하자는 메시지를 미국 측에 전달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여 본부장은 “정부에서는 현재 상황을 엄중하게 판단하고 있다”며 “일본 등 다른 나라들도 현재 결과를 예단하지 못하고 있다. 모든 시나리오를 면밀히 검토하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822 이진숙 “대단히 정치적인 목적 있어”…‘법인카드 유용’ 의혹 경찰 출석 랭크뉴스 2025.07.05
51821 ‘또 철수설’ 한국GM...미 관세 여파에 파업까지 ‘첩첩산중’[2025 100대 CEO] 랭크뉴스 2025.07.05
51820 [속보] 내란특검 “윤석열 오후 6시34분 조사종료…조서 열람 중” 랭크뉴스 2025.07.05
51819 "학폭 누명에 5년간 오디션 딱 1번"…'부부의 세계' 그 여배우 근황 랭크뉴스 2025.07.05
51818 "날도 더운데 시원한 맥주 한 잔?"…바람만 스쳐도 너무 아프다는 '이병' 늘어나고 있다는데 랭크뉴스 2025.07.05
51817 [속보] 내란 특검, 9시간30분 만에 윤석열 조사 종료 랭크뉴스 2025.07.05
51816 90세 생일 앞둔 달라이 라마 "130살 넘게 살고 싶다" 랭크뉴스 2025.07.05
51815 신동빈 VS 신동주...끝나지 않은 '롯데家' 전쟁 랭크뉴스 2025.07.05
51814 [속보] 내란특검 "尹 오후 6시34분 조사종료…조서 열람 중"…오후 조사 5시간24분만 랭크뉴스 2025.07.05
51813 '법카 유용 의혹' 이진숙, 경찰 출석 "자료 공개 후회, 정치적 목적 있다" 랭크뉴스 2025.07.05
51812 국민의힘 "민주당 '묻지마 추경' 강행, 협치 걷어찼다" 비난 랭크뉴스 2025.07.05
51811 위성락 안보실장 6∼8일 방미…관세·정상회담 협의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7.05
51810 이재명 대통령, 김상환 헌재소장 임명동의안 국회 제출 랭크뉴스 2025.07.05
51809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부터 1차 지급…1인당 15~45만원 랭크뉴스 2025.07.05
51808 트럼프,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엇 지원 재개 시사 랭크뉴스 2025.07.05
51807 [속보] 美관세 유예기간 종료 앞두고…위성락 안보실장 6일 방미 랭크뉴스 2025.07.05
51806 위성락 안보실장 6~8일 방미…한미 정상회담, 관세 논의할 듯 랭크뉴스 2025.07.05
51805 "더운데 마스크 써야 하나"…기침하다 사망하는 '이병' 164배 폭증했다는데 랭크뉴스 2025.07.05
51804 증시 중시하는 李 대통령…"아베노믹스와 비슷" 랭크뉴스 2025.07.05
51803 정부 "2차 추경 속도가 핵심가치"‥3개월 내 85% 이상 집행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