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0.3조원 세입 경정… ‘의무 지출’ 감액이 통상 수순
소비쿠폰 등 위해 지방 재원도 2.5조 투입… 지방 부담 고려
일부 교육청, 재정 부족에 지방채 발행 검토… ‘형평성’ 문제 제기도

이재명 정부의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대규모 ‘지출 구조조정’ 역시 확정됐다. 그 과정에서 내국세 수입에 연동돼 배분되는 법정 의무 지출 항목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과 지방교부세의 처리 방식이 엇갈렸다.

교육교부금은 약 2조원이 감액된 반면, 지방교부세는 기존대로 유지됐다. 민생회복소비쿠폰 등 주요 추경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방 정부도 조 단위 재정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을 감안한 것이다.

4일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뉴스1

4일 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2차 추경 과정에서 올해 세수 결손에 대응해 총 10조3000억원 규모의 세입 경정을 단행했다. 관례대로라면 내국세 수입이 줄면서 이를 기준으로 배정되는 지방교부세(내국세의 19.24%)와 지방교육재정교부금(내국세의 20.79%)도 감액되는 것이 통상적인 수순이다.

하지만 정부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만 1조9982억원 감액하고, 지방교부세에 대해서는 감액을 유보했다. 관련 법에 명시된 ‘2년 유예’ 조항을 지방교부세에만 적용한 것이다. 감액이 보류된 지방교부세 규모는 약 1조7000억원에 이른다.

정부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지자체의 재정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이 있다. 당초 정부가 마련한 추경안에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사업에 2조9000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등 나머지 사업에 약 8000억원 등 총 3조7000억원의 지방 재원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문제는 지자체들이 세수 감소로 이미 열악한 재정 상황에 놓여 있었다는 것이다. 2023년과 2024년에도 각각 8조1689억원, 2조2363억원의 지방교부세가 미교부되면서 재정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더해 추경안 심사 과정에서도 지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정이 이뤄졌다.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민생회복소비쿠폰 사업에 대한 지방 부담 비율이 기존 20~30%에서 10~25% 수준으로 낮아졌다.

동시에 비수도권(0원→3만원)과 인구감소지역(2만원→5만원) 거주 주민에 대한 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민생회복소비쿠폰 사업에 필요한 전체 예산이 늘어나긴 했지만, 지자체가 부담해야 할 총 추경 사업 재원은 2조5000억원으로 1조2000억원 줄어들었다. 다만 감액이 유보된 지방교부세 규모를 감안하더라도 지자체는 여전히 8000억원가량을 부담해야 한다.

정부 안팎에서는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방교부세와 마찬가지로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역시 지난 2년간 각각 10조3969억원, 4조2524억원 삭감되면서 시·도 교육청들이 재원 부족을 겪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추경 심사 과정에서 교육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여야를 막론하고 교부금 감액에 반발했지만, 추경안은 결국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인천·울산·충남·전남·제주 등 5개 교육청은 지방채 발행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정부 관계자는 “기존 민생회복소비쿠폰의 지방 부담률을 고려해 지방교부세 감액을 보류한 것인데, 추가로 지방을 더 지원하게 되면서 교육청이 더 억울해진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048 ‘대장동 의혹’ 정진상 보석조건 위반···지난달 귀가시간 두차례 어겨 랭크뉴스 2025.07.08
53047 "李 밑에서 수석하면 좋았겠어"‥'보수 선대위원장'의 보람 랭크뉴스 2025.07.08
53046 “부산은 25만원 필요 없다” 후폭풍…국힘서도 “박수영, 서민 삶 몰라” 랭크뉴스 2025.07.08
53045 김건희 특검, 윤상현·김영선 주거지 등 10여곳 전방위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
53044 숙명여대, 시교육청에 김건희 여사 교원자격 취소 신청(종합) 랭크뉴스 2025.07.08
53043 공사장에 앉은 채로 숨졌다…첫 출근 20대 노동자 비극, 뭔일 랭크뉴스 2025.07.08
53042 與 의원모임서 나온 ‘주택지분 공유제도’… “새로운 발상” 랭크뉴스 2025.07.08
53041 "이것 쓰면 체감온도 -10도"…40도 극한폭염 뚫을 생존 필수품 랭크뉴스 2025.07.08
53040 [단독] 한화오션, 美 해군 함정 정비사업 세 번째 수주 랭크뉴스 2025.07.08
53039 숙명여대, 서울시교육청에 김건희 여사 교원 자격 취소 신청 랭크뉴스 2025.07.08
53038 美 스타벅스, 식품서 ‘카놀라유’ 뺀다 랭크뉴스 2025.07.08
53037 [속보]117년 만에 7월 상순 최고기온···서울 ‘37.1도’로 아스팔트도 흐물흐물, 7월 초 맞아? 랭크뉴스 2025.07.08
53036 역대 가장 뜨거운 7월 첫 일주일…서울은 1908년 이래 최고기온(종합) 랭크뉴스 2025.07.08
53035 서울 기온 37.1도…117년만에 가장 더운 날 랭크뉴스 2025.07.08
53034 “대형참치 1300마리 잡았는데 전량 폐기?”…경북 앞바다에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7.08
53033 이재명 대통령, 이진숙 방통위원장에 경고 "개인 정치에 왜곡·활용하지 마라" 랭크뉴스 2025.07.08
53032 게토 잊었나…이스라엘, 220만 가자 주민 욱여넣는 ‘인도주의 도시’ 계획 발표 랭크뉴스 2025.07.08
53031 여름 힘든 게 나이 때문이 아니었어… 제주 폭염일수 82→180일 ‘껑충’ 랭크뉴스 2025.07.08
53030 이시영, 전 남편 냉동배아로 둘째 임신…"상대는 동의 안해" 랭크뉴스 2025.07.08
53029 “조합장이 돈 관리” 지역주택조합 3곳 중 1곳 ‘분쟁 중’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