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 도발을 유도했단 의혹과 관련해,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합동참모본부가 이 위험한 작전을 알고 있었다는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무인기 침투 직전 드론작전사령부 요원들이 뭔가 불안했는지, 여러 경로로 합참 측에 보고를 했다는 장교의 녹취록을 특검팀이 확보한 건데요.

또 원인 미상의 사유로 무인기 2대를 잃어버렸다고 기록한 사실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변윤재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 리포트 ▶

비상계엄 선포 두 달 전인 지난해 10월, 북한은 우리 군 무인기가 평양에 침투했다며 추락한 무인기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조선중앙TV (지난해 10월)]
"반드시 대가를 치러야 할 엄중한 군사적 공격 행위이다."

국방부 산하 국방과학연구소는 "북한이 공개한 무인기와 우리 군 무인기의 형상이 매우 유사하다"며 "핵심 부품도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계엄 선포를 위해 북한의 도발을 유도한 게 아니냐는 의혹에, 군은 강하게 부인했습니다.

[김명수/합참의장 (지난 1월 14일)]
"군은 그렇게 준비하거나 계획하거나 절대 없다는 것을 제 직을 걸고 말씀드립니다."

그런데 합동참모본부가 '무인기 침투'를 알고 있었다는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습니다.

당시 작전에 관여했다는 군 장교는 "무인기가 북한에 침투하기 직전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 측이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당시 “드론작전사령부 요원들이 불안에 떨며 합참 작전본부장 측에 여러 경로로 전화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의 반발로 무력 충돌이 우려되는 데다, 평양에 갔다 돌아오는 우리 군 무인기를 북한 무인기로 오인하지 않도록 '비공개 작전'을 보고한 것으로 의심됩니다.

또 무인기 북파 추정 시점을 전후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이승오 작전본부장과 김명수 합참의장을 잇달아 면담한 사실도 새로 확인됐습니다.

내란특검팀은 해당 군 장교의 녹취록을 확보해 이승오 작전본부장 등 일부가 '무인기 침투'에 관련됐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이 녹취록엔 "'무인기 침투'가 V, 즉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라고 들었다"며 "불안감 조성을 위해 무인기를 일부러 북한에 노출시킬 필요가 있었다"는 취지의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드론작전사령부가 지난해 10월과 12월 소형 무인기 2대를 잃어버리고, 조사에 나선 국방부 감사관실이 사유를 '원인 미상'으로 기록한 사실도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드론작전사령관의 보고는 "소형정찰드론 데이터링크 전투실험 결과 보고에 관한 사안이었다"며, '무인기 침투' 의혹에 대해선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반복했습니다.

MBC뉴스 변윤재입니다.

영상편집: 문명배 / 자료제공: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350 스테이블코인의 역습...투자판·정책 다 바꿨다 랭크뉴스 2025.07.09
53349 트럼프 ‘구리 50% 관세’ 발표에 구리 가격 1989년 이후 최대폭 급등 랭크뉴스 2025.07.09
53348 [팩트체크] 자녀 이름 몇 자까지 가능할까…이름의 변천사 랭크뉴스 2025.07.09
53347 윤석열 전 대통령 보좌한 '빅 4' 국무위원 운명은 랭크뉴스 2025.07.09
53346 "계엄 항명 안 한 것 후회"‥여인형의 '참회록' 랭크뉴스 2025.07.09
53345 윤석열 전 대통령 오늘 구속심사…“무관용 대응” 경찰 2천 명 투입 랭크뉴스 2025.07.09
53344 이제 美 공항에서 신발 안 벗어도 된다… “검사 의무 19년 만에 철폐” 랭크뉴스 2025.07.09
53343 서울대 문화관 새 단장… 이주용·최기주 부부 100억 원 기부 랭크뉴스 2025.07.09
53342 시간당 47.5㎜ 퍼부은 평택 청북…주상복합 건물서 '물난리' 랭크뉴스 2025.07.09
53341 “SK하이닉스 덕분에” 국민연금 주식평가액 2분기 35조원 폭등 랭크뉴스 2025.07.09
53340 [중견기업 해부] “IP 키운다더니”…3년 지나도 블핑 뿐인 양현석의 YG 랭크뉴스 2025.07.09
53339 ‘슬리퍼 활보’의 최후는?···윤석열, 오늘 구속영장 심사 랭크뉴스 2025.07.09
53338 삼성전자, 2분기 실적 부진에도… 증권가 “일회성 비용 해소, 하반기 이후 실적 개선 기대” 랭크뉴스 2025.07.09
53337 폐지 주워 모은 2억 원 기탁한 할머니‥또 기부 랭크뉴스 2025.07.09
53336 독점 갇힌 재보험·땅짚고 헤엄친 코리안리…경종 울린 대법 랭크뉴스 2025.07.09
53335 40도 넘긴 7월초 '역대급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9
53334 “세금 안 내는 난민, 왜 소비쿠폰 주나”…틀린 팩트로 뒤덮인 혐오 랭크뉴스 2025.07.09
53333 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미국에 너무 적게 지불” 랭크뉴스 2025.07.09
53332 한풀 꺾인 ‘부동산대학원 열풍’…부동산 경기·스타 교수 따라 ‘흥망성쇠’[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7.09
53331 美정부, 중국 포함 우려국 출신자의 미국내 농지 소유 차단 추진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