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소상공인·자영업자 악성 채무 탕감 정책과 관련해 “정상적으로 갚는 분들도 많이 깎아줄 생각이고, 앞으로도 (탕감 제도를) 추가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 '충청의 꿈 다시 키우다'에서 참석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 대통령은 이날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충청에서 듣다, 충청 타운홀 미팅’에서 “7년 동안 연체되고 5000만원 이하 장기 연체 소액 채권은 탕감하자”라며 이같이 밝혔다. 도덕적 해이를 우려하는 비판의 목소리엔 “갚을 능력이 되는데 빚을 탕감해줄지 모르니 7년 신용불량으로 살아보시겠냐”고 되묻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채무 탕감 정책을 설명하면서 ‘국가 책임’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코로나 당시 다른 나라는 국가 돈으로 위기를 넘어갔다”며 “우리는 개인에게 돈을 빌려줬다. 그래서 전부 빚쟁이가 됐다. 그래서 소상공인 빚쟁이가 많이 생겼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상공인이) 파산하고 문도 많이 닫았다”며 “정부가 책임져야 하지 않겠나. 그게 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혈세로 채무를 탕감해 준다’는 야당 비판엔 “사람들이 빚을 지면 신용불량이 된다. 통장이 있으면 압류당하니 취직도 못 하고 아르바이트도 못 한다”며 “정상적인 경제 활동을 못 하면 정부 입장에서 보면 손실”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런 것을 방치하는 것이 옳은가. 차라리 못 갚는 게 확실한 건 탕감하자”며 “이게 모두에게 좋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 '충청의 꿈 다시 키우다'에서 참석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날 이 대통령은 행사 도중 6·27 부동산 대출 규제를 만든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을 공개적으로 칭찬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권 처장을 “이번에 부동산 대출 제한 조치를 만들어낸 그 분”이라고 소개한 뒤 “주택 대출과 관련 정책은 전문가들을 모아 의견을 들어 아주 잘 정리한 것 같다”고 했다. 권 처장은 현재 공석인 금융위 부위원장 역할을 대행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달 27일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가계부채 안정화 방안을 전격 발표한 뒤 이튿날부터 곧바로 조치를 시행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기자회견에선 6·27 대책에 대해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며 “수요 억제책으로 이것 말고도 많다”고 말했다.

권 처장은 행사에서 이 대통령의 요청으로 정부 채무조정 제도를 소개했다. 그는 “성실 상환자에게도 저희가 많은 정책적 지원을 해왔다”며 “이자를 감면하거나 만기를 연장하거나 노력을 했다. 최근엔 은행권을 통해 이자를 150만원씩 감면해 통장에 넣어드렸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 '충청의 꿈 다시 키우다'에서 참석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과학 분야 특화 지역인 대전에서 행사가 열린 만큼 국가 연구·개발(R&D) 정책과 관련된 대화도 오갔다. 이 대통령은 “행정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쏟게 하지 말자”며 “국가 연구에서 성공률을 따지지 말자. 성공률은 기업에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R&D 예산 확대를 요구하는 과학기술인들에겐 “(새 정부가 앞장서)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첨단기술 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지원하고 육성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광주시장·전남지사·무안군수가 참여했던 지난달 25일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과 달리 이날 행사엔 국민의힘 소속인 이장우 대전시장 등 자치단체장이 빠진 채 일반 시민 350명이 참석했다. 다만 당초 목표로 했던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토론보다는 “혐오 시설을 옮겨달라” “재개발 사업 과정에서 보상이 부족했다”와 같은 민원 발언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대통령은 “국가적 과제나 국가 정책이라면 제가 얼마든지 권한을 가지고 재량을 행사하겠지만, 구청의 민원 문제는 제가 직접 뭘 하면 직권남용이 된다”며 “(이런 행사를 통해) 공통의 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양보하는 문화를 만들고 싶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60 “지금 서둘러야” 면허 갱신 미뤘다간 과태료 랭크뉴스 2025.07.06
52059 “장사 안돼서 접었어요”...폐업자 사상 최대 랭크뉴스 2025.07.06
52058 서·연·고 새내기 중 자사고·특목고 출신 비율 ‘뚝’···의대 정원 늘어서? 랭크뉴스 2025.07.06
52057 "마누라 빼고 다 바꿨다"...확 달라진 기아[2025 100대 CEO] 랭크뉴스 2025.07.06
52056 민주 “법꾸라지 尹의 사법농락…즉각 구속해야” 랭크뉴스 2025.07.06
52055 정은경, 재산 56억원 신고... 배우자 손소독제 주식 포함 랭크뉴스 2025.07.06
52054 친딸 40년 성폭행에 손녀까지…인면수심 70대 '징역 25년' 불복해 상고 랭크뉴스 2025.07.06
52053 美 텍사스주 돌발 홍수 피해 확대… 최소 32명 사망, 수 십 명 실종 랭크뉴스 2025.07.06
52052 위성락 안보실장 “대미 관세협상·안보 협의 중요 국면”···워싱턴서 루비오 국무장관 면담할듯 랭크뉴스 2025.07.06
52051 5·18 왜곡에 벌금형·무더기 기소…특별법 제정 4년 만 랭크뉴스 2025.07.06
52050 머스크 ‘신당 창당’ 발표에 떠는 서학개미 랭크뉴스 2025.07.06
52049 통상-안보, '올코트프레싱' 방미협상…主의제는 관세·정상회담 랭크뉴스 2025.07.06
52048 “참치에서 고부가가치 소재 뽑는다”… 블루푸드테크 뛰어든 동원F&B 랭크뉴스 2025.07.06
52047 SNS에서 인기 폭발한 현대차그룹 주차 로봇 동영상, 사실은··· 랭크뉴스 2025.07.06
52046 위성락 "대미 통상·안보 중요 국면... 한미 정상회담 등 협의" 랭크뉴스 2025.07.06
52045 친딸 40년 성폭행, 딸이자 손녀까지...인면수심 70대 '징역 25년' 불복해 상고 랭크뉴스 2025.07.06
52044 [속보]“장사 안돼서 접었어요”...폐업자 사상 최대 랭크뉴스 2025.07.06
52043 ‘왜 거기서’…인형뽑기 기계에 갇힌 20대, 자력 탈출 랭크뉴스 2025.07.06
52042 이진숙 ‘논문 가로채기 의혹’ 청문회 쟁점으로… 野 “연구윤리 파괴자, 사퇴하라” 랭크뉴스 2025.07.06
52041 한미 관세협상 “관세유예 협의, 제조업 협력 강조”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