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소상공인·자영업자 악성 채무 탕감 정책과 관련해 “정상적으로 갚는 분들도 많이 깎아줄 생각이고, 앞으로도 (탕감 제도를) 추가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 '충청의 꿈 다시 키우다'에서 참석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 대통령은 이날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충청에서 듣다, 충청 타운홀 미팅’에서 “7년 동안 연체되고 5000만원 이하 장기 연체 소액 채권은 탕감하자”라며 이같이 밝혔다. 도덕적 해이를 우려하는 비판의 목소리엔 “갚을 능력이 되는데 빚을 탕감해줄지 모르니 7년 신용불량으로 살아보시겠냐”고 되묻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채무 탕감 정책을 설명하면서 ‘국가 책임’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코로나 당시 다른 나라는 국가 돈으로 위기를 넘어갔다”며 “우리는 개인에게 돈을 빌려줬다. 그래서 전부 빚쟁이가 됐다. 그래서 소상공인 빚쟁이가 많이 생겼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상공인이) 파산하고 문도 많이 닫았다”며 “정부가 책임져야 하지 않겠나. 그게 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혈세로 채무를 탕감해 준다’는 야당 비판엔 “사람들이 빚을 지면 신용불량이 된다. 통장이 있으면 압류당하니 취직도 못 하고 아르바이트도 못 한다”며 “정상적인 경제 활동을 못 하면 정부 입장에서 보면 손실”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런 것을 방치하는 것이 옳은가. 차라리 못 갚는 게 확실한 건 탕감하자”며 “이게 모두에게 좋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 '충청의 꿈 다시 키우다'에서 참석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날 이 대통령은 행사 도중 6·27 부동산 대출 규제를 만든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을 공개적으로 칭찬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권 처장을 “이번에 부동산 대출 제한 조치를 만들어낸 그 분”이라고 소개한 뒤 “주택 대출과 관련 정책은 전문가들을 모아 의견을 들어 아주 잘 정리한 것 같다”고 했다. 권 처장은 현재 공석인 금융위 부위원장 역할을 대행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달 27일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가계부채 안정화 방안을 전격 발표한 뒤 이튿날부터 곧바로 조치를 시행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기자회견에선 6·27 대책에 대해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며 “수요 억제책으로 이것 말고도 많다”고 말했다.

권 처장은 행사에서 이 대통령의 요청으로 정부 채무조정 제도를 소개했다. 그는 “성실 상환자에게도 저희가 많은 정책적 지원을 해왔다”며 “이자를 감면하거나 만기를 연장하거나 노력을 했다. 최근엔 은행권을 통해 이자를 150만원씩 감면해 통장에 넣어드렸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 '충청의 꿈 다시 키우다'에서 참석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과학 분야 특화 지역인 대전에서 행사가 열린 만큼 국가 연구·개발(R&D) 정책과 관련된 대화도 오갔다. 이 대통령은 “행정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쏟게 하지 말자”며 “국가 연구에서 성공률을 따지지 말자. 성공률은 기업에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R&D 예산 확대를 요구하는 과학기술인들에겐 “(새 정부가 앞장서)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첨단기술 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지원하고 육성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광주시장·전남지사·무안군수가 참여했던 지난달 25일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과 달리 이날 행사엔 국민의힘 소속인 이장우 대전시장 등 자치단체장이 빠진 채 일반 시민 350명이 참석했다. 다만 당초 목표로 했던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토론보다는 “혐오 시설을 옮겨달라” “재개발 사업 과정에서 보상이 부족했다”와 같은 민원 발언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대통령은 “국가적 과제나 국가 정책이라면 제가 얼마든지 권한을 가지고 재량을 행사하겠지만, 구청의 민원 문제는 제가 직접 뭘 하면 직권남용이 된다”며 “(이런 행사를 통해) 공통의 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양보하는 문화를 만들고 싶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035 서울 기온 37.1도…117년만에 가장 더운 날 랭크뉴스 2025.07.08
53034 “대형참치 1300마리 잡았는데 전량 폐기?”…경북 앞바다에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7.08
53033 이재명 대통령, 이진숙 방통위원장에 경고 "개인 정치에 왜곡·활용하지 마라" 랭크뉴스 2025.07.08
53032 게토 잊었나…이스라엘, 220만 가자 주민 욱여넣는 ‘인도주의 도시’ 계획 발표 랭크뉴스 2025.07.08
53031 여름 힘든 게 나이 때문이 아니었어… 제주 폭염일수 82→180일 ‘껑충’ 랭크뉴스 2025.07.08
53030 이시영, 전 남편 냉동배아로 둘째 임신…"상대는 동의 안해" 랭크뉴스 2025.07.08
53029 “조합장이 돈 관리” 지역주택조합 3곳 중 1곳 ‘분쟁 중’ 랭크뉴스 2025.07.08
53028 [단독] 둘째 딸은 부모 없이 조기유학? 이진숙 후보자 초중등교육법 위반 의혹 랭크뉴스 2025.07.08
53027 86년 만에 가장 덥다…서울 등 전국 기온 역대 최고치 랭크뉴스 2025.07.08
53026 "68억원짜리 트럼프 '골드카드 영주권' 현실화 안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7.08
53025 환자단체 "스스로 떠난 전공의·의대생에 복귀 특혜 줘선 안돼" 랭크뉴스 2025.07.08
53024 이 대통령, 이진숙에 두 번째 경고?…“비공개 회의 내용 왜곡 활용 안 돼” 랭크뉴스 2025.07.08
53023 [속보]아스팔트도 흐물흐물, 7월 초 맞아? 서울 ‘37.1도’···117년 만에 7월 상순 최고기온 랭크뉴스 2025.07.08
53022 [속보] 김건희 특검, 윤상현·김영선 주거지 등 10여곳 전방위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
53021 李대통령 "비공개 회의내용, 정치 활용 안돼"…이진숙에 '경고' 랭크뉴스 2025.07.08
53020 송언석 “정치보복하지 마십시오”···특검의 윤상현 압수수색에 반발 랭크뉴스 2025.07.08
53019 40도 극한폭염 뚫을 생존 필수품…"이것 쓰면 체감온도 -10도" 랭크뉴스 2025.07.08
53018 7월 초인데 서울 '37.1도'…1908년 이래 최고기온 기록 랭크뉴스 2025.07.08
53017 푸틴의 해임 발표 몇 시간 뒤…러 교통장관, 총상 입고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7.08
53016 김건희 특검, '명태균 의혹' 김영선·윤상현·김상민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