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전서 두번째 타운홀 미팅, 14분 간 ‘채무 탕감’ 설명
“은행, 못 갚을 빚 끝까지 받아내는 건 부당이득”
도덕적 해이 지적엔 “7년 신불자로 살아보겠나”

“빚 못 갚아서 신용불량자 되면 통장 거래를 못 하죠. 그러면 회사 취직을 못 해요. 급여를 통장으로 받는데 통장이 없으니 알바도 못 하죠. 정상적인 경제 활동을 못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정부 입장에선 큰 손실이죠. 이걸 그냥 방치하는 게 과연 옳으냐. 못 갚는 게 확실하다면 차라리 싹 정리해버리는 게 모두에게 좋아요. 사실 이 문제 얘기하고 싶어서 대전에 온 측면이 있어요.”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진행한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 간담회에서 시민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대전서 두번째 타운홀미팅… “탕감 얘기하러 대전 왔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 시민 300여명을 초청한 타운홀 미팅에서 ‘소상공인·자영업자 코로나 채무 탕감’ 관련 채권자의 불만을 들은 뒤 내놓은 답변이다. 이 대통령은 정부가 소액(5000만원 이하)·장기(7년 이상) 연체자 빚을 탕감해줘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만 내리 14분을 할애했다.

이날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행사는 ‘충청에서 듣다’를 주제로, 이 대통령이 대전 지역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를 만나 악성채무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지난달 25일 광주에서 ‘군공항 이전’ 토론차 열린 타운홀 미팅에 이어 두 번째다. 참석자 300여명은 행사 당일 선착순으로 선택됐고, 이에 앞서 전날 대통령실 홈페이지에 행사 일정을 공개했다.

이 자리에선 이재명 정부의 핵심 금융정책인 ‘취약차주 채무 탕감 제도’가 주된 논쟁 거리로 회자됐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산하 채무조정기구(배드뱅크)를 설치하고, 7년 이상 연체된 5000만원 이하 무담보 개인 채권을 일괄매입하는 게 골자다. 정부 추경안에 담긴 내용이다. 정책이 시행되면, 113만여명의 장기 연체자가 혜택을 본다. 예상 규모는 총 16조4000억원이다.

일부 참석자는 이런 정책이 ‘도덕적 해이’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자칫 ‘안 갚아도 된다’는 시그널을 주고, 의도적인 채무 불이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성실하게 상환해 온 자영업자에 대한 역차별이란 지적도 나왔다. 자신을 채권자라고 소개한 한 참석자는 정부가 채무 관계에 강제 개입해 채권자를 역차별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열린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은행, 못 갚을 빚 끝까지 받아내는 건 부당”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토론 주제에 맞는 좋은 말씀이다. 그런 문제에 대한 토론을 해보자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사회적 입장에서 보면 타당한 측면이 있다. 정부 차원의 탕감 제도는 한국에만 있는 게 아니고 전 세계에 다 있다”라고 했다.

특히 은행이 채무자에 대한 ‘위험 예측 비용’을 이미 산정해 이자로 받았다면서, 장기 연체 채권에 대한 금융권의 추심은 ‘부당이득’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은행이) 10명 중 1명이 못 갚을 것을 계산해서 9명에게 이자를 다 받아 놨는데, 못 갚은 1명에게 끝까지 받아낸다. 이자를 이중으로 받는 것”이라면서 “이건 정리를 해주는 게 형평성에 맞다”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러면 ‘나도 안 갚아야지’ ‘나는 잘 갚는데 억울하다’는 생각이 드실 수 있는데, 제가 이 점을 말씀드리겠다”면서 “갚을 능력이 있는데 7년 지나면 탕감해줄지 모르니 신용불량 상태로 7년을 살아보시겠느냐”라고 물었다. 이어 “압류·경매 당하고 통장 거래 못하고, 신용불량 등재 돼 은행거래도 못 하고, (통장으로) 보수를 못 받으니 알바도 못하는 삶을 살아 보시겠느냐”라고 했다.

또 성남시장 재직 당시 채무 능력이 있어도 빚을 갚지 않는 일부 사례를 소개한 뒤 “그런 몇몇 극소수 사람 때문에 7년 간 빚을 못 갚아서 신용불량으로, 경제생활도 못하고 버티는 압도적 다수의 빚을 정리해주면 안 된다는 것이 사회경제적으로 바람직 하겠느냐, 인도적 차원에서, 채권자 입장에서 바람직 한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제가 오늘 여러분께 드리고 싶은 이야기의 핵심이 이것”이라고 했다.

향후 탕감 규모를 늘리겠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7년 간 5천만원 이하 자익 연체 소액채권은 탕감하는 예산을 이번 추경에 편성했는데, 정상적으로 갚고 있는 분도 많이 깎아줄 생각”이라면서 “앞으로도 좀 추가할 생각”이라고 했다. 성실 상환자에 대한 금리 혜택 등 관련 대책을 추가로 내겠다는 의미다.

이어 “다른 나라는 대부분 국가 돈으로 코로나 위기를 넘겼는데, 우리나라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에게 돈을 빌려줬다. 그래서 소상공인이 전부 다 빚쟁이가 됐다”면서 “이제 정부가 이것을 책임져야 하지 않느냐 하는 것이 제 생각”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81 5년 동안 25억8000만원···회삿돈 빼돌려 쓴 40대 경리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7.06
51980 "화장실에서 휴대폰 만지다가 '큰일'…손 씻어도 소용 없어" 전문가 경고보니 랭크뉴스 2025.07.06
51979 "더워 죽겠는데 이걸 산다고? 대체 왜?"…매출 5억 '대박' 터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7.06
51978 尹 3차 소환? 구속영장 청구?…2차조사 마친 내란특검 고심 랭크뉴스 2025.07.06
51977 참아라? 스폰지밥? 먹방? 러브버그가 부른 각양각색 '민낯들' 랭크뉴스 2025.07.06
51976 [샷!] 외국인이 한국 오면 꼭 하는 이것 랭크뉴스 2025.07.06
51975 '샤워하는 모습 보려고'…지인 집 몰래 들어간 30대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7.06
51974 납북자가족모임, 8일 임진각서 “대북 전단 살포 전면 중단” 공식 선언한다 랭크뉴스 2025.07.06
51973 '트럼프法'에 반기 든 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1972 갈 곳 못 정한 채···미 과학재단도 난데없이 내쫓긴다, 트럼프 몽니에 랭크뉴스 2025.07.06
51971 55년 만에 열린 ‘하늘 아래 가장 높은 샘’…한라산 백록샘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7.06
51970 "스타벅스가 한국에만 들여오더니"…'이것' 도입한 매장이 돈 더 벌었다 랭크뉴스 2025.07.06
51969 거리에서 제철 과일을 파는 여성 노인, '탄소 중립'의 조용한 실천자 랭크뉴스 2025.07.06
51968 1주일 만에 또 워싱턴행‥"관세 유예 또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7.06
51967 전 국민 15만 원‥비수도권·취약계층 더 두텁게 랭크뉴스 2025.07.06
51966 ‘트럼프 반기’ 머스크, 신당 창당…“오늘 아메리카당 출범” 랭크뉴스 2025.07.06
51965 초강력 대출규제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거래금액 65% ‘뚝’ 랭크뉴스 2025.07.06
51964 동물복지일까 농가 담합일까…달걀값이 오른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6
51963 “상반기 주인공 나였는데”… 증권가 하반기 금 가격 전망은 엇갈려 랭크뉴스 2025.07.06
51962 ‘라면 사무관’ 대신 ‘원가 분석’?···심상찮은 물가, 정부 대책은[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