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 주민 1명이 군사분계선(MDL)을 걸어 넘어와 관계 기관이 조사에 착수했다.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내 남북 단절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빈틈을 노린 계획적 귀순으로 보인다.

경기도 연천군 중서부전선 DMZ에서 육군 28사단 장병이 남방한계선 철책을 따라 경계시설물을 점검하며 이동하는 모습. 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는 4일 “전날(3일) 야간 중서부 전선에서 MDL을 넘어오는 북한 인원 1명의 신병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MDL 일대 하천에서 해당 남성을 식별해 추적·감시하다가 정상적인 유도 작전으로 신병을 확보했다고 합참은 설명했다.

군 당국에 따르면 해당 남성이 처음 군 감시장비에 포착된 시점은 3일 새벽 3~4시였다. 그는 연천, 파주 사이에서 MDL 역할을 하는 수심 1m 안팎의 하천을 건넌 뒤 수풀에 숨어 낮 시간대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다가 야간에 다시 이동을 시작했다.

군 작전팀은 남성과 100여m 떨어진 곳까지 접근해 육성으로 접촉을 시도했다. 군 관계자는 “우리 군 작전팀이 ‘대한민국 국군이다. 우리가 안전하게 안내하겠다’고 하면서 유도작전을 실시했다”며 “오후 11시쯤 DMZ를 나와 안전한 곳으로 함께 이동했다”고 말했다.

해당 인원은 군인이 아닌 민간인이라고 스스로를 소개했다고 한다. 정보당국 등 관계 기관의 추가 조사가 필요하지만, 군의 지시에 순순히 따랐다는 점에서 귀순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남하는 주변 지리를 간파하며 사전에 계획을 세워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 남쪽으로 넘어온 지점이 북한의 단절 공사가 이뤄지지 않은 지역이었다는 점에서다.

북한은 지난해 4월부터 전선 지역 여러 곳에서 불모지 조성, 지뢰 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보이는 미상 구조물 설치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정은의 남북 단절조치 지시에 따른 것이지만, 월남, 귀순 차단 등 내부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도 보인다는 게 군 당국의 평가였다.

그러나 자연 장애물이라고 할 수 있는 하천 지역에선 이런 공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해당 인원이 얕은 수심 등도 함께 고려해 귀순을 감행했을 수 있다는 의미다. 군 당국자는 “남하 지역에 미확인 지뢰가 있긴 하지만, 하천 특성상 흙이 드러나 있어 지뢰를 피하는 게 아주 까다로운 편은 아니다”고 말했다.
북한군이 서부전선 GP 일대에서 남북 단절 조치 공사를 진행하는 모습. 북한군이 작업도구와 '봉쇄'라는 글자가 적힌 간판을 들고 이동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

의도된 귀순이 맞는다면 북한 입장에선 경계태세에 상당한 구멍이 뚫린 셈이다. 실제 이날 작전이 이뤄지는 동안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남하를 눈치채지 못해 추격조를 붙일 생각도 못했다는 것이다.

북한 사회의 전반적인 민심 이반 현상이 해당 남성의 남하에 영향을 미쳤는지도 주목된다. 앞서 지난해 8~9월에는 MDL과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 세 차례 귀순이 연이어 발생했는데, 이들 대부분 생활고 등 북한 사회에 대한 염증을 토로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365 미 재무장관 “8월1일부터 상호관세 재부과”···관세 시한 사실상 미뤄 랭크뉴스 2025.07.07
52364 李 "입법은 국회 몫" 말하자…그 틈 파고든 與 강경파의 독주 랭크뉴스 2025.07.07
52363 대선 때 '옷차림 정치색 논란' 카리나 "너무 무지했다" 해명 랭크뉴스 2025.07.07
52362 특검 “비화폰 삭제 시도는 내란죄 연속선상에 있는 범죄”…윤석열 구속영장청구서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5.07.07
52361 대출 규제 열흘만에…호가 하락하는 서울 아파트[집슐랭] 랭크뉴스 2025.07.07
52360 "북한 보이는 스타벅스"…7개월새 김포 애기봉공원점 12만여명 랭크뉴스 2025.07.07
52359 ‘자사주 소각’ 논의 본격화… 與·국정위 논의 ‘속도’ 랭크뉴스 2025.07.07
52358 “엑스포도 말아먹더니”···‘해수부 이전 촉구 부결’에 부산이 부글부글[점선면] 랭크뉴스 2025.07.07
52357 “USDT 90% 미국 밖에서 사용”… 스테이블코인으로 ‘달러 패권’ 강화한다 랭크뉴스 2025.07.07
52356 OECD “한국 잠재성장률 올해 사상 처음 1%대로 하락 전망” 랭크뉴스 2025.07.07
52355 “한미 통상 협상 중요 국면”…통상 이어 안보 사령탑도 방미 랭크뉴스 2025.07.07
52354 "협상 중요 국면"‥"8월 1일 관세 부과" 랭크뉴스 2025.07.07
52353 [단독] 이진우, 작년 5월 드론사 찾아 합동 훈련 제안… 특검, 경위 파악 계획 랭크뉴스 2025.07.07
52352 [속보] 트럼프 "12∼15개국에 7일 관세 서한 발송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7.07
52351 화장품 ‘궁중비책’ 부진에…제로투세븐, 결국 인력 감축 랭크뉴스 2025.07.07
52350 책임지지 않도록 만들어 놓은 한국 퇴직연금[퇴직연금 인사이트] 랭크뉴스 2025.07.07
52349 “2배 배상·민증 게시 문제 안 삼죠?”…‘상품권 예판’ 거래로 번진 불법사채 랭크뉴스 2025.07.07
52348 고공농성 547일째···한국니토옵티칼 매출 37% 늘었는데 고용승계는 ‘모르쇠’ 랭크뉴스 2025.07.07
52347 ‘성장 모터’ 단 현대차...정의선의 ‘믿을맨’[2025 100대 CEO] 랭크뉴스 2025.07.07
52346 '석유부국' 기대 부푼 수리남, 첫 여성 대통령 선출…16일 취임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