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화재 2시간 전 아파트 정전도
경찰 "정전과는 무관"
부산 모든 학교에 화재 대응 매뉴얼 배포
3일 어린이 2명이 숨진 부산 기장군 한 아파트 화재 현장에서 소방당국과 경찰 등 관계 기관이 합동감식을 벌이고 있다. 뉴스1


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화재로 목숨을 잃은 자매의 사망 원인은 연기 흡입으로 추정된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견이 나왔다.

부산 기장경찰서는 4일 오전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서 자매를 부검한 결과 화상 외에 별다른 외상은 없었고, 다량의 연기를 들이마신 정황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경찰은 연기 흡입을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전날 실시한 합동 감식에선 에어컨 주변이 최초 발화지점으로 추정됐다. 에어컨 전원이 연결된 멀티탭에서는 전선이 끊어진 흔적이 발견됐다. 거실 바닥에는 화재를 확산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매트 등 가연성 물질이 깔려 있어 피해가 더욱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주민들은 사고 2시간 전 두세 차례 정전과 아파트 관리소의 ‘에어컨 사용 자제’ 안내방송을 근거로 전력 과부하를 화재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했지만, 경찰은 무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정확한 화재 원인은 다음 주 2차 합동감식 후 밝혀질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벽에 붙어있는 콘센트에 2구짜리 멀티탭이 연결돼 있었고, 한쪽에는 에어컨, 다른 한쪽에는 실외기가 꽂혀 있었다”며 “단락 흔적이 발견된 멀티탭 전선에서 불이 시작됐는지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2일 오후 11시쯤 부산 기장군의 한 아파트에서 8세·6세 자매가 화재로 숨졌다. 치킨집을 운영하는 자매의 부모는 당시 외출 중이었다. 지난달 24일에도 부산 부산진구의 한 아파트에서 부모가 새벽일을 나간 동안 10세·7세 자매가 화마로 목숨을 잃었다. 두 아파트 모두 스프링클러는 설치돼있지 않았다. 부산시는 이번 화재를 계기로 지역 내 모든 스프링클러 미설치 아파트를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연이어 어린 학생들이 화재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이날 ‘화재 발생 시 학생 행동 매뉴얼’을 제작해 유치원을 포함한 모든 학교에 배포했다. 매뉴얼에는 화재 발생 시 대피 요령, 연기를 피해 대피하는 자세, 119 신고 방법, 소화기 사용 방법, 완강기 사용법 등 상황별 구체적인 행동 지침이 담겼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화재는 아이들이 일상에서 가장 쉽게 마주칠 수 있는 위험”이라며 “비상 상황에서도 아이들이 스스로 침착하게 행동하고 생명을 지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안전 교육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605 이달 전국민에 지급되는 소비쿠폰, 지역·소득별로 금액 다르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04 [속보]윤석열 고검 현관 통해 2차 출석···오늘도 묵묵부답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03 [속보] 윤석열, ‘특검팀 통보’ 오전 9시 정각 서울고검 도착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02 [속보] 윤 전 대통령 탄 차, 서울고검 현관 앞 도착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01 [속보] 윤 전 대통령 서울고검 청사 도착…내란 특검 2차 조사 출석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00 [속보] '2차 소환' 尹, 이번에도 묵묵부답 조사실 직행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9 [단독] 합법적 절차 건너뛴 최초 계엄 선포문…사후 문건은 ‘급조’ 흔적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8 고효율 가전 사면 구매가 10% 환급…7월 4일부터 소급 적용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7 아시아나 품은 대한항공...세계 톱 항공사로 도약[2025 100대 CEO]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6 윤석열 2차 특검 출석…이번엔 ‘체포 저지’ 경찰 조사 순순히 받을까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5 87년 6월항쟁 학사징계자도 민주유공자 혜택 추진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4 “월 사용료는 27만원입니다”… 생성형 AI, 프리미엄 요금제 출시 잇따라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3 [메아리] '이대남 현상'이 두렵다면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2 "커지는 공포"...지진에 흔들리는 일본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1 비행기 출발 70일 전인데…취소 수수료가 30%?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90 통일부를 통일부라 부를 수 있을까 [뒷北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89 임박한 美 관세…사과 수입 검토, 통상 협상카드 급부상[Pick코노미]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88 소변 실수 치매 앓는 부친 살해한 아들, 2심도 징역 10년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87 SK텔레콤, 다시 부활할까?...파격 ‘승부수’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86 한여름, 어느 의사의 고독사…친형은 외제차 타고 나타났다 new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