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文 청와대 연설비서관 출신 신동호 시인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평가
"일상적이면서 구체적인 화법으로 공감"
"가장 인상적인 용어는 '정의로운 통합'"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후 첫 공식 기자회견을 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연설비서관을 지낸 신동호 시인이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3일) 화법에 대해 "지하철을 타 본 사람의 말 같았다"고 평가했다. 일상적이면서 구체적인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대중의 공감을 얻었다는 의미다.

신 시인은 4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출연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말은 뜬구름처럼 하늘에 떠다니면서 자기 혼자 노는 느낌이었지만, 이 대통령의 말은 지상에 내려와 내 삶과 일상에 딱 붙어 있는 느낌"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전날 이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열었는데,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한 '대통령의 언어'를 호평한 셈이다. 실제 대통령실은 연단을 없애고 이 대통령이 앉은 자리와 취재진 거리를 가깝게 배치하는 등 탈권위적 면모를 보이는 데 신경을 쓰기도 했다.

이 대통령 임기 중에는 '일상의 언어'가 정치 영역에서 자주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 시인은 "이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남북문제 해결 방안을 '부부 클리닉'에 비유해 설명하니 머리에 쏙쏙 들어왔다"며 "(공직사회에 빗댄) 로봇 태권브이는 '드디어 우리 세대의 대통령이 나왔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다만 대통령으로서 신중한 단어 선택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신 시인은 "(실언으로 구설에 휩싸였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전례가 있기 때문에 문재인 전 대통령은 단어 하나하나를 굉장히 자제했다"면서 "(이 대통령은) 그 두 분의 장단점을 잘 살려 나가면 그야말로 새로운 대통령의 언어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용어로는 '정의로운 통합'을 꼽았다. "(대한민국은) 정의로운 통합을 향한 여정을 시작했다. 이미 출범한 3대 특검이 국민의 명령에 따라 내란을 완전히 종식하고 헌법 질서와 민주주의를 재건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는 모두발언에 주목한 것이다. 신 시인은 "그동안 정치인들은 통합이라는 말을 추상적으로 사용했다"며 "(이 대통령은) '정의로운'이라는 수사를 붙임으로써 어떤 통합을 하겠다는 나름의 실천 방안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79 "더워 죽겠는데 이걸 산다고? 대체 왜?"…매출 5억 '대박' 터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7.06
51978 尹 3차 소환? 구속영장 청구?…2차조사 마친 내란특검 고심 랭크뉴스 2025.07.06
51977 참아라? 스폰지밥? 먹방? 러브버그가 부른 각양각색 '민낯들' 랭크뉴스 2025.07.06
51976 [샷!] 외국인이 한국 오면 꼭 하는 이것 랭크뉴스 2025.07.06
51975 '샤워하는 모습 보려고'…지인 집 몰래 들어간 30대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7.06
51974 납북자가족모임, 8일 임진각서 “대북 전단 살포 전면 중단” 공식 선언한다 랭크뉴스 2025.07.06
51973 '트럼프法'에 반기 든 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1972 갈 곳 못 정한 채···미 과학재단도 난데없이 내쫓긴다, 트럼프 몽니에 랭크뉴스 2025.07.06
51971 55년 만에 열린 ‘하늘 아래 가장 높은 샘’…한라산 백록샘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7.06
51970 "스타벅스가 한국에만 들여오더니"…'이것' 도입한 매장이 돈 더 벌었다 랭크뉴스 2025.07.06
51969 거리에서 제철 과일을 파는 여성 노인, '탄소 중립'의 조용한 실천자 랭크뉴스 2025.07.06
51968 1주일 만에 또 워싱턴행‥"관세 유예 또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7.06
51967 전 국민 15만 원‥비수도권·취약계층 더 두텁게 랭크뉴스 2025.07.06
51966 ‘트럼프 반기’ 머스크, 신당 창당…“오늘 아메리카당 출범” 랭크뉴스 2025.07.06
51965 초강력 대출규제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거래금액 65% ‘뚝’ 랭크뉴스 2025.07.06
51964 동물복지일까 농가 담합일까…달걀값이 오른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6
51963 “상반기 주인공 나였는데”… 증권가 하반기 금 가격 전망은 엇갈려 랭크뉴스 2025.07.06
51962 ‘라면 사무관’ 대신 ‘원가 분석’?···심상찮은 물가, 정부 대책은[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7.06
51961 “안그래도 힘든데 관리비 80% 넘게 올라”…자영업자의 눈물 랭크뉴스 2025.07.06
51960 대형마트들 3천원대 치킨전쟁…배달치킨보다 싸 완판행렬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