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잇슈머니 시작합니다.

오늘도 박연미 경제평론가 나오셨습니다.

첫 번째 키워드 '상법 개정 피하려 갖가지 꼼수' 라고 하셨네요.

어제 여야 합의로 강화된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주주의 권익 보호가 골자인데, 이 법을 피해 가려는 일부 기업들이 갖가지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새 상법 개정안은 상장 기업의 이사가 회사뿐 아니라 개인 주주의 이익도 고려하도록 하고, 감사가 제 기능을 하도록 대주주 측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내용이 담겼는데요.

이런 규정을 피해 가려는 일부 기업들이 상법 개정안 처리 직전까지 주주가 손해를 봐도 회사를 쪼개거나 유상증자에 나서 빈축을 사고 있습니다.

[앵커]

사회적인 분위기와 시대 조류에 완전히 역행하는 사례인데, 구체적인 내용을 좀 볼까요?

[답변]

네, 요즘 자금난 이야기가 끊이지 않는 롯데그룹 행태가 대표적입니다.

롯데렌탈은 지난 2월 최대 주주인 호텔롯데와 부산롯데호텔이 보유한 지분 약 56%를 사모펀드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에 팔았습니다.

이걸로 1조 6천억 원 규모의 자금을 마련한다는데, 주당 7만 7천 원 정도를 받기로 했습니다.

특이한 건 이 회사 주가가 상반기 내내 2만 원 중반대에서 3만 원 중반대를 맴돌았단 점입니다.

그걸 왜 7만 원 넘는 고가에 사주나 했더니, 롯데는 다 계획이 있었습니다.

주식을 파는 것과 동시에 롯데렌탈은 어피니티를 대상으로 2천억 원이 넘는 유상증자를 계획합니다.

주당 가치는 2만 9천 원 선으로 정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롯데 측 오너 일가는 시장가를 두 배나 웃도는 비싼 값에 보유 주식을 팔아서 좋고, 어피니티는 현재 거래가를 밑도는 헐값에 신주를 받아 지분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양측의 거래로 피해를 보는 건 개인입니다.

유상증자로 주식 수가 늘면 당연히 기존 주식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증권가에선 이걸 상법 개정 필요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로 꼽습니다.

[앵커]

또 다른 꼼수는 어떤 게 있었나요?

[답변]

이번에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태광산업 사례인데, 이 회사는 지난달에 회사 보유 자사주를 기초로 3천억 원 이상의 교환사채를 발행하겠다고 공시했습니다.

교환사채는 약속한 조건 충족 시 돈 대신 자사주로 바꿔주는 채권인데, 자사주일 땐 의결권이 없지만 이걸 제3자에게 넘기면 의결권이 살아납니다.

그래서 교환사채 발행은 통상 사주가 경영권 방어를 위해 우호 세력에게 자사주를 맡기는 행위로 간주되지요.

문제는 의결권을 갖고 있는 주식 수가 늘어나면, 역시 기존 보통주의 가치가 희석된다는 점입니다.

관련해 논란이 일고, 2대 주주가 가처분을 신청하자 태광 측이 일단 한발 물러섰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사례는 얼마든지 있는데요, 호반건설에 경영권을 위협받고 있는 대한항공 운영사 한진그룹과 LS그룹 간 교환사채 발행도 비슷한 케이스로 현재 당국이 주시 중입니다.

[앵커]

회사를 쪼개거나 아예 증시를 떠나겠다, 이런 곳도 있다고요?

[답변]

네, 일명 스킨부스터 리쥬란으로 유명한 파마리서치도 소액주주에겐 불리하게 회사를 쪼개려 해 여론의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지주사와 사업회사로 회사를 인적 분할한다는 건데, 분할 비율이 황당합니다.

지주사 74 대 사업회사 26 수준으로 분할 비율을 정했는데, 돈 버는 사업회사 분할 비율이 턱없이 낮지요.

주주들은 돈 안 되는 지주사 주식 많이 가져가라는 이 분할에 반대합니다.

분할 이후 지주사 주가 폭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라, 일각에선 승계 과정 진행 중인 이 회사가 일부러 지주사 주가를 낮춰 상속세를 줄이려는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 일부 기업은 아예 감시망 밖으로 벗어나겠다며 상장 폐지를 추진 중입니다.

최대 주주와 특수관계인이 지분 95% 이상을 확보하면 자진 상폐를 신청할 수 있는데, 현재 한솔피엔에스, 텔코웨어, 비올, 신성통상 등이 이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앵커]

하지만 상법 개정으로 강제하기 전에 솔선수범하겠다는 회사들도 많이 있지요?

[답변]

네, 그런 기업들이 훨씬 많습니다.

지난해 5월 전임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상법 개정까지 더해지면서 최근 1년 사이 160여 개 기업이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할 만큼 주주 친화 정책 펴는 기업이 늘었습니다.

앞으로 이런 분위기는 더 강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542 “병원이 호텔인가? VIP 특실 예약제 폐지하라” 서울대병원 노조 성명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41 "비서실장 이 빠진 거 안 믿어" 이랬던 강훈식도 이가 아프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40 세계 주요국, 美상호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美와 막판 협상 분주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9 자살 유가족의 ‘13년 고통’… 상담자에 마음의 문 열자 멈췄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8 트럼프 "10~12개국에 관세율 통보"...한국 "유예연장에 최선"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7 자포리자 원전, 외부 전력 끊겼다 복구…"작동 이상 없어"(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6 이스라엘, 휴전 논의 속 가자 공세…하마스 측 "138명 사망"(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5 구리 공급망 타격 입나…페루, '무허가 광부' 규제에 반발 격화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4 "'무한도전' 4K로 볼 수 있다고?"…2000년대 인기 드라마·예능, 초고화질로 재탄생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3 “원폭이 전쟁 끝냈다”…트럼프 ‘히로시마 발언’에 日 시민사회 분노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2 [비즈톡톡] “우리도 자릅니다”… AI 시대, 실업률 예측이 유행이 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1 "가자주민 수백명, 식량얻다 죽었다"…美단체 배급소 사망 의혹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30 李대통령, 내일 바로 추경안 의결 국무회의… 전국민 소비쿠폰 이달 지급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29 돌진, 또 돌진‥"불안해서 길도 못 걷겠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28 “트럼프, 젤렌스키와 통화…‘방공지원 재개’ 의사 피력”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27 임명장 받은 김민석 총리‥곧바로 달려간 곳은?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26 ‘선관위 장악’ 정보사 대령, 윤석열 재판서 “떳떳하지 못한 일 연루”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25 모델들 성폭행‧추행한 성인 화보 전 제작사 대표 구속 기소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24 ‘7월 대재앙설’ 속 이번엔 규슈에서 화산 대규모 분화 new 랭크뉴스 2025.07.05
51523 中, EU 브랜디에 34.9% 보복 관세… 전기차 관세에 맞대응 new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