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스트리아 비엔나 도심 북부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 전경. 비엔나(오스트리아)=문희철 기자
2일(현지시각) 오스트리아 비엔나 도심 북부 노르트반호프 공공임대주택. 채도 높은 노란색 페인트로 마감한 저층부가 각기 다른 각도·깊이로 배치되어 있다. 완만한 굴곡이 공간에 리듬감을 부여한다.

회백색으로 칠한 건물 상부엔 집집마다 큼직한 발코니가 돌출되어 있다. 리듬감 있게 배치한 발코니·창문에선 각자 취향에 따라 넓은 발코니 공간 활용법이 제각각이다. 발코니 난간마다 설치한 식물 박스가 단지 전체에 생기있는 초록빛을 덧입힌다. 대기업 사옥이나 호텔을 연상케 하는 이 건물은 약 200여명의 주민이 거주 중인 공공임대주택이다.
각자 취향에 따라 넓은 발코니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 비엔나(오스트리아)=문희철 기자
[르포]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은 10㏊(3만250평) 크기의 공원에 둘러싸여 있다. 비엔나(오스트리아)=문희철 기자
우리나라에서 공공임대주택은 지역 주민에게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주는 경우가 있다. 저소득층이나 주거 취약 계층을 위한 주거 시설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토지주택연구원이 발표한 ‘공공임대주택 브랜드 적용방안 연구’에 따르면, 국민의 45.9%는 공공임대주택 브랜드를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하지만 비엔나에서 만난 공공임대주택은 달랐다. 오스트리아에서 활동 중인 이병훈 아키텍처인프로그레스 건축가는 “이제 비엔나 공공임대주택은 더 이상 (부정적 의미를 내포한) 사회적 주택이 아니라, 합리적 주택이라고 불린다”고 설명했다. 합리적인 주택은 자본이 부담 가능한 수준에서 최상의 질(quality)을 확보한 주택을 의미하는 건축 용어다.

실제로 노르트반호프 공공임대주택은 규모·건축 측면에서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외관만 그럴듯하게 디자인한 게 아니다. ‘자유의 중심(FreieMitte)’으로 불리는 10㏊(3만250평) 크기의 공원에 둘러싸여 있고, 건물 내부는 호텔 수준의 현대적인 로비·커뮤니티 시설을 갖췄다.
47층 규모로 건설을 추진 중인 서울 노원구 하계5단지 공공주택 조감도. [사진 서울시]
임대주택혁신방안, 1000세대 이상 대단지에 적용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엔 삶의 질을 높이는 편의시설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비엔나(오스트리아)=문희철 기자
비엔나처럼 서울도 지역 랜드마크 수준의 공공임대 주택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곳을 방문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교통이 편리한 우수한 입지에 돌봄·의료·커뮤니티 시설을 갖춘 고품질 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며 “이제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으로 우수한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집중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시는 노후 임대주택을 재정비해 노르트반호프처럼 고품질 주거공간을 공급하는 ‘임대주택혁신방안’을 노원구 하계5단지에 최초로 적용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존 임대주택 평형(33㎡) 대비 1.5배 이상 넓은 주거면적을 제공하고 아일랜드 주방, 무몰딩 마감 등 최신 인테리어를 반영해 임대주택에 대한 편견을 깨겠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43번지의 설계사 대표에게 프로젝트 설명을 청취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서 30년이 지난 노후 임대주택은 1만8000여 가구에 달한다. 2027년까지 1만5000여 가구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중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보유한 대규모 임대주택 단지가 하계5단지처럼 임대주택혁신방안을 우선적으로 적용받을 가능성이 있다. SH공사가 전체 부지·주택을 소유해 이해관계에 휘말릴 필요가 없고, 부지가 넓어 랜드마크 수준의 고품격 건축물 설립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곳이 서울 강서구 방화동 방화6단지, 강서구 가양동 가양5단지, 노원구 공릉1단지, 마포구 SH성산아파트 등이다. 모두 입주 세대가 1000세대 이상 대단지 아파트인데다 부지를 SH공사가 소유하고 있어 인근 아파트 단지·부지와 연계 개발이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오 시장은 “서울은 가용 부지가 제한적이라 비엔나처럼 멋진 공공주택을 짓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며 “간선도로·빗물펌프장 등 공공 부지를 활용해 최대한 공공임대주택을 설립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618 윤석열, 2차 조사도 공개 출석…내란 특검 밤부터 지하주차장 봉쇄 랭크뉴스 2025.07.05
51617 [속보] 윤 전 대통령, 차 타고 서울고검 현관 도착 랭크뉴스 2025.07.05
51616 [속보] 尹, 내란특검 2차조사 출석…사후 계엄선포문 질문에 침묵 랭크뉴스 2025.07.05
51615 "정부가 대신 빚 갚아준다"...성실 채무자는 바보? 랭크뉴스 2025.07.05
51614 사라졌지만 죽지 않는 대우, 이름값만 年 100억원 이상 랭크뉴스 2025.07.05
51613 '실종신고 알면서도' SNS서 청소년 꾀어 투숙한 30대 집유 랭크뉴스 2025.07.05
51612 특검 두 번째 공개 출석한 尹…무표정·무응답 속 조사실 직행 랭크뉴스 2025.07.05
51611 [속보] 윤석열, 오전 9시 1분 내란특검 출석‥2차 조사 시작 랭크뉴스 2025.07.05
51610 내란특검 출석한 尹, 말없이 조사실로…곧 2차 조사 시작 랭크뉴스 2025.07.05
51609 상법 개정안, 득일까 독일까? 랭크뉴스 2025.07.05
51608 [단독] 이재명 대통령, '안가 회동' 이완규 법제처장 면직 랭크뉴스 2025.07.05
51607 尹, 내란특검 2차 출석‥취재진 질문에 일절 답 없이 들어가 랭크뉴스 2025.07.05
51606 국내외 기관들 韓 성장률 전망치 높여… “관세까지 유예되면 1%대도 가능” 랭크뉴스 2025.07.05
51605 이달 전국민에 지급되는 소비쿠폰, 지역·소득별로 금액 다르다? 랭크뉴스 2025.07.05
51604 [속보]윤석열 고검 현관 통해 2차 출석···오늘도 묵묵부답 랭크뉴스 2025.07.05
51603 [속보] 윤석열, ‘특검팀 통보’ 오전 9시 정각 서울고검 도착 랭크뉴스 2025.07.05
51602 [속보] 윤 전 대통령 탄 차, 서울고검 현관 앞 도착 랭크뉴스 2025.07.05
51601 [속보] 윤 전 대통령 서울고검 청사 도착…내란 특검 2차 조사 출석 랭크뉴스 2025.07.05
51600 [속보] '2차 소환' 尹, 이번에도 묵묵부답 조사실 직행 랭크뉴스 2025.07.05
51599 [단독] 합법적 절차 건너뛴 최초 계엄 선포문…사후 문건은 ‘급조’ 흔적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