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스트리아 비엔나 도심 북부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 전경. 비엔나(오스트리아)=문희철 기자
2일(현지시각) 오스트리아 비엔나 도심 북부 노르트반호프 공공임대주택. 채도 높은 노란색 페인트로 마감한 저층부가 각기 다른 각도·깊이로 배치되어 있다. 완만한 굴곡이 공간에 리듬감을 부여한다.

회백색으로 칠한 건물 상부엔 집집마다 큼직한 발코니가 돌출되어 있다. 리듬감 있게 배치한 발코니·창문에선 각자 취향에 따라 넓은 발코니 공간 활용법이 제각각이다. 발코니 난간마다 설치한 식물 박스가 단지 전체에 생기있는 초록빛을 덧입힌다. 대기업 사옥이나 호텔을 연상케 하는 이 건물은 약 200여명의 주민이 거주 중인 공공임대주택이다.
각자 취향에 따라 넓은 발코니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 비엔나(오스트리아)=문희철 기자
[르포]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은 10㏊(3만250평) 크기의 공원에 둘러싸여 있다. 비엔나(오스트리아)=문희철 기자
우리나라에서 공공임대주택은 지역 주민에게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주는 경우가 있다. 저소득층이나 주거 취약 계층을 위한 주거 시설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토지주택연구원이 발표한 ‘공공임대주택 브랜드 적용방안 연구’에 따르면, 국민의 45.9%는 공공임대주택 브랜드를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하지만 비엔나에서 만난 공공임대주택은 달랐다. 오스트리아에서 활동 중인 이병훈 아키텍처인프로그레스 건축가는 “이제 비엔나 공공임대주택은 더 이상 (부정적 의미를 내포한) 사회적 주택이 아니라, 합리적 주택이라고 불린다”고 설명했다. 합리적인 주택은 자본이 부담 가능한 수준에서 최상의 질(quality)을 확보한 주택을 의미하는 건축 용어다.

실제로 노르트반호프 공공임대주택은 규모·건축 측면에서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외관만 그럴듯하게 디자인한 게 아니다. ‘자유의 중심(FreieMitte)’으로 불리는 10㏊(3만250평) 크기의 공원에 둘러싸여 있고, 건물 내부는 호텔 수준의 현대적인 로비·커뮤니티 시설을 갖췄다.
47층 규모로 건설을 추진 중인 서울 노원구 하계5단지 공공주택 조감도. [사진 서울시]
임대주택혁신방안, 1000세대 이상 대단지에 적용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임대주택엔 삶의 질을 높이는 편의시설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비엔나(오스트리아)=문희철 기자
비엔나처럼 서울도 지역 랜드마크 수준의 공공임대 주택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곳을 방문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교통이 편리한 우수한 입지에 돌봄·의료·커뮤니티 시설을 갖춘 고품질 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며 “이제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으로 우수한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집중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시는 노후 임대주택을 재정비해 노르트반호프처럼 고품질 주거공간을 공급하는 ‘임대주택혁신방안’을 노원구 하계5단지에 최초로 적용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존 임대주택 평형(33㎡) 대비 1.5배 이상 넓은 주거면적을 제공하고 아일랜드 주방, 무몰딩 마감 등 최신 인테리어를 반영해 임대주택에 대한 편견을 깨겠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노르트반호프 43번지의 설계사 대표에게 프로젝트 설명을 청취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서 30년이 지난 노후 임대주택은 1만8000여 가구에 달한다. 2027년까지 1만5000여 가구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중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보유한 대규모 임대주택 단지가 하계5단지처럼 임대주택혁신방안을 우선적으로 적용받을 가능성이 있다. SH공사가 전체 부지·주택을 소유해 이해관계에 휘말릴 필요가 없고, 부지가 넓어 랜드마크 수준의 고품격 건축물 설립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곳이 서울 강서구 방화동 방화6단지, 강서구 가양동 가양5단지, 노원구 공릉1단지, 마포구 SH성산아파트 등이다. 모두 입주 세대가 1000세대 이상 대단지 아파트인데다 부지를 SH공사가 소유하고 있어 인근 아파트 단지·부지와 연계 개발이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오 시장은 “서울은 가용 부지가 제한적이라 비엔나처럼 멋진 공공주택을 짓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며 “간선도로·빗물펌프장 등 공공 부지를 활용해 최대한 공공임대주택을 설립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322 관세 데드라인 코앞…위성락 방미, 정상회담 조율도 '최우선 미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21 "위험해요, 얼른 길 건너세요" 걱정한 아이들에 욕설 퍼부은 60대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20 HD현대, 인도 최대 조선소와 맞손…기술력 키워 글로벌 시장 공략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9 중국 휴가 갔던 천안 구청장, 호텔서 숨진 채 발견…사망 경위 '미궁'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8 트럼프측, 머스크에 견제구…"테슬라이사회 정치활동 싫어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7 ‘6억 대출제한’ 효과 강했다, 1주새 주담대 신청 반토막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6 ‘트럼프 레터’ 초읽기…통상·외교핵심 방미 총력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5 '콜롬비아 野 대선주자 암살미수' 10대에 총 쥐여준 남성 체포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4 AI가 만든 ‘현대차 주차 로봇 영상’ 화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3 [단독] “‘자칭 법치주의자’ 尹 누구보다 법경시…판결승복 불분명, 도망 염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2 김 총리 7일부터 1주간 세종 근무…‘세종 챙겨달라’ 대통령 당부따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1 터널서 차량 전복 후 화재…여성 2명 사망·50대 운전자 중상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10 팬데믹·고금리 직격탄…작년, 사상 최초 ‘폐업자 100만명’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09 특검, 尹 구속영장 청구에…정청래 "즉시 감옥" 박찬대 "사필귀정"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08 "동남아 7000원 발 마사지 받았다가 수술?"…의사가 경고한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07 인사청문 정국 돌입…여 ‘신속 임명’ 야 ‘송곳 검증’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06 "술취한 친구가 물에 빠졌어요"…경인아라뱃길 수로서 20대 숨진 채 발견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05 "총은 경호관이 경찰보다 훨씬 잘 쏜다"…尹 구속영장 혐의 보니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04 北 얼마나 놀랐으면…'640만원' 평양 여행, 이 사람들 금지됐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03 "자산 압류 위기 러 갑부, 몰래 출국하려다 잡혀"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