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시 도시계획위, 정비계획 등 가결
개방형 커뮤니티, 담장 없는 ‘열린단지’ 조성

서울 강남구 압구정4구역이 44년 만에 최고 250m, 1664가구 대규모 단지로 바뀐다. 한강변 조망 데크 공원과 개방형 커뮤니티 시설을 배치해 수변 주거 문화를 선도하는 주택 공급 확대 모델이 될 전망이다.

서울 강남 압구정4구역 정비사업 조감도 / 자료 = 서울시

서울시는 지난 3일 열린 ‘제6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에서 압구정4구역 정비구역·정비계획결정(변경), 압구정아파트지구 개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결정(변경)과 경관심의(안)을 수정가결 했다고 4일 밝혔다.

압구정4구역은 준공 후 44년이 지난 노후 아파트를 재건축하는 사업지로, 서울시는 용적률 300% 이하, 9개 동, 1664가구(공공주택 193가구 포함), 최고높이 250m 규모로 공동주택단지를 공급할 계획이다.

압구정동 일대는 미성·현대·한양 등 1만여 가구가 6개 구역으로 나눠 재건축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11월 2구역 심의통과에 이어 이번 4구역도 심의에 올랐다.

압구정 4구역은 좁은 한강 둔치 폭으로 한강 연결 입체 보행교는 설치하지 않지만, 구역 북측에 한강 조망이 가능한 입체 조망 데크공원을 4구역에서 5구역까지 연결해 누구나 쉽게 접근해 한강 조망을 즐길 수 있도록 계획했다.

또 올림픽대로변 연결 녹지와 공원을 활용해 단지 외곽 순환 보행 동선을 구축하고, 언주로 남단 사거리에 문화공원을 조성해 5구역과 연결된 학교 가는 길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확보했다. 인근 주민의 휴식공간으로도 활용된다.

단지는 광역통경축 형성을 위해 성수대교에서 보이는 4구역과 5구역 사이에 있는 주동들은 중저층으로 계획했고, 성수대교변 도심부 진입 경관 거점으로 상징적인 타워형 주동을 도입했다.

서울시에서 강조하는 열린 단지 개념도 충실히 이행할 계획이다. 입체조망데크공원과 문화공원에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담장을 설치하지 않으며, 서측 언주로변 연결녹지는 입체조망데크까지 완만한 산책로 형태로 조성하고 4·5구역 사이의 한강 가는 길 북측에는 보행 계단 및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데크공원 접근성을 높였다.

한강 가는 길 도로는 일부 입체적 결정으로 사업성 개선과 지하 주차장 활용을 극대화했으며, 가로변은 가로활성화 특화구간으로 지정해 다양한 근린생활시설과 키즈카페·도서관·북카페 등 개방형 커뮤니티를 배치했다. 외부에 개방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

서울시는 이번 결과를 반영해 정비계획 고시 후 통합 심의를 거쳐 건축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1664가구 대규모 단지로 조성되는 압구정 4구역 등 앞으로도 압구정 아파트 재건축을 통한 주택공급을 지속 확대하고 수변 주거문화를 선도하는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90 '김건희 특검' 공천개입 의혹 수사…윤상현 "압수수색 의도 몰라" 랭크뉴스 2025.07.08
53189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 또 추락사…결국 아래에 '이것' 단다 랭크뉴스 2025.07.08
53188 "인라인 못 타서" 일곱살 딸에 주먹 휘두른 40대 구속 송치 랭크뉴스 2025.07.08
53187 수도권 곳곳 기습 폭우…원인은? 랭크뉴스 2025.07.08
53186 의사 엄마보다 더 잘 벌었다…정은경 장남 직업 뭐길래 랭크뉴스 2025.07.08
53185 “아스팔트에서 야구 하는 거 같아요”…고교야구는 폭염에도 강행 중 랭크뉴스 2025.07.08
53184 이 대통령, 이진숙 겨냥 “비공개회의 왜곡해 개인 정치 말라” 질책 랭크뉴스 2025.07.08
53183 퇴근길 ‘기습 폭우’에 서울 곳곳 침수…1호선 운행 차질 랭크뉴스 2025.07.08
53182 "전자담배는 괜찮지 않아?"…12살부터 피운 20대 청년, 폐는 이미 70대였다 랭크뉴스 2025.07.08
53181 "행복하고 싶냐? 식세기 사라" 서울대 심리학 교수의 비결 랭크뉴스 2025.07.08
53180 박찬대 “내란특별법” 정청래 “국립의대”… 당권주자들 호남 구애 랭크뉴스 2025.07.08
53179 수업 중 스마트폰 ‘법적으로’ 못 쓴다…내년 1학기부터 랭크뉴스 2025.07.08
53178 [단독] "V 말려야 하지 않냐"했다던 노상원‥메모엔 "대통령 최후 수단 밖에" 랭크뉴스 2025.07.08
53177 내년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서 결정 랭크뉴스 2025.07.08
53176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 결정된다 랭크뉴스 2025.07.08
53175 "방어 쉽지 않다"... 부글부글 민주당, 이진숙 엄호 '이상기류' 랭크뉴스 2025.07.08
53174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심의촉진구간 제시 랭크뉴스 2025.07.08
53173 노상원 수첩에 담긴 '계엄의 전말'‥친필 메모에도 랭크뉴스 2025.07.08
53172 최저임금 공익위원, 노사에 ‘1만210~1만440원’ 수정안 제안 랭크뉴스 2025.07.08
53171 尹 정부 '실세' 김태효, 피의자 신분 소환‥'VIP 격노' 정조준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