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캐슬 영상 중 논란이 된 장면. 사진=서경덕 교수 SNS

[서울경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구단 뉴캐슬 유나이티드가 오는 7월 말 방한을 앞두고 공식 영상에 욱일기를 연상케 하는 장면을 삽입한 것에 대해 사과하고 문제의 장면을 삭제했다.

뉴캐슬은 2일(한국시간) 구단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2025~2026시즌 서드 유니폼을 공개하면서 영상을 함께 게시했다. 해당 영상에 두 명의 팬이 욱일기와 유사한 무늬가 들어간 깃발을 들고 웃는 장면이 포함돼 논란이 됐다.

이에 대해 구단 측은 “의도치 않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장면이 영상에 포함됐다”며 “죄송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해당 장면을 삭제했다.

욱일기는 과거 일본 제국주의가 아시아 각국을 침략할 때 사용한 전범기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활용됐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 국가에서는 그 사용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번 조치에 대해 “뉴캐슬의 발 빠른 대응을 환영한다”고 평가하며 “이 사례는 유럽 축구리그 내 욱일기 문양 퇴출에 있어 중요한 선례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유럽 4대 축구리그(프리미어리그, 라리가, 분데스리가, 세리에A)에서 욱일기 문양이 노출될 때마다 각 구단에 항의 메일을 꾸준히 보내며 문제 제기를 해왔다. 그는 “앞으로도 욱일기 문양 근절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며 “FIFA 월드컵 공식 계정에서 욱일기 이미지가 등장했을 당시 이를 없앤 사례도 있다”고 덧붙였다.

서 교수는 특히 “이번 사안은 뉴캐슬이 한국과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을 도는 프리시즌 투어를 앞둔 시점에 발생해 더 큰 파장을 불렀다”고 짚었다.

현재 국제사회는 욱일기 사용에 대한 명확한 규제를 마련하지 않고 있다. 일본 내에서도 전범기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별다른 법적 제재는 없는 상태다. 반면 독일은 나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 사용을 법으로 엄격히 금지하고 위반 시 형사 처벌까지 가능하다.

한편 뉴캐슬은 쿠팡플레이 초청으로 오는 7월 30일 수원에서 팀 K리그와, 8월 3일 서울에서 토트넘과 친선 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욱일기 논란' 고개 숙인 뉴캐슬, 오히려 좋다? …서경덕 "중요한 선례될 것"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521 ‘31.8조’ 추경안 국회 통과…소비쿠폰 1인당 15만~55만원 랭크뉴스 2025.07.05
51520 남편 무정자증인데…18년 만에 임신 성공한 美부부 비결 랭크뉴스 2025.07.05
51519 "치사율 높아, 절대 우습게 보면 안돼"…전동킥보드 타던 30대, 혼자 넘어져 '사망' 랭크뉴스 2025.07.05
51518 [단독] 2호선 ‘선로 고장’ 중단…교통공사 “장애인 시위 탓” 안내 방송 랭크뉴스 2025.07.05
51517 오늘 윤석열 2차 조사…‘자격’ 책잡은 특검팀 총경과 다시 만난다 랭크뉴스 2025.07.05
51516 문원, 신지 측에 협의이혼서 공개… 이혼 사유는 ‘성격 차이’ 랭크뉴스 2025.07.05
51515 [단독] 주식 사고, 기사 쓰고, 주식 팔고…기자 20여 명 수사 랭크뉴스 2025.07.05
51514 ‘특활비 복원’ 논란 속 국힘 표결 불참…이재명 정부 첫 추경 국회 통과 랭크뉴스 2025.07.05
51513 김건희 특검, ‘양평 고속도로·삼부토건 의혹’ 원희룡 출국금지 랭크뉴스 2025.07.05
51512 고대 이집트인 DNA, '세계 최초' 분석 성공…20%는 뜻밖의 '이 혈통'이었다 랭크뉴스 2025.07.05
51511 서류 조작해 2개월 퍼피를 해외입양 보낸 동물단체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5.07.05
51510 내일 2차 조사‥'체포저지' 혐의 계속 경찰이 맡는다 랭크뉴스 2025.07.05
51509 배드뱅크 예산 4000억원 확정… 금융위, 채무자 소득 따진다 랭크뉴스 2025.07.05
51508 소비쿠폰 1.9조 증액… 與 추경안 단독 처리 랭크뉴스 2025.07.05
51507 "아끼고 지키겠다" "저, 행복해요"…온주완·민아 결혼 소감 랭크뉴스 2025.07.05
51506 농민단체 만난 김민석 “송미령 반대 마음 100% 이해하지만···불신 거둬달라” 랭크뉴스 2025.07.05
51505 “피도 눈물도 없다”… 기상천외 ‘첩보의 신’ 랭크뉴스 2025.07.05
51504 [사설] 2차 추경 통과, 물가 부작용 없이 경제 살리기 마중물 돼야 랭크뉴스 2025.07.05
51503 섬마을 쓰러진 남성…119 영상통화로 살렸다 랭크뉴스 2025.07.05
51502 교육교부금은 ‘2조 감액’, 지방교부세는 ‘유지’… 같은 의무 지출인데 조치 엇갈린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