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비흡연자는 폐암 발병 가능성이 낮다는 말, 이제는 완전하게 믿을 수 없게 됐다.

담배를 피지 않는 사람의 폐암 발병률이 늘어나는 이유가 대기오염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일(현지 시간)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와 미 국립암연구소(NCI) 공동 연구팀은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한 논문에서 “대기오염이 흡연과 유사한 DNA 손상을 유발해 비흡연자 폐암을 증가시킨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미 등 대기오염 수준이 다른 28개 지역에 거주하는 비흡연자 871명의 폐종양을 분석했다. 위성·지상 측정 초미세먼지(PM2.5) 수치와 연결해 대기오염과 폐암 관련 돌연변이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대기오염도가 높은 지역 비흡연자일수록 폐종양 내 돌연변이 수가 현저히 많았다. 특히 암 발생을 직접 촉진하는 암 유발 돌연변이(driver mutation)가 크게 증가했다.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 비흡연자 종양에서는 특정 발암 요인이 DNA에 남긴 고유 돌연변이 패턴인 ‘돌연변이 서명’이 현저히 많았다. 이들의 폐종양에서는 흡연 관련 돌연변이 서명이 3.9배, 노화 관련 돌연변이 서명이 76%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루드밀 알렉산드로프 교수는 “대기오염이 마치 흡연처럼 작용해 DNA에 흡연과 유사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폐암은 오랫동안 ‘흡연자들의 질병’으로 여겨졌지만 비흡연자 폐암이 전체 폐암의 약 25%를 차지한다. 특히 여성, 아시아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미롭게도 간접흡연과 폐종양 돌연변이 사이에서는 강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간접흡연 노출 비흡연자 폐종양에서는 돌연변이가 약간 증가했지만 돌연변이 유발 효과는 대기오염보다 훨씬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만 지역 비흡연자 폐암에서는 중국 전통 의학에서 이뇨제, 진통제로 쓰이는 마두령과 식물의 아리스톨로키아산과 관련된 특정 돌연변이 시그니처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물질은 방광, 위장, 신장, 간암과의 연관성이 제기돼 왔는데 폐암 발생에도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다만 알렉산드로프 교수는 “비흡연자 폐암에만 나타나고 흡연자에게는 없는 새로운 돌연변이 시그니처도 발견했다”며 “이는 대기오염이나 다른 알려진 환경 노출과 연관이 없었고 원인도 아직 불분명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페암 환자 수는 2019년 10만371명에서 2020년 10만2843명, 2021년 11만376명, 2022년 11만5997명, 2023년 12만7950명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인구의 비율은 17.3%로 OECD 평균(18.6%)보다 소폭 낮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94 미래 인류, 화성 이주했다 벼락 맞을라 랭크뉴스 2025.07.07
52293 美 재무장관 “협상 불발 국가, 상호관세 첫 부과 당시 세율 적용… 8월부터” 랭크뉴스 2025.07.07
52292 [Today’s PICK] 7월에 최다로 뛴 코스피…올해 ‘서머랠리’도 주목 랭크뉴스 2025.07.07
52291 "유튜브 2배속, 기억력 망친다?"…Z세대 속도 중독에 뇌 '적신호' 랭크뉴스 2025.07.07
52290 카트 끌고 약 쇼핑에 오픈런까지‥약사들은 반발 왜? 랭크뉴스 2025.07.07
52289 소비쿠폰, 쿠팡 안되고 치킨집에선 가능…지급 수단은 택1 랭크뉴스 2025.07.07
52288 러, 우크라 공습 지속…도네츠크 등지서 5명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287 [사설] 통상본부장 이어 안보실장 급파, 가시적 성과 거둬야 랭크뉴스 2025.07.07
52286 SKT 해킹 사고 보상안에 고객들 ‘유지냐 해지냐’ 셈법 분주 랭크뉴스 2025.07.07
52285 버티고 버티다 결국…작년 폐업자 첫 100만명, 그중 절반 소매·음식점 랭크뉴스 2025.07.07
52284 ‘안전한’ 돈다발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07
52283 독단 리더십 비판 목소리 커져… 여권서도 “이진숙, 부담스럽다” 랭크뉴스 2025.07.07
52282 푸틴 "서방, 반러시아 정책 추구하느라 내부 문제 악화" 랭크뉴스 2025.07.07
52281 위성락, 마코 루비오 등 면담… 관세 유예 시한 연장 ‘방점’ 랭크뉴스 2025.07.07
52280 방미 통상본부장 “실리 최대화…관세, 산업·기술 협력 묶어서 협상” 랭크뉴스 2025.07.07
52279 [단독] "소비쿠폰, 식자재마트 허용을"…당정, 지방선 사용처 확대 검토 랭크뉴스 2025.07.07
52278 尹 구속영장 청구에 정청래 “즉시 감옥” 박찬대 “사필귀정” 랭크뉴스 2025.07.07
52277 미 재무 "8월 1일부터 협상 불발 국가엔 4월 발표했던 상호관세율 적용" 랭크뉴스 2025.07.07
52276 최측근에서 최대 정적으로…감세 반발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 랭크뉴스 2025.07.07
52275 한스텝 빠른 조은석 스타일… 내란특검, ‘n차 소환’ 대신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