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분기 생보사 17곳 카드납 지수 4.1%
카드납 비중 0~1% 사이인 생보사도 8곳
보험사 카드 납부 의무화 법안도 계류

일러스트= 챗GPT 달리

금융감독원이 생명보험료 신용카드 납부 관련 소비자 불편사항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사의 보험료 카드 납부 비율이 7년째 4% 수준에 머물면서, 소비자의 결제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데 따른 조치인 것으로 풀이된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생명보험 카드납과 관련된 민원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생보사에서 판매 중인 보험 중 카드납이 가능한 상품의 비중이나 카드납 과정 중 생긴 불편 사항 등을 살펴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생명보험협회 공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ABL생명, 삼성생명, 흥국생명, 교보생명 등 생보사 17곳의 카드납 지수는 4.1%였다. 지난해 4분기 4.3%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1분기 전체 수입보험료 25조3603억원 중 1조281억원만 카드납이 이뤄졌다는 의미다. 집계가 시작된 2019년부터 올해까지 카드납 비율은 3~4%대를 유지하고 있다.

텔레마케팅(TM)을 주요 판매 채널로 삼는 AIA생명이나 라이나생명을 제외한 모든 생보사의 카드납 비율은 한 자릿수에 머무르고 있고, 0~1%대인 생보사도 8곳이다. 한화생명, 교보생명, IBK연금보험은 카드납을 받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016년부터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한 보험 상품의 종류를 공시하게 했다. 2018년 2분기부터는 각 보험협회 공시를 통해 보험사별 카드납 지수를 공개하도록 했다. 카드 납부를 독려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서다.

다양한 종류의 신용카드들. /트위터 캡처

그러나 생보사는 수수료 부담을 이유로, 카드납이 가능한 상품 종류를 늘리지 않고 있다. 특히 생보사의 주요 상품인 저축성 보험료를 카드로 받게 되면 부담이 커진다는 게 보험업계의 주장이다. 저축성 보험은 보험료를 받아 다른 곳에 투자한 뒤, 만기가 되면 고객에게 약속한 원금과 이자를 주는 방식이다. 그런데 저축성 상품의 보험료를 카드로 받으면, 보험사 입장에서는 투자할 금액이 줄어 이익도 감소하게 된다.

보험사는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된다는 이유로 수수료 인하를 요청해왔지만, 카드업계가 이를 거절하며 양측 간 입장은 평행선을 달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대형 가맹점인 생보사는 카드납 시 건당 2% 수준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지난해 국회에서 보험료 카드 납부 의무화 내용을 담은 법안도 발의됐지만 현재까지 계류 중인 상태다.

한 생명보험사 관계자는 “금융 당국 입장에서도 생보업계나 카드업계에 일방적인 양보를 강요할 수 없어, 관련 대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라며 “카드납을 의무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소비자에게 비용 부담이 전가될 수 있어, 세심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317 [속보] SK텔레콤 “이달 14일까지 해지 예정 가입자 위약금 면제”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16 특검 "삼부토건 관련사 대표 조사 중‥김 여사 측 협의 전"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15 "한반도 30cm 흔들린다"…日 대지진 현실화 시 한국에 미칠 영향은?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14 무려 13조...전 국민 ‘소비쿠폰’ 풀린다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13 [속보] 추경안, 국회 예결소위 통과…국민의힘 퇴장·민주당 단독 처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12 [마켓뷰] 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거세진 美 압박… 코스피 3개월 만에 최대 낙폭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11 정부 "SKT 위약금 면제해야… 거부땐 시정명령"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10 SPC, 이번엔 식품용 윤활유에서 ‘유해물질’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9 “조선제일검 아닌 조선제일껌”…홍준표, 윤석열·한동훈 직격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8 정부 “해킹 사고, SKT 과실 발견···위약금 면제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7 지뢰밭 귀순男 은밀한 탈출 루트…'남북 단절' 조치 빈틈 노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6 6년 만에 다시 만난 한·인니… KF-21 공동개발 재시동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5 트럼프 감세 법안 통과...韓 전기차·태양광 '비상', 반도체 '불투명'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4 임은정 취임날 “검찰개혁 자초” 내부 직격…김학의 사건 언급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3 맞춤형 매장까지 알려준다…스타벅스, 네이버 지도앱서 상황별 매장 추천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2 이 대통령 “특권 계급화된 일부, 이젠 해체해야···지역 ‘몰빵’ 말자”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1 “고개 너무 숙이지 마요” 李대통령이 총리 임명식서 한 말 new 랭크뉴스 2025.07.04
51300 '최악의 해킹' SK텔레콤...또 날벼락 new 랭크뉴스 2025.07.04
51299 부산 아파트 화재 자매 사망 원인은 "다량의 연기 흡입" new 랭크뉴스 2025.07.04
51298 “7년 버틸 수 있겠습니까?” 묻더니 손 들어보라고 한 이 대통령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