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방관들이 3일 러브버그 다량 출몰지에서 살수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에 대한 대대적인 방제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약품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방제 방식으로 방역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러브버그 등 유행성 생활불쾌곤충은 대량발생으로 단순 불쾌감을 넘어 시민생활이 실질적인 불편을 주고 있어 시 차원에서 방역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우선 공원, 산책로 등 유행성 생활불쾌곤충 민원 다발지역을 중심으로 시 소방서와 연계해 살수방역작업을 실시한다.

러브버그는 물에 약한 특성이 있어 물만 잘 뿌려도 자연파괴 없이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이와함께 실시간 발생 감시와 광원 포집기, 향기 유인제(은평구 백련산 일대) 등을 설치해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시범사업도 진행 중이다.

한편 6월 한 달 동안 서울시에 들어온 러브버그 관련 민원은 4695건으로, 지난해 6월(9296건)에 비해 절반 가까이(49.4%)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러브버그 관련 민원이 가장 많이 들어온 자치구는 금천구로 698건이 접수됐다.

최근 편백숲 등으로 논란이 있었던 은평구는 599건이 접수돼 두 번째로 민원이 많았다. 관악구(508건), 강서구(410건), 양천구(298건), 중랑구(242건) 등도 민원이 다수 접수됐다. 송파구(8건)와 강동구(12건)는 러브버그 관련 민원이 가장 적었다.

러브버그 관련 민원은 지난 2022년 4418건에서 2023년 5600건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9296건까지 급증했었다. 올해는 화제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원은 적게 접수됐다. 러브버그 관련 민원은 매년 6월 집중적으로 발생하다가 7월 초를 지나면 점차 줄어든다.

이동률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서울시는 친환경적으로 유행성 생활불쾌곤충을 관리하고, 비화학적 방법을 통해 생활불쾌충 발생 개체수를 조절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면서 “사람과 곤충이 공존하며 살 수 있는 서울시 생활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295 "질문 더 받아" vs "이제 목 아파"‥다시 보니 회견도 '레전드' 랭크뉴스 2025.07.04
51294 채 상병 특검 “‘VIP 격노설’ 조사 본격화”…내주 김계환 등 소환 랭크뉴스 2025.07.04
51293 논란의 SPC...이번엔 빵 공장에서 ‘유해물질’ 랭크뉴스 2025.07.04
51292 물에 약한 러브버그‥'친환경 방제', 퇴치 묘수될까? 랭크뉴스 2025.07.04
51291 임직원 700여명과 이글스 경기 직관한 김승연, '최강 한화' 외쳤다 랭크뉴스 2025.07.04
51290 AI가 찾아낸 정자 3마리…18년 불임 끝낸 기적의 기술 랭크뉴스 2025.07.04
51289 李대통령 "한쪽 몰아 발전시키면 특권계급 생겨…균형발전 필요" 랭크뉴스 2025.07.04
51288 "우리가 정의 말할 자격 있나?" 돌아온 임은정의 '돌직구'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7.04
51287 '36주 낙태' 병원장·집도의 '살인 혐의' 구속 송치… 산모도 살인죄 적용 랭크뉴스 2025.07.04
51286 트럼프 "4일 10∼12개국에 서한, 8월1일 부과"…관세율 10~70% 거론(종합) 랭크뉴스 2025.07.04
51285 ‘배우자들도 한자리’…이 대통령, 김 총리 손 꼭 잡고 한 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4
51284 군인권센터, 특검에 "내란 가담 경찰 57명 강제수사 촉구" 랭크뉴스 2025.07.04
51283 [단독] ‘임종실’ 의무화 1년…대형병원 설치율 ‘절반’ 그쳐 랭크뉴스 2025.07.04
51282 [단독] 루이비통도 털렸다…명품 업계 개인정보 유출 경고음 랭크뉴스 2025.07.04
51281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관련사 대표 조사 중” 랭크뉴스 2025.07.04
51280 김문수, 이 대통령 겨냥 “교도소 6만명, 감옥 받아들일까” 랭크뉴스 2025.07.04
51279 [해커에 뚫린 SK텔레콤]② SKT 창사 이래 최대 위기… “위약금 면제로 3년간 최대 7조 매출 타격” 랭크뉴스 2025.07.04
51278 [속보] 정부 "SKT, 위약금 면제 반대시 시정명령·등록취소 등 조치" 랭크뉴스 2025.07.04
51277 [속보]정부 “해킹 사고, SKT 과실 발견···위약금 면제해야” 랭크뉴스 2025.07.04
51276 [속보] '유심 해킹 SKT' 위약금 없어진다...과기정통부 "SKT가 책임질 이유 있다"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