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 작년 평양 무인기 질문에 “못 알아듣겠다” 무례
지난해 11월7일 기자회견을 할 때의 윤석열 전 대통령(왼쪽)과 3일 취임 첫 기자회견을 한 이재명 대통령.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취임 30일을 맞아 연 첫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일본 기자가 한국어로 질문하자 “그때 만난 그분이시군요”라며 반가움을 드러냈다. 이를 두고 지난해 1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똑같이 한국어로 질문한 외신 기자를 향해 “말귀를 못 알아듣겠다”며 무례한 모습을 보였던 장면을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인 사쿠라이 노리오 기자는 한국어로 질문했다. 그는 “대통령은 한미일 협력, 일본과의 협력을 늘 강조해 오셨는데, 특히나 일본에서는 북한 문제에서 일본인 납치자 문제의 해결을 최우선하고 싶다고 말해왔다”며 “북한 인권 문제에서 한국과 일본은 어떤 협력을 할 수 있는지, 안보에서는 일본과 어떤 협력을 할 수 있는지”를 물었다. 한국인 기자에 견줘 다소 어색함은 있었지만 또박또박 천천히 말하려 노력하는 모습이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우리 전에 점심 먹을 때 같이 한번 봤던 분이신가요?”라며 지난 1월의 만남을 기억해 냈다. 이 대통령은 “그때 만난 그분이시군요”라며 “저번에 외신 기자들과 점심을 한 적이 있는데 어디서 이상하게 중국 모 언론하고만 했다고 이상한 기사가 나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저분은 일본 언론인이십니다”라며 웃었다.

지난 1월 국민의힘은 극우 매체 ‘스카이데일리’ 보도 내용을 근거로 “엄중한 시기에 이재명 대표가 중국에 정보 전달 가능성이 높은 신화통신 기자가 포함된 외신기자들과 비밀회동을 가졌다”며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중국 기자들과의 비밀회동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 모임은 일본계 외신 기자들이 시작한 공부 모임이었고, 당시 자리엔 일본 기자 외에 미국·영국·중국 기자들도 있었다.

이 대통령은 질문에 대한 답으로 “한일 관계는 가깝고도 먼 나라,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과 같다)”며 “또 한편으로는 과거사 문제를 아직 서로 청산하지 못하고 고통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두 가지를 뒤섞을 필요는 없다”며 “북한의 핵 미사일에 대응하는 안보 문제 등 협력할 게 많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일본인 납치자 문제에 대해선 “해결을 위한 일본의 노력에 공감한다”, 북한의 인권 문제와 관련해선 “북한 대중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인도적 지원을 하는 것도 북한 인권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기자회견에서도 외신 기자가 한국어로 질문을 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엔케이(NK) 뉴스 시이오(CEO)인 채드 오캐럴 기자는 “평양 드론 사건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이 남북 관계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강화한다고 생각합니까? 아니면 약화한다고 생각합니까? 그리고 김여정 부부장에게 전하고 싶으신 말이 있을까요?”라고 물었다. 오캐럴 기자 역시 한국인 기자에 견줘서는 서툴렀지만 천천히 또박또박 말했다.

제이티비시(JTBC) 뉴스 유튜브 갈무리

그런데 질문이 끝난 뒤 윤 전 대통령은 옆에 대통령실 관계자를 향해 반말로 “나 말귀를 잘 못 알아듣겠는데”라고 말했다. 이에 통역사가 ‘영어로 다시 말해달라’고 요구했고, 오캐럴 기자는 “한국어 시험처럼 (돼버려서) 죄송합니다”라고 한국어로 말하며 웃었다. 그리곤 다시 영어로 질문했다.

윤 전 대통령은 오캐럴 기자의 질문에 답을 한 뒤 관계자를 향해 재차 반말로 “답을 안 해줘도 되겠어? 영어로 (통역) 안 해줘도? 그래”라고 말한 뒤 기자회견을 마무리했다.

이 모습이 생중계되자 누리꾼들은 ‘무례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제가 다 죄송합니다. 다른 한국인들은 잘 알아들었다”고 적었고, 다른 누리꾼은 “오히려 오캐럴 기자의 말을 다 이해했고, 윤 대통령이 하는 말을 알아듣기 힘들었다”고 했다.

엔케이뉴스 김정민 기자는 당시 기자회견이 끝난 뒤 엑스(X·옛 트위터)에 해당 영상과 함께 ‘외신기자가 서투르지만 열심히 한국어로 질문하는데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사회자한테 말귀를 못 알아듣겠다고 얘기하고 미소지음’이라 적힌 글을 공유했다. 김 기자는 “영상의 기자는 저희 회사 시이오입니다. 한국어 질문 저랑 진짜 열심히 준비하고 연습도 많이 하고 갔답니다”라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48 “참치에서 고부가가치 소재 뽑는다”… 블루푸드테크 뛰어든 동원F&B 랭크뉴스 2025.07.06
52047 SNS에서 인기 폭발한 현대차그룹 주차 로봇 동영상, 사실은··· 랭크뉴스 2025.07.06
52046 위성락 "대미 통상·안보 중요 국면... 한미 정상회담 등 협의" 랭크뉴스 2025.07.06
52045 친딸 40년 성폭행, 딸이자 손녀까지...인면수심 70대 '징역 25년' 불복해 상고 랭크뉴스 2025.07.06
52044 [속보]“장사 안돼서 접었어요”...폐업자 사상 최대 랭크뉴스 2025.07.06
52043 ‘왜 거기서’…인형뽑기 기계에 갇힌 20대, 자력 탈출 랭크뉴스 2025.07.06
52042 이진숙 ‘논문 가로채기 의혹’ 청문회 쟁점으로… 野 “연구윤리 파괴자, 사퇴하라” 랭크뉴스 2025.07.06
52041 한미 관세협상 “관세유예 협의, 제조업 협력 강조” 랭크뉴스 2025.07.06
52040 서울시, 경인1지하차도 홍익병원사거리 평면화 추진···9일부터 지하차도 축소 랭크뉴스 2025.07.06
52039 ‘법카 유용 의혹’ 이진숙, 경찰 조사···여러차례 불응 끝 출석해 5시간 조사받고 귀가 랭크뉴스 2025.07.06
52038 5년간 회삿돈 25억 원 빼돌려 부동산 매입 혐의 경리 징역형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7.06
52037 “위험해요, 얼른 건너가세요” 했다고 초등생에 욕설···60대, 항소심서도 실형 랭크뉴스 2025.07.06
52036 [단독] ‘채상병 특검’ 박정훈 대령 군사경찰 복귀 유력 랭크뉴스 2025.07.06
52035 [단독] 이 대통령 “공영방송 사장추천위 100명 이상으로”…여당과 ‘교감’ 랭크뉴스 2025.07.06
52034 산업부 "美와 상호관세 유예 연장 방안 협의" 랭크뉴스 2025.07.06
52033 "이준석 제명" 청원 60만 넘겨 마감‥역대 청원 2위 기록 랭크뉴스 2025.07.06
52032 '이 회사'는 인당 8500만원 쏜다는데…삼성전자 성과급 '이럴 수가' 랭크뉴스 2025.07.06
52031 “180명 10평에 합장, 죽어서도 칼잠 재우나”…1인 시위 나선 선감학원 피해자 랭크뉴스 2025.07.06
52030 경인아라뱃길서 20대 남성 실종 신고…수색 4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7.06
52029 주담대 6억 이하로 묶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금액 65% ‘뚝’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