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비상 계엄에 반대한다던 한덕수 전 총리는 내란 특검법 처리를 안 했고, 권한 행사를 최소화하겠다며 헌법재판관 임명은 미루다가도, 국회에서 넘어온 법안들엔 적극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 앵커 ▶
선거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지 한 달여 만에 대선에 출마했고, 이후엔 한밤중 후보 교체 파동에까지 휩싸였는데요.
특검수사에서 이런 의문점들이 풀릴지 주목됩니다.
홍의표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위헌적으로 이뤄진 비상계엄 닷새만인 지난해 12월 8일.
한덕수 당시 국무총리는 돌연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함께 공동 담화에 나섰습니다.
한치의 국정 공백도 있어선 안 된다면서, 계엄해제안 표결에 대거 불참했던 당시 여당과 함께 정국을 수습하겠다는 거였습니다.
[한덕수/전 국무총리(지난해 12월 8일)]
"여당과 함께 지혜를 모아 모든 국가 기능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운영하겠습니다."
그 국정공백을 불러일으킨 계엄 당시 총리로서 무엇을 했냐는 질책에는 구체적인 답을 피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로 권한대행을 맡은 뒤에는 비상계엄이 잘못된 것이었다면서도 정작 국회에서 통과된 내란 특검법을 처리하지 않는 모순된 행보를 보였습니다.
압권은 여야 합의로 추천한 헌법재판관 세 명을 임명하지 않은 거였습니다.
이에 따라 9명 중 세 명의 자리가 비면서, 재판관 6명 중 한 명만 반대해도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이 기각되는 상황이 한동안 유지됐습니다.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했던 헌법재판관 임명을 미루며 '권한대행은 최소한의 권한만 써야 한다'고 주장했던 한 전 총리는,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거부권은 수차례 쓰며 쟁점 법안들의 처리를 막았습니다.
결국 자신도 국회에서 탄핵소추됐지만, 기각 결정으로 석 달 만에 복귀한 뒤에는 마지막 소임으로 대선을 잘 관리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이후 계속되는 국민의힘의 차출론에 모호한 태도를 이어가다, 공직자 사퇴 시한을 사흘 앞두고 돌연 대권 도전을 선언했습니다.
[한덕수/전 국무총리 (지난 5월 2일)]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아껴야 합니다."
하지만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의 단일화에만 매달리더니, 한밤 후보 교체 파동 끝에 결국 9일 만에 물러났습니다.
계엄으로 혼돈에 빠진 국정을 수습해야 할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지만, 시종일관 모순적이고 이해할 수 없는 행보로 혼란을 증폭시킨 한 전 총리.
자신이 그토록 막고자 했던 내란 특검 수사가 본격화하면서, 이제 그 의문스러운 행적의 비밀도 풀리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홍의표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