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분기 유의·부실우려 2조6000억원 정리했는데
같은 기간 2조7000억원 늘어 부실 규모 확대
부동산PF 연체잔액도 1분기만에 1조원 증가
토담대 연체잔액 7400억 증가, 연체율 30% 육박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현장. /뉴스1

건설·부동산 경기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으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도 쌓이고 있다. 금융권이 부실채권을 상각·매각해 정상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더 많은 부실이 새롭게 발생하며 전체 부실 규모가 커지고 있다.

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4.49%로, 직전 분기보다 1.07%포인트 상승했다. 관련 수치를 공개한 이후 최고치다. 증권업권 연체율은 같은 기간 5.49%포인트 상승한 26.14%로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은 7.7%였고, 여신전문업권은 5.4%, 은행·보험은 1~2% 수준이다.

연체율이 증가한 이유는 부실 자산을 없애는 속도만큼 새로운 부실이 더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3월까지 부동산PF 부실채권 매각·상각 규모는 저축은행 3조원과 상호금융 3조2000억원이었는데, 같은 기간 신규 연체액은 각각 6조8000억원과 15조6000억원이었다.

금융권은 올해 1분기 2조6000억원의 유의 부실우려 등급 사업장을 정리·재구조화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유의·부실우려 여신은 직전 분기보다 2조7000억원 늘어난 21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부동산PF 연체 잔액도 같은 기간 1조원 이상 늘어난 5조3900억원으로 집계됐다.

뉴스1

특히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연체율은 올해 1분기 28.05%로 상승했다. 토담대는 부동산 사업 초기 땅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상품이다. 건물은 없지만 미래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것이다. 당장 수익성이 없는 만큼, 한번 부실이 발생하면 겉잡을 수 없이 확산된다.

토담대를 가장 많이 보유(9조9000억원)한 상호금융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6.62%로 금융권에서 가장 높았다. 토담대 5조3000억원을 보유한 저축은행은 25.62%다. 토담대 잔액은 올해 1분기 16조9000억원으로 직전 분기(18조4000억원)보다 줄었지만, 연체 잔액은 같은 기간 약 7400억원 늘어난 4조7400억원을 기록했다.

부동산PF 부실이 계속되는 것은 건설·부동산업 경기가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건설사들은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 개발에 나섰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속출하면서 대출금을 갚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은행이 연체율 상승으로 기업대출을 조이면서, 건설사가 자금을 융통하지 못해 부실 규모가 커진 것이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종합건설업체는 529곳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1~5월에는 214곳이 문을 닫았다. 이 추세라면 올해 폐업한 건설사 규모는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와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 당국은 2금융권 전반에 적용됐던 한시적 부동산PF 규제 완화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하는 한편 2차 추경을 통해 마련한 5조4000억원을 중소건설사 비은행권 PF 특별보증 등으로 사용하며 유동성을 공급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부동산PF 유동성 지원 방안이 중소건설사의 리스크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32 [속보] 李대통령 “추석 전까지 검찰개혁 제도 얼개 만드는 것 가능” 랭크뉴스 2025.07.03
50731 李 대통령 "민생지원금 추가 지급 계획, 그때 가봐야" 랭크뉴스 2025.07.03
50730 李 대통령, 인사 지적에 “이제 야당 대표 아닌 대통령···통합 국정해야” 랭크뉴스 2025.07.03
50729 "눈물날 지경" 유언까지 썼다…도쿄행 비행기 급강하에 패닉, 뭔일 랭크뉴스 2025.07.03
50728 [속보] 李 "검찰개혁 자업자득…기소에 맞춰 사건 조작 안돼" [취임 한달 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727 [속보] 李 "주4.5일제 점진적 추진…노동시간 단축 반드시 해내야" [취임 한달 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726 李 “지원금으로 소고기 사먹야지 하더라… 소비 진작·재분배 기대” 랭크뉴스 2025.07.03
50725 [속보] 이재명 대통령 "한쪽 편만 쓰지 않고 통합 국정해야" 랭크뉴스 2025.07.03
50724 [속보]이 대통령 “대북방송 중단, 北 호응 기대 이상” 랭크뉴스 2025.07.03
50723 [속보] 李대통령 “檢 수사·기소권 분리 이견 없어…검찰개혁은 국회 몫” 랭크뉴스 2025.07.03
50722 [단독] 한화오션, 美 조선소 직원 韓 파견… 건조 역량 키운다 랭크뉴스 2025.07.03
50721 美 루비오, 방한 닷새 앞두고 취소…한미 관계 이상기류 감지되나 랭크뉴스 2025.07.03
50720 [속보] 이 대통령 "기소 자체를 목표로 수사하고 조작하는 건 결코 있어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7.03
50719 [속보] 李 “민생지원금, 소비진작·소득지원 기대…더 줄 계획은 없어” 랭크뉴스 2025.07.03
50718 [속보] 순직해병특검 "이종섭·김계환 등 출국금지 조치" 랭크뉴스 2025.07.03
50717 [속보] 李대통령 "추경 또 할지 그때 가봐야…재정상황 녹록지 않아" 랭크뉴스 2025.07.03
50716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민생 회복 전력 다하는 중” 랭크뉴스 2025.07.03
50715 [속보]李대통령, 대북정책에 “대화 전면단절은 바보 짓” 랭크뉴스 2025.07.03
50714 [속보]이 대통령 “인사, 색깔 맞는 쪽만 쓰면 위험···정책·결과로 판단했으면”[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713 [속보]이 대통령 “타협과 야합은 구분해야···영수회담 정례화는 고민해볼 것”[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