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청산가치 3.7兆 vs 계속가치 2.5兆
청산 시 대규모 실직 우려도
쿠팡·GS·이마트·알리 등 인수전 ‘촉각’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있는 국내 대형마트 3위 홈플러스가 매각 절차에 공식 돌입했다. 통매각, 분할매각, 자산 청산 등 세 가지 시나리오가 현실적으로 거론된다. 부동산 자산 가치와 과도한 부채 구조, 인수 후보군의 등장 여부가 매각 성패를 가를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3일 투자은행(IB)업계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7월 조건부 인수 계약 체결을 시작으로, 8~9월 본입찰 및 최고 득점자 선정, 9월 말 최종 인수 예정자 결정을 거쳐 3개월 내 매각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후 10월 회생계획안 제출, 11월 관계인 집회 등 법정 절차도 병행된다. 매각은 사전 유력 인수자를 내정한 뒤 경쟁입찰을 거쳐 최종 인수자를 확정하는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진행된다. 매각 주관사는 삼일PwC가 맡았다.

그래픽=정서희

‘청산가치 > 계속기업가치’… 매각가 현실화 여부가 관건
법원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청산가치는 약 3조6816억원, 계속기업가치는 2조5059억원으로 평가됐다. 이론적으로는 청산이 유리하지만, 고용과 지역경제, 공급망 등 파급 효과를 고려해 인수합병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채무자회생법상 ‘청산가치 보장 원칙’에 따라 인수 조건이 청산가치에 상응해야 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실제 매각가는 지분 구조, 채권단 동의, 인수자의 부담 조건 등에 따라 1조~2조원대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시장의 중론이다. 홈플러스는 전국에 대형마트 126곳, 익스프레스(SSM) 308곳, 물류센터 6곳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자가 소유 점포는 58곳이다. 유형자산 장부가액은 약 4조8000억원, 이 중 토지 자산이 3조원에 달한다. 부동산 자산 유동화 매력은 크지만, 인수자 입장에서는 고정비 부담과 노후 점포 관리 이슈가 문제로 남는다.

통매각·분할·청산 시나리오 모두 현실화 가능성
홈플러스의 총차입금은 약 5조5000억원으로 파악된다. 이 중 3조4000억원가량은 리스부채(점포 임차료)이며, 나머지 금융권 차입은 2조원 수준이다. 여기에 상환전환우선주(RCPS) 1조1500억원도 실질적 부채로 평가된다. 매각 이후에도 상당수 점포를 재임차해야 하는 구조라 재무개선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2024년 기준 홈플러스는 영업 적자 3141억원을 기록했고, 4년 연속 적자와 자본 잠식으로 재무구조도 악화한 상태다. 매각 흥행을 위한 실적 반등 기대감이 반영되기 어려운 이유다.

매각 방식은 ▲전체 점포 일괄 인수(통매각) ▲자산·사업부별 분리 매각(분할매각) ▲부동산 자산 처분 후 법인 해산(청산)으로 압축된다. 통매각은 126개 대형마트와 308개 익스프레스를 포함한 전체 사업을 인수하는 구조다. 대규모 자금력과 구조조정 능력이 요구된다. 분할매각은 홈플러스 익스프레스(SSM)나 자가 보유 점포 위주로 분리 매각하는 방식이다. 2023년 중에도 검토됐던 구조다.

만일 적정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부동산을 매각한 뒤 법인을 해산하는 청산 시나리오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이 경우 대규모 실직이 우려된다. 2025년 6월 말 기준 홈플러스의 직접고용 인원은 약 1만9280명이다. 여기에 협력업체 직원 등 간접고용 인력을 포함하면 실직 규모는 훨씬 커진다.

5월 27일 인천 미추홀구 홈플러스 인천숭의점 매장. /뉴스1

쿠팡·GS·이마트·알리 등 거론… 메리츠, 청산에 무게?
시장에서는 이마트, 농협, GS리테일, 쿠팡, 알리익스프레스 등 전략적 투자자(SI)부터 중국계 자본, 일부 국내외 사모펀드(FI)까지 다양한 잠재 인수 후보군이 거론되고 있다. 쿠팡이나 알리 측은 전국 점포망을 물류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가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공정거래위원회 기업결합 심사 부담, 유통 규제, 오프라인 업황 둔화 등은 실제 참여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홈플러스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차입 인수 후 실적 악화, 투자금 손실 논란으로 인해 FI 진입은 보수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채권단의 최대 지분을 보유한 메리츠금융(1조2000억원 규모)은 인수자 선정과 조건 검토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 부동산 담보신탁 우선수익권을 보유하고 있어 청산 시 회수 전략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매각가가 2조원을 넘기면 메리츠 입장에서 무손실 회수가 가능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회생절차 일정상 홈플러스는 내년 3월 4일까지 회생계획안을 법원에서 인가받아야 한다. 즉, 남은 매각 시한은 약 8개월이다. 그 안에 인수자가 확정되지 않을 경우 회생절차 종결과 청산 절차 전환이 불가피하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 매각은 자산·부채·노조·정치 이슈가 모두 얽힌 구조”라며 “통매각, 분할, 청산 시나리오 모두 가능성이 있으며, 인수 희망자와 채권단·법원의 이해가 어떻게 교차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64 7세 딸 주먹질에 발길질까지 무차별 폭행…한강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8
53163 [단독] 순수했던 우크라 사업이 삼부토건 끼며 ‘구호’→‘재건’ 변질? 랭크뉴스 2025.07.08
53162 [단독]‘자본잠식’ 김건희 측근 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특검 ‘대가성 여부’ 수사 랭크뉴스 2025.07.08
53161 “싸게 산다는데 웬 오남용 걱정?”…창고형 약국 가보니 랭크뉴스 2025.07.08
53160 김건희 특검, 김건희 측근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 수사 랭크뉴스 2025.07.08
53159 ‘블랙핑크 리사 연인’ 프레드릭 아르노 방한… 국내 백화점 4사 대표 만나 랭크뉴스 2025.07.08
53158 특검, 윤 정부 시절 184억 투자 받은 김건희 측근 업체 주목 랭크뉴스 2025.07.08
53157 “정말 크게 후회”…여인형, 내란 혐의 증인신문 포기 랭크뉴스 2025.07.08
53156 "대체 뭐길래 3분 만에 마감"…231억 짜리 '이곳'에 사람들 우르르 랭크뉴스 2025.07.08
53155 "이런 후보자를 어떻게 방어하나"... 부글부글 민주당, 이진숙 엄호 '이상기류' 랭크뉴스 2025.07.08
53154 강선우 후보자, '스쿨존' 과태료 늦장 납부 논란…"수행비서 운전" 랭크뉴스 2025.07.08
53153 "두 달 만에 또 '우르르' 짐싸게 생겼다"…9000명 해고한다는 '이 회사' 랭크뉴스 2025.07.08
53152 7번 찾아가고도 1%p 더 내게 된 일본 "이럴 수가" 랭크뉴스 2025.07.08
53151 3주 남기고 한미정상회담 조율‥'속도보다 국익' 강조 랭크뉴스 2025.07.08
53150 故 이건희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원에 팔렸다 랭크뉴스 2025.07.08
53149 117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서울, 퇴근길엔 '기습폭우'… 지하차도 곳곳 침수 랭크뉴스 2025.07.08
53148 오늘 날씨 왜 이러지? 폭염인데 우박 쏟아지고 물난리 속출 [제보] 랭크뉴스 2025.07.08
53147 추가 구속 뒤 달라진 여인형 “깊이 후회하고 있다”…증인신문도 포기 랭크뉴스 2025.07.08
53146 “1년 기다려야 받는다”…샤오미 YU7 조기 수령권까지 웃돈 주고 산다[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7.08
53145 서울 서남권에 호우 경보…하천 산책로·지하차도 침수 유의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