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무역상대국 중에선 베트남이 처음
미국산 상품, 베트남에 0% 무관세 수출
베트남 기본 20%·환적 상품에 40% 관세
미국산 상품, 베트남에 0% 무관세 수출
베트남 기본 20%·환적 상품에 40% 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발표 행사에서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문서를 보여주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오는 8일(현지시간) 상호관세 부과 유예 기한 종료를 앞두고 베트남과 두 번째 무역협상을 타결했다.
2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 후 베트남과 막 무역합의를 타결했다는 소식을 전하게 돼 매우 영광"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전 세계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율을 발표한 후 무역협상에서 합의를 성사시킨 것은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인도·태평양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 국가 중에선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 내용과 관련,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베트남산(産) 상품에 대해 20%의 관세를 부과하며 환적(제3국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 상품에는 40%의 관세를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초고율 관세를 책정했으나 이번 합의를 통해 이를 20%로 대폭 인하한 것이다.
미국이 베트남에 수출하는 상품에는 무관세가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베트남은 이전에 결코 한 적 없는 조치, 즉 미국에 대한 무역 시장 완전 개방을 허용하기로 했다"며 "이는 우리가 베트남에 제품을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미국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또는 대형 엔진 차량이 베트남으로 수출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지난해 기준 베트남은 미국의 세 번째 무역수지 적자국이다. 상호관세 유예 종료 이전 대미 수출 물량이 급증하면서 지난 5월 베트남의 대미 수출과 무역흑자는 138억 달러(약 18조7,000억 원)·122억 달러(약 16조6,000억 원)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42%씩 급증했다.
앞서 트럼프 정부로부터 고율 관세를 부과 받은 베트남 정부는 미국발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한 협상을 진행해왔다. 상호관세 부과 직후 럼 서기장은 협상 과정에서 미국과의 협상 타결을 위해 베트남의 대미 관세율을 '0'으로 낮추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 9일 발효됐다가 90일 동안 미뤄진 상호관세 유예 기간은 오는 8일 종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