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검찰 조사서 ‘강의구 실장 요구·확인 차원 서명’ 진술
특검, 내란 혐의 회피용 허위진술 의심…허점 캘 듯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전 내란 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으로 들어가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지난 1월 검찰 조사에서 사후 계엄선포문 서명 이유에 대해 ‘최초·사후 계엄선포문이 같다는 의미에서 서명했다’라는 납득하기 어려운 대답을 내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2일 한 총리를 불러 조사하면서 한 전 총리 과거 진술의 허점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 취재 결과 한 전 총리는 지난 1월 검찰 조사에서 “(비상계엄) 다음날 아침 8시 출근하면서 제 양복 하의 뒷주머니에 에이포(A4) 용지 크기의 비상계엄 선포문 2장이 들어있는 것을 발견”했다며 “(지난해 12월5일에) 강의구 부속실장이 제게 전화를 해서 비상계엄 관련 회의 자료가 없는데 가지고 있는 것이 있느냐고 물어봐서 제가 갖고 있던 비상계엄 선포문 2개 중 1개를 강의구 실장에게 인편으로 보내줬습니다”라고 진술했다. 이어 “강의구 부속실장이 다시 제게 전화를 해서 ‘혹시 이것에 대해 사인을 해 줄 수 있냐’라고 물어봤습니다. 그래서 제가 ‘무슨 사인이냐’라고 했는데, 당시 저는 사인은 곤란하지 않겠냐고 생각은 했습니다만, 그쪽에서 사인하는 란을 만들어 보내 줘서 저는 사인란에 제 이름의 서명을 해서 강의구 실장에게 다시 보내줬습니다”라고 덧붙였다.

다만 한 전 총리는 “이러한 행동이 계엄해제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 같아, 그 다음 날 강의구 실장에게 전화해서 ‘내가 사인한 이유는 이 문서가 내가 가지고 있는 문서와 같은 의미로 한 것이고, 그 사인한 것을 폐기해 달라’라고 얘기”했다고 강조했다. 최초·사후 계엄선포문이 같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서명했다는 취지인데, 이같은 진술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두 문건이 같다는 사실을 한 전 총리가 확인해 줄 이유도,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특검은 여러차례 계엄에 반대했다고 주장해 온 한 전 총리가 자신의 주장과 달리 사후 계엄선포문에 서명을 한 사실이 드러나자 내란 관련 혐의를 받을 것을 우려해 검찰에서 사실과 다른 진술을 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강 전 실장의 진술 역시 빈틈이 많다. 강 전 실장은 지난 2월 검찰 조사에서 사후 계엄선포문을 만든 이유에 대해 “12월5일 낮에 김주현 민정수석이 제게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 만들어야 하는데 문서가 있냐?’라고 물어보면서 ‘문서가 있나 모르겠다’라고 말하면서 쓱 지나갔습니다. 그래서 제가 헌법을 찾아보니 문서가 필요하다고 규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런 다음 돌아가는 상황을 가만히 보니 국방부가 전혀 움직이는 게 안 보였습니다. 그래서 제가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해서 총리께 말씀드린 것”이라고 진술했다. 검찰은 이같은 진술을 믿지 않고 “민정수석이나 민정수석실에서 검토한 뒤 진술인에게 서명을 받으라고 시킨 것 아니냐”라고 물었지만, 강 전 실장은 “아닙니다. 제가 스스로 만들었습니다”라고 답변했다.

이에 검사가 “국무총리 서명을 받는 문제인데 대통령의 지시도 없이 국무총리에게 서명을 요구하였다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는다”라고 묻자 강 전 실장은 “대통령은 그때 관저에 계실 때인데 따로 말씀드릴 상황은 아니었습니다”라고 답변했다. 이어 “그때는 지금처럼 그렇게 하는 행동이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강 전 실장은 “제가 대통령께 헌법에 나와 있는 사항이라고 말하면서 대통령의 서명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라고 진술했다. 자신이 윤 전 대통령에게도 서명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강 전 실장의 진술대로라면, 대통령의 일정 등을 담당하는 부속실장이 스스로 판단해 계엄 관련한 문건을 만들고 대통령과 국무총리에게 서명까지 요구했다는 것이다. 이는 설득력이 떨어지는 진술이다.

특검은 사후 계엄선포문 작성과 한 전 총리의 서명 요구 등이 윤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지난달 30일 강 전 실장을 상대로 강도 높은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56 이 대통령, 야5당 지도부 오찬서 나온 '조국 사면' 건의에 즉답 안 해 랭크뉴스 2025.07.03
50855 [단독] 네이버·카카오,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 웹툰 손절 랭크뉴스 2025.07.03
50854 외신기자 ‘서툰’ 한국어 질문에…이 대통령-윤석열 ‘상반된 태도’ 화제 랭크뉴스 2025.07.03
50853 "해수부 이전 말이 많은데‥" 대통령 귀에도 들어갔는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7.03
50852 의협 “의료사태 해결의 장 열리길…의학교육 정상화 시급” 랭크뉴스 2025.07.03
50851 [단독] 평양 무인기 기종, 부품 뺀 수상한 개조…“추락 언제든 가능” 랭크뉴스 2025.07.03
50850 "尹-김건희 우리가 이어줬다" 삼부토건 두 회장 미스터리 [특검 150일 ②] 랭크뉴스 2025.07.03
50849 李대통령 "檢 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다…대출규제는 맛보기"(종합) 랭크뉴스 2025.07.03
50848 김민석 총리 임명동의안 국회 통과…국힘은 표결 불참 랭크뉴스 2025.07.03
50847 대통령실 등 퇴직공무원 줄줄이 쿠팡 이직... 홍철호 굽네치킨 복귀 랭크뉴스 2025.07.03
50846 [단독] 中 공세에 TV 이익 '반토막'…삼성, 조직·인력 슬림화 강수 랭크뉴스 2025.07.03
50845 “북한, 러시아에 3만명 추가 파병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3
50844 “매일 목욕하면 빨리 죽습니다”…AI가 만든 의사 영상에 속아 랭크뉴스 2025.07.03
50843 삼성전자 최대 노조, 조합원 수 3만명 아래로… 총파업 1년 만에 와해 랭크뉴스 2025.07.03
50842 "러브버그 잡아먹는 천적 목격"…러브버그 습격 7월 중순 끝난다 랭크뉴스 2025.07.03
50841 李 ‘30일 기자회견’에… 野 “역대 가장 빠른 자화자찬” 랭크뉴스 2025.07.03
50840 野5당 "조국 등 사면·복권"…李대통령 "수형 실태 파악" 지시 랭크뉴스 2025.07.03
50839 [단독] 김영훈 "살펴볼 테니 야간 농성이라도 중단"…고용부, 주얼리 업체 근로감독 검토 랭크뉴스 2025.07.03
50838 “결혼 안 하면 퇴사, 각서 써”…부하직원끼리 결혼 강요한 직장 상사 랭크뉴스 2025.07.03
50837 “이 정도면 근심주택”서울시 청년 안심 주택 임대보증보험 미가입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