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정부 들어 첫 대규모 방산 수출이 성사됐다. K2 ‘흑표’ 전차의 폴란드 2차 수출 계약이다. 정부는 이번 계약을 발판삼아 K-방산의 강점으로 꼽히는 가성비 및 빠른 납기일 달성에 ‘현지화’ 요소까지 더해 유럽 업체들의 견제를 돌파하겠다는 복안이다.

지난 3월 폴란드에서 열렸던 나토 지상군 연합 훈련인 드래곤 24(Dragon 24)에서 폴란드 육군의 K2 흑표 전차가 기동하고 있다. 폴란드 육군은 K2 외 미국의 M1A2C 에이브럼스, 독일의 레오파르트 2A4를 보유하고 있다. 레딧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 국방부 장관과 K2 전차 제작업체인 현대로템 간 2차 계약 협상이 2일(현지시간) 폴란드에서 이뤄졌다. 계약 규모는 양측 협의로 공개하지 않았지만, 67억 달러(약 9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추정대로라면 이는 개별 방산 수출계약으로는 역대 최고액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K2 2차 계약은 2022년 K2 180대, K9 212문, FA-50 48대, 천무 다연장로켓 등의 1차 계약에 이어 예정된 수순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지만, 협상은 3년 가까이 장기화됐다. 2023년 K9 자주포, 2024년 천무 2차 계약이 순차적으로 맺어지는 상황에도 K2 2차 계약 소식은 좀처럼 나오지 않았다. 협상 과정에서 폴란드형 K2 전차(K2PL) 개발과 현지 생산 등이 계약 내용에 포함되면서 사업 범위가 넓어지고, 규모도 커졌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1차 계약은 한국 내 생산 완제품으로 구성된 반면 2차 계약은 폴란드 군에서 요구하는 성능을 반영한 K2PL을 인도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2차 계약에선 180대 중 117대는 현대로템이 생산해 공급하고, 나머지 K2PL 63대는 폴란드 업체 PGZ가 현지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폴란드 내 생산 시설도 구축해야 한다는 뜻으로, 장기적 방산 협력의 토대가 마련되는 셈이다.
현대로템과 한화디펜스는 2022년 8월 26일(현지시간) 폴란드 군비청과 K2 흑표 전차 및 K-9 자주포 수출을 위한 57억6천만 달러(약 7조6천780억원) 규모의 1차 이행계약을 체결했다고 방위사업청이 27일 밝혔다. 당시 인사들은 왼쪽부터 세바스찬 흐바웩 PGZ 회장, 손재일 한화디펜스 사장, 엄동환 방위사업청장,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 유동준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장. 방위사업청
방사청은 "현지 생산 거점 구축은 총괄 계약에 포함된 K2 전차 총 1000대 물량에 대한 후속 계약의 이행 가능성을 높인 것"이라고 평가했다. 2022년 7월 폴란드와 맺은 K2 1000대, K9 자주포 672문, FA-50 48대, 천무 288문 등 4종 포괄계약의 실현 가능성을 거론한 것이다.

K2 계약 대수만 보면 1차와 같지만, 추정 금액이 약 9조원으로 1차 계약(약 4조 5000억원)의 두 배에 이를 것으로 관측되는 건 이런 간접적 효과까지 감안했기 때문이다. 이런 다양한 현지화 시도에는 폴란드 측의 자금조달 사정이 녹록지 않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이재명 정부에서 도출된 첫 대규모 성과라는 점을 고려, 정부는 폴란드에 고위급 특별사절을 파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방사청 관계자는 "구체적인 계약 규모는 추후 공개할 예정"이라면서 "계약 체결식은 양국의 정부 고위급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방사청은 "이번 계약이 유럽연합(EU)에서 지난 3월 발표한 '유럽 재무장 계획'에 부합하는 방산 협력 모델"이라며 "유럽 내 개별 국가는 물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차원에서도 새로운 방산 수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실제 최근 나토가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에 응해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까지 올리기로 약속하고, 자체적 방위력 강화에 집중하기로 한 것과 맞물려 K-방산의 시장 진출 기회도 훨씬 커졌다는 분석이다.

실제 방산업계에선 이번 K2 2차 계약이 K-방산의 유럽 현지화 전략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적지 않다.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3월 유럽 재무장 계획을 발표하면서 역내 방산기업을 우대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바이 유러피언'으로 불리는 재무장 정책은 2030년까지 5년간 8000억 유로(약 1200조원)를 투입해 EU회원국의 무기 보유를 늘리는 게 골자다.

이 과정에서 EU는 1500억 유로 규모의 예산 여유분을 각국에 저리 대출로 지원하는데, 이를 위해선 총 무기 생산 비용의 65%에 달하는 부품을 EU 역내에서 만들어야 한다. 이는 K-방산을 비롯한 역외 방산 경쟁국에 대한 견제책으로도 볼 수 있어 현지화는 필수 과제로 꼽힌다.

이와 관련,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4월 폴란드 최대 방산 기업인 WB그룹과 천무 현지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에 합의했다. K2를 생산하는 현대로템은 루마니아와 현지 생산을 계획하면서 수출 전선을 확대할 계획이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폴란드 2차 계약의 현지화가 차질 없이 진행되면 해당 국가에서 3·4차 후속 계약은 물론, 역내 EU 국가에서도 좋은 소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앞으로도 K2 전차가 한국뿐 아니라 유럽의 안보를 책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94 미래 인류, 화성 이주했다 벼락 맞을라 랭크뉴스 2025.07.07
52293 美 재무장관 “협상 불발 국가, 상호관세 첫 부과 당시 세율 적용… 8월부터” 랭크뉴스 2025.07.07
52292 [Today’s PICK] 7월에 최다로 뛴 코스피…올해 ‘서머랠리’도 주목 랭크뉴스 2025.07.07
52291 "유튜브 2배속, 기억력 망친다?"…Z세대 속도 중독에 뇌 '적신호' 랭크뉴스 2025.07.07
52290 카트 끌고 약 쇼핑에 오픈런까지‥약사들은 반발 왜? 랭크뉴스 2025.07.07
52289 소비쿠폰, 쿠팡 안되고 치킨집에선 가능…지급 수단은 택1 랭크뉴스 2025.07.07
52288 러, 우크라 공습 지속…도네츠크 등지서 5명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287 [사설] 통상본부장 이어 안보실장 급파, 가시적 성과 거둬야 랭크뉴스 2025.07.07
52286 SKT 해킹 사고 보상안에 고객들 ‘유지냐 해지냐’ 셈법 분주 랭크뉴스 2025.07.07
52285 버티고 버티다 결국…작년 폐업자 첫 100만명, 그중 절반 소매·음식점 랭크뉴스 2025.07.07
52284 ‘안전한’ 돈다발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07
52283 독단 리더십 비판 목소리 커져… 여권서도 “이진숙, 부담스럽다” 랭크뉴스 2025.07.07
52282 푸틴 "서방, 반러시아 정책 추구하느라 내부 문제 악화" 랭크뉴스 2025.07.07
52281 위성락, 마코 루비오 등 면담… 관세 유예 시한 연장 ‘방점’ 랭크뉴스 2025.07.07
52280 방미 통상본부장 “실리 최대화…관세, 산업·기술 협력 묶어서 협상” 랭크뉴스 2025.07.07
52279 [단독] "소비쿠폰, 식자재마트 허용을"…당정, 지방선 사용처 확대 검토 랭크뉴스 2025.07.07
52278 尹 구속영장 청구에 정청래 “즉시 감옥” 박찬대 “사필귀정” 랭크뉴스 2025.07.07
52277 미 재무 "8월 1일부터 협상 불발 국가엔 4월 발표했던 상호관세율 적용" 랭크뉴스 2025.07.07
52276 최측근에서 최대 정적으로…감세 반발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 랭크뉴스 2025.07.07
52275 한스텝 빠른 조은석 스타일… 내란특검, ‘n차 소환’ 대신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