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방사청 “폴란드에 생산거점 구축… 후속 계약 이행 가능성 높여”

현대로템이 폴란드와 K2 전차 2차 수출계약을 최종 타결하면서 유럽 방산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더 공고히 하게 됐다.

방위사업청은 2일(현지 시각)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 폴란드 국방부 장관이 현대로템과 K2전차 2차 계약 협상을 완료했으며,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고 밝혔다.

구체적 계약 규모는 폴란드 측 요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업계에서는 2차 계약이 K2 전차 180대로 약 65억달러(8조8335억원) 규모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개별 방산 수출계약으로는 사상 최대이다.

폴란드 정부는 조만간 양국 고위급이 참석하는 공식 계약 체결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폴란드 그드니아 항구에 도착한 폴란드 K2 전차 모습. /현대로템 제공

이번 계약은 단순 수출을 넘어 폴란드 현지 생산과 기술이전까지 포함돼 방산 협력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폴란드는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급변한 안보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방산업체들과 포괄적 총괄계약(Framework Contract)을 체결한 바 있다.

같은 해, K2 전차 180대를 포함해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천무 다연장로켓 등 총 4개 무기체계에 대한 1차 이행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K9 자주포(2023년), 천무(2024년) 2차 계약도 차례로 성사됐다.

현대로템은 이 중 K2 전차 1차 계약을 통해 180대를 수출했으며, 초기 물량은 한국에서 생산된 완제품으로 납품됐다. 이 계약을 통해 현대로템은 단숨에 글로벌 방산시장에서 ‘전차 수출국’으로 도약했다.

K2 전차는 첨단 사격통제장치, 자동 장전 시스템, 복합 장갑 등을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3.5세대 전차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2차 계약은 폴란드군의 요구에 맞춘 ‘K2PL’ 개발과 현지 조립 생산이 포함돼 단순 납품 이상의 전략적 협력으로 확장됐다. 일부 물량은 폴란드 내에서 현대로템과 현지 방산업체 간 협력을 통해 생산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폴란드에 K2 전차 생산시설도 새롭게 구축된다.

이는 총괄계약에 포함된 최대 1000대 전차 중 향후 계약 이행의 기반을 마련하는 결정적 계기가 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계약은 EU가 2025년 3월 발표한 ‘유럽 재무장 계획’의 방향성과도 맞물린다. 유럽 각국이 러-우 전쟁 이후 방위력 강화를 추진하면서, 현지 생산 기반을 갖춘 한국형 무기체계가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K2PL 계약은 우수한 기술력, 생산 경쟁력, 맞춤형 개량, 현지화 전략이 결합된 ‘K-방산 수출 모델’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정부 관계자는 “K2 전차 2차 계약은 국방부, 방사청, 외교부, 산업부, 기재부, 육군 등 민관군이 ‘원팀’으로 협력한 결과물”이라며, “폴란드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우리 정부는 지속적인 기술이전과 금융 지원 등을 통해 폴란드의 신뢰를 얻어냈다”고 말했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이번 계약은 K-방산이 일회성 수출을 넘어 유럽 안보 파트너로서 자리매김하는 전환점”이라며 “K2 전차가 앞으로 한국은 물론 유럽의 핵심 방어 자산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로템은 이번 계약으로 단순 방산 수출 기업을 넘어, 유럽 내 전차 생산 거점을 확보한 ‘글로벌 방산 플랫폼 기업’으로 위상이 격상됐다. 방산 수출의 지형을 바꾸며 K-방산의 유럽 진출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었다는 평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73 홍철호 전 정무수석, 굽네치킨 유통사 회장 복귀 ‘가능’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72 [속보] 국민의힘 '김민석 총리 인준' 본회의 불참키로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71 “헤어지는 게 해결책 아닙니다”…남북 ‘부부’에 비유한 이 대통령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70 李 "대출 규제 맛보기 불과…부동산 대책 엄청나게 남아있어" [취임 한달 회견]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9 [속보] 이 대통령 "차별금지법, 중요한 과제지만 민생 경제가 더 시급"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8 李 “부동산 대출 규제는 맛보기…공급도 속도 충분히”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7 24시간이 모자라… ‘취임 한 달’ 李 “민생 회복이 최우선, 대출규제는 맛보기 불과”(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6 이재명 대통령 “30.5조 추경으로 민생·성장 동시 해결” [전문]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5 李 대통령 "주 4.5일제, 반드시 해내야 하는 과제"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4 전북어린이창의체험관 주차장서 3세 여아 차량에 치여 숨져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3 특검, 삼부토건 압수수색…김건희 ‘주가조작’ 가담 여부 조준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2 국힘 내 인적 쇄신 요구 분출 “중진 총선 불출마, 2선 후퇴 선언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1 李 "새 신도시 건설? 목 마르다고 소금물 계속 마시는 격" [취임 한달 회견]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60 李대통령 "대출규제는 '맛보기'에 불과…부동산 정책 엄청 많아"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9 미성년자 9차례 성폭행한 충주시 공무원 구속…"도주 우려"(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8 이 대통령 “눈치가 좀 보이지만, 하루가 30시간이었다면…”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7 자매 숨진 아파트 합동 감식 "발코니 에어컨 쪽 많이 그을려"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6 국민의힘, '김민석 총리 인준' 표결 불참…상법 처리는 참여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5 “고등어 가격 보고 장보기 겁나네” 가공식품 값도 슬쩍 인상 new 랭크뉴스 2025.07.03
50754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민생 회복 전력…통합의 국정” new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