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야, 3일 본회의서 상법 개정안 처리 합의
'3%룰', 이사 충실의무 대상 확대 등 포함
"자본시장 선진화의 첫 발판 마련" 평가
집중투표제·감사위원 확대 등 남은 쟁점도
"꾸준한 제도 개선 없으면 단기 상승에 그쳐"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여야의 상법개정안 처리 합의 이후 열린 법안심사소위원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용민(가운데) 소위원장이 안건을 상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 합의로 상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게 됐다. 핵심 쟁점이었던 '3%룰'을 포함해, 주주 권익 보호 중심을 뼈대로 한 상법 개정 합의 소식에 일반 투자자들은 두 팔 벌려 환영하는 분위기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코스피 5000' 시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2일 그간 입장이 엇갈렸던 3%룰을 포함한 상법 개정안을 보완해 오는 3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3%룰은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 주주,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내용이다. 재계에선 "경영권 침해 소지가 있다"는 이유로 반발이 커 막판까지 진통을 겪었다.

이날 여야 합의를 이룬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기존 '회사'에서 '주주'로까지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독립이사제 도입 등 소액주주의 권리 보호를 위해 경영진을 감시·견제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들도 포함됐다.

민주당은 그동안 상법 개정을 적극 추진해왔다. 하지만 4월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며 한 차례 물거품이 된 바 있다. 이후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상법 개정을 공약으로 내걸고 조속한 법안 처리에 공을 들여왔다.

상법 개정 합의 소식에 투자자들은 환영의 뜻을 밝히고 있다. 일반 주주들은 상법 개정을 국내 자본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주장해왔다. 국내 기업들이 기업분할·합병 등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소수 지배주주의 이익을 위해 나머지 주주 이익을 희생시키면서 신뢰를 잃을 대로 잃었기 때문이다.

여야 협치 법안 1호로 상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이재명 정부의 증시부양 정책에도 힘이 실리면서 '코스피 5000' 시대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질 전망이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상법 개정으로 주주권익 보호 측면에서 우리나라 경제가 한층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을 것"이라며 "경영진이 주주를 위해 기업가치 제고에 힘써야 한다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쟁점은 남아 있다. 여야는 △집중투표제 도입 △감사위원 확대 관련 내용은 향후 공청회를 통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재계의 반발이 큰 배임죄 남용 등 과도한 형사화로 인한 기업 경영권 침해 가능성도 논의가 필요한 지점이다.

소액주주들 사이에선 △자사주 소각 의무화 △의무공개매수 제도 도입 △주주총회 의장에 회사 대표가 아닌 제3자 선임 △주주명부 이메일 주소 기재 등 주주 권리 확대를 위한 후속 법 개정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온다. 소액주주 플랫폼 액트의 이상목 대표는 "현행 주주총회 구조는 일반투자자가 이사 선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칠 수 없는 만큼, 충실의무 조항을 넘어 주주총회 운영 등과 관련해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창민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아직 합의가 되지 않은 집중투표제 등까지 보완되면 상법 개정으로 진정한 자본시장 활성화의 발판이 마련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주가가 상승하겠지만 중장기 모멘텀이 되기는 어려운 만큼 이런 제도 개선이 정권 내내 꾸준히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관기사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170 한성숙 중기부 장관 내정자, 네이버 스톡옵션 4만주 포기···6만주 행사 랭크뉴스 2025.07.04
51169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랭크뉴스 2025.07.04
51168 임은정 “검찰 바뀐 모습 안보이면 해체 가까운 개혁 당할 것” 랭크뉴스 2025.07.04
51167 송언석 “민주당, 집권하자 대통령실 특활비 증액? ‘내로남불’ 사과해야” 랭크뉴스 2025.07.04
51166 이란 외무차관 “美에 추가보복 안해…우라늄 농축은 계속” 랭크뉴스 2025.07.04
51165 "계란 문대는 놈, 유영철이야" 형사는 영등포 사창가 찍었다 랭크뉴스 2025.07.04
51164 [단독] 샤넬백 교환한 김건희 비서, 압색 중 폰 보는 척 초기화했다 랭크뉴스 2025.07.04
51163 임은정 "수술대 놓인 검찰, 안 바뀌면 해체 가까운 개혁 당할 것" 랭크뉴스 2025.07.04
51162 대한항공, 인천-두바이 노선 갑자기 일방 감편…“대체 비행 가능 통보도 안해” 랭크뉴스 2025.07.04
51161 군 “어젯밤 군사분계선에서 북측 인원 신병 확보” 랭크뉴스 2025.07.04
51160 여야, 추경 협상 불발…민주, 2조 증액한 추경안 단독 처리할 듯 랭크뉴스 2025.07.04
51159 “중국인들 잡아라”...불닭의 ‘승부수’ 랭크뉴스 2025.07.04
51158 내란특검, ‘안가회동’ 김주현 전 민정수석 소환…김성훈 전 차장도 조사 랭크뉴스 2025.07.04
51157 "오바마는 멋있는데 내 건 최악" 트럼프 악평에 바뀐 초상화 보니 랭크뉴스 2025.07.04
51156 전국최대 검찰청 정진우 중앙지검장 "국민 신뢰받는 검찰 노력"(종합) 랭크뉴스 2025.07.04
51155 “일본은 매우 버릇없는 나라”...트럼프, 작심 비판 랭크뉴스 2025.07.04
51154 경남서 올해 첫 온열질환 80대 사망···환자 16명 발생 랭크뉴스 2025.07.04
51153 [단독] 여야 ‘추경 협상’ 결렬…여당, 오늘 단독 의결할 듯 랭크뉴스 2025.07.04
51152 압구정4구역, 44년 만에 1664가구로 조성…서울시 재건축 결정 랭크뉴스 2025.07.04
51151 "스벅 잘 안 가게 되더라"…'600만달러' 상금 내건 스타벅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