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월 2.2%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
가공식품 4.6% 올라 밥상물가 비상
민생쿠폰 풀리면 추가 상승 우려도
가공식품 4.6% 올라 밥상물가 비상
민생쿠폰 풀리면 추가 상승 우려도
통계청이 2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라면을 비롯한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4.6% 상승했다. 2023년 11월 이후 19개월 만에 최고치이자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2%)의 두 배를 넘는 수치다. 사진은 이날 서울시내 한 마트의 라면 코너. 연합뉴스
라면, 달걀, 고등어 등 먹거리 물가가 크게 오르며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만에 가장 높이 뛰었다. 중동분쟁에 따른 유가 상승도 물가 상승을 부채질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1(2020년=100)로 지난해보다 2.2% 상승했다. 올해 1월 2.2%를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까지 2%대를 유지하다 5월 들어 1.9%로 낮아졌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언급했던 라면을 비롯한 가공식품 등 먹거리 물가가 크게 들썩였다. 특히 가공식품은 4.6% 오르며 2023년 11월(5.1%) 이후 1년7개월 만에 가장 많이 상승했다. 가공식품이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기여도는 0.39% 포인트로 전체 물가를 끌어올린 주원인으로 작용했다.
구체적으로는 라면이 6.9% 오르며 2023년 9월(7.2%)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달걀도 6.0% 올라 2022년 6월(15.8%) 이후 3년5개월 만에 가장 높게 상승했다. 고등어(16.1%) 조기(10.6%) 오징어(6.3%) 같은 수산물도 많이 올라 밥상 물가가 높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라면은 다른 가공식품과 마찬가지로 원재료 상승에 따른 출고가 인상이 주된 원인”이라며 “계란은 산지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4월부터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두 달 연속 하락했던 석유류도 0.3% 올라 상승 전환했다.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 요인이 더해진 결과다. 정부는 최근 발표한 추가경정예산안이 통과되는 대로 물가 안정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이날 물가상황점검회의에서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 근방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되나 미국 관세정책, 중동정세, 여름철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크다”고 밝혔다.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포함된 소비쿠폰이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필수품목 중심으로 물가가 오르다 보니 서민들의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다”며 “곧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풀려 시장에 돈이 돌면 또 다른 물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