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병산서원 내 식재 시 국가유산청 허가받아야
대통령실 변경신청서 제출한 사실 없어
“대통령실이 진행한 일” 안동시 뒷북 해명
경북 안동 병산서원을 찾은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2023년 10월 27일 유림간담회를 마친 뒤 참석자들과 기념식수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병산서원에 소나무와 기념비석(경향신문 7월 2일자 11면 보도)을 심은 행위자체가 불법이었던 것으로 2일 경향신문 취재결과 확인됐다.

국가유산청과 안동시는 해당 행위가 불법인 사실을 알면서도 당시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023년 10월 27일 유림간담회를 위해 병산서원을 방문한 뒤 이곳에 소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 소나무가 식재된 곳은 병산서원 입구 인근으로, 국가지정유산구역이다.

이 구역에서 나무를 심거나 기념비석 등을 설치하려면 관할 지자체에 ‘국가유산 현황 변경신청’을 해야 한다. 국가유산청은 지자체로부터 신청서를 전달받아 허가여부를 결정한다.

대통령실은 그러나 안동시에 변경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병산서원은 사적 제260호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문화재다. 서원 내 만대루는 보물로도 지정돼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서원 입구에 윤석열 전 대통령 방문을 기념하며 심은 소나무 앞에 기념비석(왼쪽, 독자제공)이 있는 모습과 지난 1일 소나무 앞에 비석이 사라진 모습. 김현수 기자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문화유산법에 따라 (윤 전 대통령 기념식수 행위가) 위법한 행위임은 분명하다”며 “해당 구역에 형질을 변경하는 모든 행위는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별다른 신청이나 허가가 없었다”라고 말했다.

안동시는 이에 대해 현상변경을 한 주체가 대통령인 만큼 대통령 본인이나 대통령실에서 변경 신청을 해야 하지만, 별다른 신청이 없어 국가유산청에 허가를 구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허가를 받지 않은 조형물은 철거 등 원상복구를 해야 한다”며 “하지만 당시 대통령이 직접 진행한 일이고, 그사이 담당자도 바뀌어 적절한 조처를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식수행사 당시 권기창 안동시장 등도 참석해 논란은 커질 전망이다. 국가유산청 역시 윤 전 대통령의 식수행사가 당시 주요 언론에 보도됐음에도 어떠한 조치도 하지 않았다.

주민 전모씨(50)는 “대통령이 만대루에서 술판을 벌이자면 그렇게 할 것인가”라며 “세계문화유산인데 대통령이 아니라 대통령 할아버지가 와도 관리는 원칙대로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서원 입구에 1일 윤석열 전 대통령 방문을 기념하며 심은 소나무(붉은색 원)가 서 있다. 김현수 기자


아무도 모르게 철거된 기념비석도 문제다. ‘방문기념식수 대통령 윤석열’이라고 적힌 이 비석은 변경신청 등의 절차 없이 무단으로 설치됐다가 최근 사라졌다.

현재까지는 서원 관리자에 의해 1~2주 전쯤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가 보물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병산서원의 수난은 이것 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12월 KBS드라마 촬영팀이 소품용 모형 초롱을 달기 위해 서원 내 만대루 8곳과 동재·서재 2곳 등 모두 12곳에 못질을 하다 적발됐다. 못 자국은 개당 두께 2∼3㎜, 깊이 약 1∼1.5㎝로 파악됐다.

당시에도 안동시는 드라마 촬영허가를 한 뒤 현장 관리는 하지 않았다. 건축가 민서홍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 사실을 올리며 뒤늦게 논란이 됐다. 안동시는 이후 KBS 드라마팀을 경찰에 고발했지만 검찰은 2일 이들에 대해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심은) 나무는 원칙적으로 원상복구 대상”이라며 “심어진 나무가 한 그루인 만큼 문화유산위원회 검토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보전관리지도. 국가유산청 누리집 갈무리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06 [속보] 위성락 안보실장 "통상·안보 협의차 오늘 방미" 랭크뉴스 2025.07.06
52005 [속보] 위성락 "한미정상회담도 협의…美카운터파트와 면담 추진" 랭크뉴스 2025.07.06
52004 실업급여에 1.3조 추가 투입...19만명 추가 지원 랭크뉴스 2025.07.06
52003 서울 32도·대구 36도 ‘습한 더위’는 오늘도…전국 대부분 열대야 랭크뉴스 2025.07.06
52002 검찰이 ‘로봇 태권브이’일까? 장악하려다 또 잡아먹힌다 랭크뉴스 2025.07.06
52001 [인싸M] 파리협정 10년, "인간의 미래 결정할 10년" 현재 상황은? | 기후인사이트 랭크뉴스 2025.07.06
52000 '트럼프 감세법 맹비난' 머스크, 신당 '아메리카당' 창당 선언 랭크뉴스 2025.07.06
51999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 3주 만에 공개 석상…"이란은 굴복 안 해" 랭크뉴스 2025.07.06
51998 미 육군, 작고 느려터진 경비행기에 눈독 들이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7.06
51997 머스크, 트럼프에 정면 도전…"오늘 신당 아메리카당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1996 TSMC, 1인당 성과급 8500만원 받는다… AI 실적에 반도체 업계 월급봉투 ‘희비’ 랭크뉴스 2025.07.06
51995 ‘러브버그’로 뒤덮인 계양산…인천시, 방제 총력 랭크뉴스 2025.07.06
51994 대출 규제에 전세시장도 냉랭…"전세대출 안받으면 1억 낮춰줘" 랭크뉴스 2025.07.06
51993 여한구 통상본부장 “관세 협상, 실리 최대화에 집중···유예 가능성도 여전” 랭크뉴스 2025.07.06
51992 귀국 비행기표 안 끊었다… 여한구 통상본부장 "관세 상황 급박, 실리 최대화" 랭크뉴스 2025.07.06
51991 2026학년도 수능 11월 13일‥"킬러문항 배제·적정 변별력 확보" 랭크뉴스 2025.07.06
51990 내란특검, 尹 2차 소환조사 마무리…구속영장 청구 직행할까 랭크뉴스 2025.07.06
51989 핫플이 된 성수···‘황금알 낳는 거위’는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7.06
51988 문제는 삼성생명법? 이재명, ‘이재용의 삼성’ 손봐 재벌개혁할까 랭크뉴스 2025.07.06
51987 전직 대통령 검찰청 식사 때 설렁탕·곰탕 선호하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