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병산서원 내 식재 시 국가유산청 허가받아야
대통령실 변경신청서 제출한 사실 없어
“대통령실이 진행한 일” 안동시 뒷북 해명
경북 안동 병산서원을 찾은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2023년 10월 27일 유림간담회를 마친 뒤 참석자들과 기념식수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병산서원에 소나무와 기념비석(경향신문 7월 2일자 11면 보도)을 심은 행위자체가 불법이었던 것으로 2일 경향신문 취재결과 확인됐다.

국가유산청과 안동시는 해당 행위가 불법인 사실을 알면서도 당시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023년 10월 27일 유림간담회를 위해 병산서원을 방문한 뒤 이곳에 소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 소나무가 식재된 곳은 병산서원 입구 인근으로, 국가지정유산구역이다.

이 구역에서 나무를 심거나 기념비석 등을 설치하려면 관할 지자체에 ‘국가유산 현황 변경신청’을 해야 한다. 국가유산청은 지자체로부터 신청서를 전달받아 허가여부를 결정한다.

대통령실은 그러나 안동시에 변경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병산서원은 사적 제260호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문화재다. 서원 내 만대루는 보물로도 지정돼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서원 입구에 윤석열 전 대통령 방문을 기념하며 심은 소나무 앞에 기념비석(왼쪽, 독자제공)이 있는 모습과 지난 1일 소나무 앞에 비석이 사라진 모습. 김현수 기자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문화유산법에 따라 (윤 전 대통령 기념식수 행위가) 위법한 행위임은 분명하다”며 “해당 구역에 형질을 변경하는 모든 행위는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별다른 신청이나 허가가 없었다”라고 말했다.

안동시는 이에 대해 현상변경을 한 주체가 대통령인 만큼 대통령 본인이나 대통령실에서 변경 신청을 해야 하지만, 별다른 신청이 없어 국가유산청에 허가를 구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허가를 받지 않은 조형물은 철거 등 원상복구를 해야 한다”며 “하지만 당시 대통령이 직접 진행한 일이고, 그사이 담당자도 바뀌어 적절한 조처를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식수행사 당시 권기창 안동시장 등도 참석해 논란은 커질 전망이다. 국가유산청 역시 윤 전 대통령의 식수행사가 당시 주요 언론에 보도됐음에도 어떠한 조치도 하지 않았다.

주민 전모씨(50)는 “대통령이 만대루에서 술판을 벌이자면 그렇게 할 것인가”라며 “세계문화유산인데 대통령이 아니라 대통령 할아버지가 와도 관리는 원칙대로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서원 입구에 1일 윤석열 전 대통령 방문을 기념하며 심은 소나무(붉은색 원)가 서 있다. 김현수 기자


아무도 모르게 철거된 기념비석도 문제다. ‘방문기념식수 대통령 윤석열’이라고 적힌 이 비석은 변경신청 등의 절차 없이 무단으로 설치됐다가 최근 사라졌다.

현재까지는 서원 관리자에 의해 1~2주 전쯤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가 보물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병산서원의 수난은 이것 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12월 KBS드라마 촬영팀이 소품용 모형 초롱을 달기 위해 서원 내 만대루 8곳과 동재·서재 2곳 등 모두 12곳에 못질을 하다 적발됐다. 못 자국은 개당 두께 2∼3㎜, 깊이 약 1∼1.5㎝로 파악됐다.

당시에도 안동시는 드라마 촬영허가를 한 뒤 현장 관리는 하지 않았다. 건축가 민서홍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 사실을 올리며 뒤늦게 논란이 됐다. 안동시는 이후 KBS 드라마팀을 경찰에 고발했지만 검찰은 2일 이들에 대해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심은) 나무는 원칙적으로 원상복구 대상”이라며 “심어진 나무가 한 그루인 만큼 문화유산위원회 검토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보전관리지도. 국가유산청 누리집 갈무리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051 [속보] 광명·파주 기온 40도 기록…작년에 이어 2년 연속 랭크뉴스 2025.07.08
53050 [속보] 수도권 올해 첫 40도 찍었다…경기 파주·광명 40도 폭염 랭크뉴스 2025.07.08
53049 “김건희 여사 교원자격증 취소해달라”···숙명여대, 서울시교육청에 공문 발송 랭크뉴스 2025.07.08
53048 ‘대장동 의혹’ 정진상 보석조건 위반···지난달 귀가시간 두차례 어겨 랭크뉴스 2025.07.08
53047 "李 밑에서 수석하면 좋았겠어"‥'보수 선대위원장'의 보람 랭크뉴스 2025.07.08
53046 “부산은 25만원 필요 없다” 후폭풍…국힘서도 “박수영, 서민 삶 몰라” 랭크뉴스 2025.07.08
53045 김건희 특검, 윤상현·김영선 주거지 등 10여곳 전방위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
53044 숙명여대, 시교육청에 김건희 여사 교원자격 취소 신청(종합) 랭크뉴스 2025.07.08
53043 공사장에 앉은 채로 숨졌다…첫 출근 20대 노동자 비극, 뭔일 랭크뉴스 2025.07.08
53042 與 의원모임서 나온 ‘주택지분 공유제도’… “새로운 발상” 랭크뉴스 2025.07.08
53041 "이것 쓰면 체감온도 -10도"…40도 극한폭염 뚫을 생존 필수품 랭크뉴스 2025.07.08
53040 [단독] 한화오션, 美 해군 함정 정비사업 세 번째 수주 랭크뉴스 2025.07.08
53039 숙명여대, 서울시교육청에 김건희 여사 교원 자격 취소 신청 랭크뉴스 2025.07.08
53038 美 스타벅스, 식품서 ‘카놀라유’ 뺀다 랭크뉴스 2025.07.08
53037 [속보]117년 만에 7월 상순 최고기온···서울 ‘37.1도’로 아스팔트도 흐물흐물, 7월 초 맞아? 랭크뉴스 2025.07.08
53036 역대 가장 뜨거운 7월 첫 일주일…서울은 1908년 이래 최고기온(종합) 랭크뉴스 2025.07.08
53035 서울 기온 37.1도…117년만에 가장 더운 날 랭크뉴스 2025.07.08
53034 “대형참치 1300마리 잡았는데 전량 폐기?”…경북 앞바다에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7.08
53033 이재명 대통령, 이진숙 방통위원장에 경고 "개인 정치에 왜곡·활용하지 마라" 랭크뉴스 2025.07.08
53032 게토 잊었나…이스라엘, 220만 가자 주민 욱여넣는 ‘인도주의 도시’ 계획 발표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