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월 석탄발전 역대 최저치…태양광은 최고치 경신
엠버 월간 발전데이터. 사진=엠버


2025년 4월 국내 전력 생산에서 화석연료 발전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태양광 발전이 급증하고 석탄 발전이 급감한 결과다.

글로벌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가 2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2025년 4월 한국의 전력 생산에서 화석연료 비중은 49.5%(21.8TWh)로 떨어졌다. 월간 기준으로 처음으로 절반 이하를 기록한 것이다. 종전 최저치였던 2024년 5월 50.4%(22.6TWh)를 밑돌았다. 전력 수요가 같은 기간 1.4% 증가했음에도 화석연료 발전량이 줄어들어, 에너지 전환이 구조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평가다.

이번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석탄 발전의 급감이다. 4월 석탄 발전 비중은 18.5%(8.2TWh)로 월간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1년 4월과 비교해 36% 감소한 수치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전력 부문 탄소 배출량도 670만 톤으로 줄어들며 3년 전보다 37% 감소했다. 반면 가스 발전 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다.

화석연료 발전 감소를 견인한 또 다른 축은 태양광 발전이다. 4월 태양광 발전은 전체 전력의 9.2%를 차지하며, 이전 최고치였던 2024년 5월(8.7%)를 넘어섰다. 발전량은 4TWh로, 2021년 4월(2.3TWh)과 비교해 거의 두 배에 이른다. 같은 해 1~5월 설치된 신규 태양광 설비는 1.56GW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해 2년간 이어졌던 감소세를 반전시켰다.

정부도 탈화석연료 흐름에 발맞추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을 앞두고 “화력발전소는 국가 전체 차원에서 결국은 폐쇄해야 한다”, “화석연료에 의존해 생산된 제품은 실질적으로 국제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며 탈화석연료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지명자 역시 지난 24일 “대한민국 기업들이 1년 365일, 하루 24시간 화석연료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문명체계를 짜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개선 여지는 여전하다. 2024년 기준 한국의 1인당 발전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세계 평균의 3배에 해당하는 5톤으로, 감축 이행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니콜라스 풀검 엠버 선임 데이터 분석가는 “한국의 전력 구성에서 화석연료의 역할은 새로운 전력 공급원으로의 전환과 함께 감소하고 있다”며 “최근 몇 달 동안 태양광 발전 보급 속도가 빨라지고 있지만, 한국은 풍력, 태양광, 배터리 보급을 주도하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뒤처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주요 청정에너지 기술을 한국 시장에 보다 빠르게 도입하는 것은 에너지 공급을 강화하고 수입 가스와 석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고 강조했다.

한가희 기후솔루션 전력시장계통팀장은 “여전히 재생에너지 확대 속도가 매우 더딘 상황에서,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화력발전기의 출력 하향 조치와 재생에너지의 계통 우선 연계를 통해 보급을 더욱 가속화해야 하며, 화력발전을 보다 공격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필수”라고 전했다.

이어 “이를 위해 정부는 탈석탄 시점을 기존 계획보다 앞당겨 2040년 이전으로 설정하고, 유연성 자원을 확대해 가스발전 의존도를 조속히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85 [속보]유네스코서 ‘군함도 안건 상정’ 무산···일본과 표결서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84 “동네약국 7만원 비타민이 여긴 3만9천원”…약국계 코스트코 가보니 랭크뉴스 2025.07.07
52683 [단독] "선관위 다 잡아족쳐야"‥끝까지 '부정선거론' 랭크뉴스 2025.07.07
52682 [단독] "국민께 알려야"‥尹 '망상의 계엄' 씨앗 됐나 랭크뉴스 2025.07.07
52681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80 [속보] 法, 노상원 전 사령관 추가 구속…"증거인멸·도주 우려" 랭크뉴스 2025.07.07
52679 [단독] "민주당 의원들은 가짜"‥노상원 '망상'의 메모 랭크뉴스 2025.07.07
52678 [속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군함도 후속조치' 공식 의제 채택 불발 랭크뉴스 2025.07.07
52677 오늘 밀양 39.2도…평년 대비 10.2도 치솟았다 랭크뉴스 2025.07.07
52676 상법 개정안 통과 후폭풍…전기·가스 요금 줄줄이 인상? 랭크뉴스 2025.07.07
52675 [속보]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한일 과거사 초유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74 조갑제 ‘예언’대로…“안철수 자폭선언 해버려야, 도로 윤석열당” 랭크뉴스 2025.07.07
52673 [Why] 트럼프 취임 후 ‘웨스트 팜비치’에 TV광고가 급증한 이유 랭크뉴스 2025.07.07
52672 상가건물 추락 여성, 거리 행인들 덮쳐…4명 사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7
52671 직원만 좋아할 줄 알았는데…"'주 4일제' 직접 해본 기업, 매출 130% 껑충" 랭크뉴스 2025.07.07
52670 상가건물 추락 여성, 거리 행인들 덮쳐…4명 사상(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669 [속보]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日에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68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초유의 한일 과거사 표 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67 [속보]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초유 한일 과거사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66 13층 상가 옥상서 투신 10대 여성이 행인 덮쳐…지나던 10대 여성 사망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