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한 관계자가 신생아를 돌보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와 같은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지속될 경우, 100년 후 한국 인구가 현재의 15% 수준으로 급감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따라 2100년에는 경제활동인구 1명이 65세 이상 노인 1.4명을 부양해야 하는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 전문 민간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2일 발간한 「2025 인구보고서: 대한민국 인구 대전환이 온다」에서 2025년부터 2125년까지 100년간의 장기 인구 변화를 코호트 요인법에 따라 추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코호트 요인법은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인구 변동 요인을 예측한 뒤 이를 기준 인구에 반영해 미래 인구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국제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인구 전망 기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총인구는 극단적인 저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2125년에는 753만 명까지 줄어들 수 있다. 이는 현재 인구(5168만 명)의 14.6% 수준이며, 현재 서울시 인구(933만 명)보다도 적다. 중위 시나리오는 1115만 명, 고위 시나리오조차 1573만 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감소 속도는 시간이 갈수록 가팔라질 전망이다. 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2075년까지 인구가 약 30% 감소하고, 이후 50년 동안 인구가 절반 이상 줄어드는 급격한 하락세가 예상됐다. 이는 다음 세대의 출산 가능 인구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구 구조도 급격히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2075년에는 '가오리형' 인구 피라미드였던 구조가, 2125년에는 모든 연령대가 좁아진 '코브라형' 형태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도 심화될 전망이다. 보고서는 2100년 기준으로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이 노인 140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는 100명이 노인 30명가량을 부양하고 있으나, 점차 부양 부담이 생산인구를 압도하는 '역피라미드' 구조가 현실화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게시된 약 6만 건의 글을 분석해 2040세대의 결혼·출산 인식을 조사했다. 결혼 관련 게시글에서는 '사랑'보다 '돈', '집'이 더 자주 언급됐고, 출산 관련 글에서도 경제적 부담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과 출산이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이 아닌 경제적 조건에 따라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연구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 출산·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한 획기적인 지원 확대 ▲ 일과 가정의 양립 문화 정착 ▲ 정년 연장과 계속 고용 제도의 확산 ▲ 이민 정책의 재정비 등이다. 특히 "생산성 중심의 경제구조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84 코스피 3700까지?···상법 개정안 통과에 힘입어 연고점 또 경신 랭크뉴스 2025.07.03
50883 윤석열 “말귀를…” 이 대통령 “그때 만난 분?” 외신기자 질문에 다른 반응 랭크뉴스 2025.07.03
50882 李대통령 "불법 공매도, 최고수준 과징금…시장교란세력 엄벌" 랭크뉴스 2025.07.03
50881 "대출 규제는 맛보기"라는 이 대통령, 후속은 '규제 지역' 확대? 랭크뉴스 2025.07.03
50880 태국 ‘늑대소년’ 개 6마리와 자라 “말 못하고 짖기만” 랭크뉴스 2025.07.03
50879 이 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어” 랭크뉴스 2025.07.03
50878 "연봉 1.6억에 격주 '주 4일제'인데"…'신의 직장' SKT, 퇴사 늘어난 이유가 랭크뉴스 2025.07.03
50877 "남북 대화 단절은 바보짓…한미공조 바탕 관계 개선" 랭크뉴스 2025.07.03
50876 “조국 사면” 요청에 이 대통령 즉답 안 해…비교섭 야5당 회동 랭크뉴스 2025.07.03
50875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검찰개혁 자업자득” 이 대통령, 개혁 드라이브 예고[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874 군 검찰 "박 대령, 항명죄" 의견서‥박 대령 측 "800-7070 확인부터" 랭크뉴스 2025.07.03
50873 "살까? 말까?" 올 2분기 가장 핫한 아파트가 '여기?' 랭크뉴스 2025.07.03
50872 [단독] 삼수 끝에 들어간 '하이브 상장' 압수수색‥논란의 방시혁 4천억 원 [인싸M] 랭크뉴스 2025.07.03
50871 한성숙, ‘23억’ 네이버 주식 전량 매각…이해충돌 선제 차단 랭크뉴스 2025.07.03
50870 이정재 "'오겜3' 결말보고 감독 용기에 놀라…에미賞 기대 안해" 랭크뉴스 2025.07.03
50869 與, 野 반발 속 김민석 단독 인준…野, 상법엔 절반이 반대·기권 랭크뉴스 2025.07.03
50868 장관 자리 위해 '주식 23억' 팔다…한성숙 "네이버 주식 매각" 랭크뉴스 2025.07.03
50867 서울 아파트값 ‘주춤’? 규제 영향은 ‘아직’…전문가에게 물었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3
50866 [속보] 1만1140원 vs 1만130원…최저임금 5차 수정안 랭크뉴스 2025.07.03
50865 [단독] ‘깜깜이’ 국정원 예비비 지출, 작년 한해 6400억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