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악어와 비단뱀 서식지에 조성된 불법 이민자 구금 시설을 방문하기에 앞서 “불법 이민자들에게 악어로부터 도망치는 법을 가르치겠다”며 “직선으로 뛰지 않으면 (지그재그로 달리면) 살 확률이 1%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악어 앨커트래즈'로 알려진 임시 이민자 구치소를 시찰했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악어가 서식하는 플로리다주 에버글레이즈 습지 한 가운데 지어진 수용소 시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손을 좌우로 흔들며 “악어는 빠르다. 이렇게 (지그재그로) 뛰라”며 이번주부터 해당 수용소에 수감될 불법 이민자들을 조롱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수용소는 플로리다 마이애미 서쪽 약 70km 지점 폐공항 부지에 조성됐다. 수용소 주변에는 악어를 포함한 각종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지형도 험준해 혼자 힘으로 탈출하기 극히 어렵다고 백악관은 설명했다. 이 수용소의 별칭은 ‘엘리게이터 앨커트래즈(Alligator Alcatraz)’로 탈출이 불가능한 감옥으로 악명 높았던 샌프란시스코 앨커트래즈 섬 감옥과 악어의 합성어다.

미 국토안보부는 지난달 29일 소셜미디어(SNS) 공식 계정에 수용소 밖에서 일렬로 줄지어 서있는 악어 무리들이 ‘ICE(이민세관단속국)’ 모자를 쓰고 있는 사진을 올렸다. X계정
앞서 불법 이민자 단속 업무를 담당하는 미 국토안보부는 지난달 29일 소셜미디어(SNS) 공식 계정에 수용소 밖에서 일렬로 줄지어 서있는 악어 무리들이 ‘ICE(이민세관단속국)’ 모자를 쓰고 있는 사진을 올렸다. 그러면서 “곧 출시된다!(COMING SOON!) 탈출 불가능한 자연이 만든 감옥”이라는 설명을 추가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플로리다 공항에 도착한 뒤엔 “우리에겐 많은 보디가드와 많은 경찰이 있는데 악어 형태로 있다”며 “너무 겁먹지 않아도 되지만, 나는 에버글레이즈를 달리고 싶지는 않다”며 재차 수감자들을 조롱했다. 수용 시설을 직접 시찰한 뒤 간담회에서는 “이 시설은 곧 가장 위협적인 이민자들을 구금하게 될 것”이라며 “일부는 지구상에서 가장 사악한 인물들일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곳에서 빠져나가는 유일한 길은 (미국 밖으로의) 추방”이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론 드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이 1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에 늪지대 악어 서식지에 조성된 불법이민자 수용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이 시설을 찾은 것은 핵심 국정 의제인 불법 이민자 단속 및 추방에 대한 의지를 부각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로스앤젤레스(LA)를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됐던 이민정책 반대 시위와 무관하게 불법 이민자들의 대한 단속과 무차별적 추방을 지속하겠다는 의미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 도중 이민정책 반대 시위가 시작된 LA가 속한 캘리포니아주의 개빈 뉴섬 주지사를 언급하며 “그도 여기 와서 배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국경 통제 완화가 초래한 불법 이민자 급증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거론하면서 “미국은 연간 780억 달러(약 106조원)를 통역에 쓰고 있다”고 했다.

시위대가 1일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에 맞춰 플로리다주 늪지대에 조성된 불법 이민자 수용시설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그러나 인권단체들은 악어와 뱀 등을 감옥의 경계로 삼아 수용소를 설치한 발상 자체가 이민자들을 비인간적으로 취급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환경단체도 희귀 동물 서식지와 멸종위기종 보호구역이 파괴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452 “9월까지 검찰청 해체”… 與 당권주자들, ‘검찰개혁 속도전’ 선언 랭크뉴스 2025.07.02
50451 상법 3%룰 남고 집중투표제는 공청회로… 재계 “불확실성은 여전” 랭크뉴스 2025.07.02
50450 열흘간 약 900회…日 도카라 열도 ‘지진 피로’ 랭크뉴스 2025.07.02
50449 [단독] 경찰, 우리은행 부당대출 혐의 47억 원 추가 확인 랭크뉴스 2025.07.02
50448 폴란드 K2 전차 2차 계약 확정… 사상 최대 8.8조원 규모 랭크뉴스 2025.07.02
50447 폭염·폭우 엇갈리는 ‘뉴노멀 장마’···장마 끝이냐 아니냐 랭크뉴스 2025.07.02
50446 "국정운영 위해 필요" 민주당 전액 삭감한 대통령실 특활비 증액 요구 랭크뉴스 2025.07.02
50445 "국민연금 더 빨리 고갈될지도"…'만18세 자동가입' 추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랭크뉴스 2025.07.02
50444 일본행 비행기, 1만m 상공에서 갑자기 '곤두박질'…"무중력 상태, 공포였다" 랭크뉴스 2025.07.02
50443 개미 숙원 드디어... 상법 개정 합의로 '코스피 5000' 탄력 받나 랭크뉴스 2025.07.02
50442 민주당 박찬대·정청래 "9월까지 검찰청 해체"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7.02
50441 폴란드 K2 전차 2차 계약 확정…사상 최대 8조8천억원 규모 랭크뉴스 2025.07.02
50440 안철수 "종기적출" 외치자…나경원 "통합" 윤상현 "뺄셈정치 혁파" 랭크뉴스 2025.07.02
50439 [단독]비비고마저…K브랜드 1만건 도둑 맞았다 랭크뉴스 2025.07.02
50438 내란 특검, 한덕수 안덕근 소환…김건희·순직 해병 특검 현판식 랭크뉴스 2025.07.02
50437 해병특검, 수사 첫날 임성근 4시간 조사…과실치사 혐의 추궁(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436 국힘 "자료미제출·위증 시 형사처벌"‥인사청문회법 개정안 발의 랭크뉴스 2025.07.02
50435 정청래·박찬대 "폭풍처럼 몰아쳐 끝 봐야"…고강도 檢개혁 예고(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434 서민 울리는 라면·달걀 가격… 소비자물가 2.2% 껑충 랭크뉴스 2025.07.02
50433 "부산 싫어? 목포나 울산 어때"‥긴급 진화에도 '거센 역풍'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