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잇슈머니 시작합니다.

박연미 경제평론가 나오셨습니다.

첫 번째 키워드 '청년 가구끼리도 자산 격차 5배' 라고 하셨어요.

이제 갓 사회생활 시작한 청년층이라면, 누구든 모아놓은 자산이 그렇게 많지 않을 것 같은데, 그 안에서도 자산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얘긴가요?

[답변]

네, 자본시장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보면, 연 소득이 9천만 원 이상인 상위 20% 고소득 청년 가구와 연 소득 3천9백만 원 이하 소득 하위 40% 청년 가구의 금융자산 규모가 5년 새 5배 수준까지 벌어진 걸로 나타났습니다.

2019년에는 격차가 4배 정도였는데, 그 사이 자산 격차가 더 커진 겁니다.

[앵커]

청년층 가구 사이에서 양극화가 더 심화된 이유가 뭘까요?

[답변]

근본적으론 소득 차가 크다는 점이 작용할 테지만, 꼭 소득 차만 영향을 준 건 아닙니다.

재테크와 자산 관리에 임하는 자세도 의미 있는 영향을 줬는데요.

고소득 청년 가구에선 기존에도 조사 대상의 절반 이하였던 예·적금 가구 비율이 5년 새 더 줄어든 반면, 저소득 청년 가구는 고금리 기간이 끝나고 금리 인하가 이어진 시점에도 예·적금 비중을 절반 이하에서 62%로 크게 높였습니다.

[앵커]

그럼 소득이 많은 청년 가구는 주로 어디에 투자합니까?

[답변]

고소득 청년 가구는 주식·채권·펀드 투자 비율을 종전 약 16%에서 29%로 대폭 올렸습니다.

저소득 청년 가구에서도 7%이던 투자 비중이 17%에 가깝게 늘기는 했지만,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습니다.

[앵커]

지난 5년 사이 부동산 가격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크게 뛰었는데, 이것도 영향을 준 요인일까요?

[답변]

네, 요즘은 자산을 불리기 위한 공부를 청년기부터 일찍 시작하는 게 전반적인 사회 분위긴데, 5년 새 크게 값이 뛴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역시 청년층의 자산 격차에 큰 영향을 준 게 사실입니다.

금융연구원 조사 결과 20대 고소득층은 금융 부채가 1% 늘 때 부동산 가치도 0.35% 늘었습니다.

반면 저소득 청년 가구는 금융 부채 1% 상승에 따른 부동산 자산 가치 상승분이 0.17%로 고소득 가구의 절반에 그쳤습니다.

부동산 구입 단계부터 소위 선호 지역을 선택한 고소득 가구가 결과적으로 더 높은 자산 가치 상승을 경험했다는 뜻입니다.

[앵커]

그런데 근본적으로 부모 찬스 없이 대출이 잘 나오는 고소득 직업을 갖는 일이나, 높은 금액의 담보가 설정될 부동산 구입이 가능한가, 고민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답변]

맞습니다.

이 모든 걸 어린 나이에 혼자 힘으로 해내는 청년층도 있겠지만, 부모나 조부모의 조력이 작용하는걸 부인하긴 어렵습니다.

교육과 입시 단계부터 취업과 부동산 취득까지 선대의 조력이 인생 경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구조에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25 코에도 ‘지문’ 있다…나처럼 숨 쉬는 사람은 나밖에 없었어 랭크뉴스 2025.07.08
53124 김건희 특검팀, 경찰청 압수수색…‘통일교 원정도박 의혹’ 자료 확인 차원 랭크뉴스 2025.07.08
53123 안철수-쌍권 “너부터 청산”…혁신 운만 뗀 국힘, 당권 쟁탈 경쟁으로 랭크뉴스 2025.07.08
53122 “HBM 선점 효과” SK하이닉스, 2분기 전체 메모리서 삼성과 첫 ‘공동 1위’ 랭크뉴스 2025.07.08
53121 김건희 특검, 통일교 수사 무마 의혹 경찰청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
53120 이 대통령 "국무회의 개인 정치 활용 안돼"…이진숙 또 겨냥 랭크뉴스 2025.07.08
53119 "이르면 내년 6월 개헌 투표"…초안에 대통령 임기단축 빠졌다 랭크뉴스 2025.07.08
53118 유엔사 부사령관, 평양 무인기 사건 “조사 계속 진행 중···북과 군사적 소통” 랭크뉴스 2025.07.08
53117 美 관세 유예에 정부 “3주 협상 총력”… 핵심인 비관세 장벽은 난제 랭크뉴스 2025.07.08
53116 최저임금 격차 줄였다…1만1000원 vs 1만170원 랭크뉴스 2025.07.08
53115 "우산 소용없다" 서울 '미친 날씨'…폭염 속 돌풍∙벼락 '호우주의보' 랭크뉴스 2025.07.08
53114 故이건희 회장 이태원 주택 228억원에 매각…"매수자는 사업가" 랭크뉴스 2025.07.08
53113 [단독] 특검, 추경호 ‘내란 방조’ 의혹도 공수처에서 넘겨받아 랭크뉴스 2025.07.08
53112 ‘스레드’ 모바일 사용자 급증… X와 격차 좁혀져 랭크뉴스 2025.07.08
53111 고 이건희 삼성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 원에 매각 랭크뉴스 2025.07.08
53110 의혹 제기 10개월···특검, 윤석열·김건희 공천개입 밝혀낼까 랭크뉴스 2025.07.08
53109 13층 상가 추락 사고 사망자 3명으로···행인 모녀 모두 숨져 랭크뉴스 2025.07.08
53108 검찰특활비 부활의 불편한 진실 [유레카] 랭크뉴스 2025.07.08
53107 이 대통령 들어오자 넥타이 급히 풀기도…김밥 이어 '노타이 국무회의' [사진잇슈] 랭크뉴스 2025.07.08
53106 이시영, 전남편 동의 없이 시험관 임신…법적 책임·양육비 문제는?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