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국무회의에서 “임명 권력인 국무위원들은 선출 권력인 국회를 존중해야 한다”며 ‘국민주권’을 강조했다. [사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은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무위원들께서 국회에 가시면 그 직접 선출된 권력에 대해서 존중감을 가져 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의 선출 권력은 대통령, 국회의원, 자치단체장, 기초·광역의원으로 구성된다”며 “아무리 우리(국무위원 등)가 외형적으로 높은 자리, 높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임명된 권력은 선출 권력을 존중해야 한다”면서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발언의 배경에 대해 “특별히 국회하고 마찰을 빚는 답변을 하시는 국무위원 혹은 배석자들에게 협조를 부탁하는 측면도 있다”고 했다. 즉, 최근 국회에서 의원들과 충돌한 정부 인사를 염두에 두고 나온 발언이라는 뜻이다.

지난달 27일 국회에선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이진숙 방통위원장이 부딪혔다. 최 위원장이 “현재 방통위는 대수술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못 할 만큼 망가졌다”고 하자, 이 위원장은 “동의하지 않는다”고 맞섰다. 회의에서 최 위원장이 이 위원장을 향해 7차례나 “끼어들지 마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이 위원장은 “저도 말할 권리가 있다”며 물러서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국무회의에 배석한 이 위원장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 대통령은 특히 “(국회 존중이) 개인적으로 좋든 나쁘든 그런 것은 중요치 않다. 국가의 기본적 질서에 관한 문제” “국회와의 관계에서 오해가 좀 있는 것 같다” 등 다소 강경한 표현도 썼다.

이번 발언은 ‘국민주권정부’라는 현 정부의 철학을 강조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그리고 1차적으로는 선출 권력으로부터 국민주권이 실현된다”며 “그 선출 권력으로부터 다시 임명 권력이 주어진다”고 말했다. 국회 등 선출 권력이 행정부와 사법부 등 임명 권력보다 우선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헌법에 국가기관 순위가 쓰여 있다”라고도 했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사법부에 대한 개혁 당위성을 마련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원인 정성호·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사법·검찰 개혁의 선봉에 설 ‘투톱’인 법무부·행안부 장관 후보자로 지난달 29일 지명했다. 하지만 우려도 나온다.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임명 권력이 선출 권력을 존중해야 한다는 건, 선출 권력이 임명 권력보다 우위에 있다는 뜻 아닌가. 결과적으로 입법부가 행정부·사법부보다 상위라는 뜻인데 이는 서로 견제와 균형을 갖추어야 한다는 민주주의 3권분립과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대변인도 “이재명 정부가 다수당인 민주당을 등에 업고 행정부도 줄 세우려고 하고 있다”며 “선출된 권력은 선거로 한시적으로 위임받은 제한적 권력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34 “부실 털어도 더 쌓이네”… 최악 건설경기에 부동산PF 정상화 난항 랭크뉴스 2025.07.03
50633 한덕수, 14시간 내란 특검 조사 끝 귀가…질문엔 묵묵부답 랭크뉴스 2025.07.03
50632 미국-베트남 무역합의 타결…“상호관세 46→20%”·“시장 개방” 랭크뉴스 2025.07.03
50631 이런 집주인, 어디 또 없다…120채 '강남 아파트왕' 정체 랭크뉴스 2025.07.03
50630 33년간 하늘을 날다… 93세 패러글라이딩 조종사의 마지막 비행 랭크뉴스 2025.07.03
50629 대한민국 ‘5성 장군’ 김홍일… 별 둘은 광복에, 별 셋은 구국에 바치다 [명장] 랭크뉴스 2025.07.03
50628 美 국방부, 주한미군 감축 여부에 말 아껴…“동맹에 충실할 것” 랭크뉴스 2025.07.03
50627 美 공화당 의원 43명 “한국 플랫폼법, 美 기업 차별하고 중국 공산당에 도움” 랭크뉴스 2025.07.03
50626 명예훼손 무죄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교수에 형사보상 랭크뉴스 2025.07.03
50625 [르포]원유 1억 배럴 담는 지하 동굴...중동 갈등에도 든든한 이유 있다 랭크뉴스 2025.07.03
50624 이 대통령 오늘 취임 30일 기자회견…역대 가장 빨라 랭크뉴스 2025.07.03
50623 부동산으로 돈 번다고? 文은 죄악시했고, 李는 인정했다 랭크뉴스 2025.07.03
50622 한덕수, ‘내란 특검’ 소환 14시간 만에 귀가… 안덕근·유상임 장관도 조사 랭크뉴스 2025.07.03
50621 “美, 내주 중 무역 합의 다수 발표할 것으로 보여” 랭크뉴스 2025.07.03
50620 13시간 조사 받고 귀가‥'거짓 증언' 추궁 랭크뉴스 2025.07.03
50619 [세상만사] 노인 1천만명 시대 '노시니어존' 랭크뉴스 2025.07.03
50618 "꿀맛 같은 '낮잠' 이렇게 자면 사망 위험 높아진다?"…연구결과 봤더니 랭크뉴스 2025.07.03
50617 시설 좋고 일반인 얼씬못해 유명인사 단골…‘특권’ 표본 랭크뉴스 2025.07.03
50616 대통령의 소통방식…SNS, 타운홀미팅 등 ‘직접소통’ 방점[취임 한 달] 랭크뉴스 2025.07.03
50615 “이 생각 왜 못했지”…한발 빠른 이들은 마통 늘렸다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