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우리 국민이 자주 먹는 라면과 김치, 국과 찌개 등 밥상에 올라오는 음식들은 나트륨 함량이 높은데요.

나트륨 하루 평균 섭취량이 국제보건기구 권고 기준의 1.6배로 나타났습니다.

청소년 등 어린 연령층에서는 당류 섭취도 권고 기준을 넘었습니다.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나트륨은 너무 많이 섭취하면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식약처가 2019년부터 5년간 국민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했더니 하루 평균 나트륨 3,136mg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보건기구 WHO가 만든 권고 기준의 1.6배에 이릅니다.

국과 탕, 찌개, 김치류 등 평소 식단에 자주 올라오는 음식들로부터 나트륨 섭취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라면과 배추김치를 통한 나트륨 섭취가 많았습니다.

특히 30~40대가 가장 많이 섭취하는 거로 나타났는데 집밥보다 외식이 잦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함선옥/연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 "이 연령대는 외식 빈도가 높은 그룹이고, 외식 메뉴가 집에서 먹는 가정식보다 짠 경향이 있습니다."]

20대 이하에서는 당류도 과다 섭취하고 있는 거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기준 6세부터 29세까지 여자 어린이, 청소년, 청년은 당류를 하루 열량의 10%를 넘게 섭취해 권고 기준을 넘었습니다.

최근 당 함량이 많은 빵, 가당 음료 등이 유행한 게 영향을 준 걸로 분석됩니다.

[이순호/식약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영양기능연구과장 : "탄산음료보다 물을 마시고 간식으로 빵 대신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해외에서 효과를 본 것처럼 고염 고당 식품에 경고 문구를 의무 삽입하는 것도 나트륨과 당류 섭취를 줄일 방안으로 제시됩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영상편집:양다운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512 "기업 편드는 이미지 부담"…돌아선 野, 3%룰 강화 상법 합의 랭크뉴스 2025.07.02
50511 “한 개 2천 원 진짜?”…라면 1년 9달만 최대 상승 랭크뉴스 2025.07.02
50510 취임 첫 기자회견 앞둔 李대통령 "국민 질문에 겸허히 답할 것" 랭크뉴스 2025.07.02
50509 소비쿠폰 풀리면 외식물가 더 오를수도…라면·커피 급등에 두달만에 다시 2%대 랭크뉴스 2025.07.02
50508 닻 올린 김건희·해병 특검…김 여사 출국금지 랭크뉴스 2025.07.02
50507 옥중 두테르테 "내 여친 13명, 신용카드 많은 새 남친 찾아라" 랭크뉴스 2025.07.02
50506 프로야구 전반기에 700만 관중 돌파… 역대 최초 랭크뉴스 2025.07.02
50505 이 대통령, 16일 참사 유족 만난다···세월호·이태원·오송 지하차도·제주항공 참사 랭크뉴스 2025.07.02
50504 [단독] CCTV 속 한덕수 "윤석열 따로 만난 뒤 문건 여러 장" 랭크뉴스 2025.07.02
50503 '오징어 게임' 핑크 가드 박규영은 왜 끝까지 인간성 지켰을까 랭크뉴스 2025.07.02
50502 이란 'IAEA와 협력 중단' 법률 공포… 핵시설 공습 후속 조치 랭크뉴스 2025.07.02
50501 내란 특검, ‘계엄 해제 국무회의 참석’ 유상임 과기장관 소환 랭크뉴스 2025.07.02
50500 누려라, ‘마지막 쇼핑’의 즐거움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02
50499 이 대통령, 오는 16일 세월호·이태원 등 대형참사 유가족 만난다 랭크뉴스 2025.07.02
50498 지난달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62개 상승…집밥도 외식도 부담(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497 ‘개문발차’ 우려 불식, 효능감 보인 30일···경제·외교 등은 난제[이 정부 취임 한 달] 랭크뉴스 2025.07.02
50496 민중기 특검, 김건희 출국금지…연관 범죄 16건 수사 개시 랭크뉴스 2025.07.02
50495 한덕수·안덕근·유상임…비상계엄 당시 국무위원 줄줄이 소환 랭크뉴스 2025.07.02
50494 '보여주기식' 쇼통은 없다... 소통 즐기는 이 대통령 취임 1달 랭크뉴스 2025.07.02
50493 코요태 신지, 예비신랑 이혼 고백…"딸 있는데 전처가 키운다"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