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로 첫 출근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지난 29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김정관 후보자를 지명했을 때 관가에선 23일 지명된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를 떠올렸다. 김성환 후보자는 국회에서 탈(脫)원전에 앞장서 온 의원인 반면, 김정관 후보자는 국내 최대 원전 설비 제조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같은 국무위원 후보자이지만 원전을 두고 둘의 이력은 대척점에 있다.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위해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전문가를 발탁했지만, 동시에 환경론자에게도 자리를 주는 방식으로 균형을 맞춘 것이다. 앞으로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담당할 역할도 그런 방식으로 나눴다. 산업부 2차관으로 임명된 이호현 차관은 산업부에서 에너지정책실장 등을 역임한 에너지 전문가다. 그와 손발을 맞춰 기후에너지부 신설 업무를 할 대통령실의 이유진 기후환경에너지 비서관은 환경단체 녹색전환연구소 소장 출신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이 선명하게 드러난 대목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30일 “이 대통령 인사 스타일의 핵심은 ‘자리에 맞는 유능함’”이라며 “산업부의 핵심 업무가 에너지 정책이고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출도 큰 비중이기 때문에 그 분야 전문가를 지명한 것이고, 재생에너지가 주요 이슈인 환경부엔 다른 유능함을 가진 인사를 지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영등포 이룸센터 내 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이 대통령의 다른 인선에서도 이런 특징은 도드라진다. 이 대통령은 기업인 출신을 적극 중용하고 있다. 네이버 출신 하정우 AI(인공지능)미래기획수석과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LG AI연구원장 출신의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그들이다. 그러면서도 이 대통령은 역대 처음으로 민주노총 출신 인사인 김영훈 철도기관사를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했다. 기업인과 강성 노조 출신을 두루 발탁한 것이다.

이 대통령의 이런 인선 방식은 ‘국정 컨셉’에 맞는 인사를 포진시키는 과거 정부의 방식과 다른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다른 성향의 인사를 한 데서 토론시키고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겠다는 ‘이재명식 실용인사’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맡던 시절에도 비슷한 인사 방식을 활용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민주당 내 레드팀’으로 불렸던 진성준 당 정책위의장이었다.

이재명 1기 지도부 때인 지난해 4월 정책위의장에 임명된 진 의장은 종합부동산세 폐지 등을 두고 친명(친 이재명)계와 부딪혔다. 그런데도 이 대통령은 당 대표를 연임하며 진 의장을 유임시켰다. 이후에도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반도체법 주52시간 근무 예외 조항 등을 두고 진 의장은 이 대통령과 충돌했는데, 이 대통령은 그를 내치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11일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9회국회(임시회) 제1차 본회의 윤석열 대통령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 내란행위 관련 긴급현안질문에서 대화하고 있다. 뉴스1
당시 민주당 지도부 인사는 “이재명 대표가 ‘우클릭’을 하다가도 진 의장이 ‘왼쪽’에서 계속 목소리를 내 제자리로 돌아오곤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로 색깔이 다른 인사들이 충돌해 일의 추진력이 떨어진다는 당내 불만도 당시에 컸다. 정부 내에서도 충돌이 발생할 경우 이 대통령의 ‘균형 인사’가 오히려 ‘불협 인사’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기업인은 ‘환영’, 교수는 ‘…’
이번 이 대통령 인사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기업인, 관료는 적극 발탁하는 대신 교수 출신은 최소화한다는 점이다. 장관 후보자 중 교수만 했던 사람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밖에 없다.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인사 중엔 교수 출신으론 하준경 경제성장수석과 문진영 사회수석 등이 있지만, 그들은 한국은행에서도 일했거나(하 수석) 경기도일자리재단에서 일한 경력(문 수석)을 갖고 있는 등 ‘교수 외길’을 걷지 않은 인사들이다.

이 대통령과 경기도에서 같이 일했던 한 인사는 “이 대통령은 기업인·관료·정치인과 달리 교수 출신은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54 “물건 보냈어요” 택배 송장 조작… 중고거래 소액 사기 교묘해져 new 랭크뉴스 2025.07.02
50053 '첫 단독 일정' 나선 김혜경 여사…옆자리엔 '올블랙' 이부진 신라호텔 대표 new 랭크뉴스 2025.07.02
50052 "이 퀄리티에 이 가격? 안 갈 이유가 없어"…주말마다 '바글바글' 난리난 뷔페, 어디? new 랭크뉴스 2025.07.02
50051 김혜경 여사, 여성 기업인들 만나 격려…옆자리엔 이부진 사장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50 혁신당 ‘윤건희 검사’ 명단 전달 직후 정진우·성상헌 기용···“우려 반영 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9 '李 공소 취소' 정성호 발언 두고 공방... 野 "검찰 압박" 與 "당연한 얘기"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8 시청역 역주행 참사 1주기에 차량 또 인도 돌진‥1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7 [단독] 교대역 가스 누출 사고‥"굴착공사 사전 신고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6 시청역 참사 1주기에...인도로 차량 돌진 사고로 1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5 말 잘못 꺼냈다가 '탄핵 위기' 놓인 태국 최연소 여성 총리…아버지 탁신은 '왕실모독죄'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4 뉴욕증시 장 초반 하락…트럼프·머스크 갈등에 테슬라 7% 급락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3 [알고보니] 윤석열, 내란특검 소환이 위법, 부당하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2 때릴수록 올랐다…징벌적 과세가 만든 강남 광풍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1 "쓰나미인 줄"…'폭염' 포르투갈 해안 거대한 두루마리 구름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40 ‘친윤 검찰’도 실력파는 요직에…“정책기조 동의땐 과감한 기용”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39 尹, 2차 조사 끝내 거부‥"오는 토요일 출석하겠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38 '국회 존중' 들고나온 李대통령…'尹정부 방통위' 겨냥 해석(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37 국정위, 검찰 보고 무기 연기‥법무차관 "수사-기소 분리 공감"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36 러시아, 6월 드론 5438대 날려 우크라 공습…역대 최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35 "더 많은 것 잃을 것" 트럼프·머스크 갈등에 테슬라 7% 급락 new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