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관세 인상에 세계 각국이 보복 관세로 대응한다면, 미국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세계 주요국보다 크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뉴욕사무소는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경제의 무역 의존도가 악명 높은 '스무트-홀리 관세법'을 시행한 1930년대보다 2배 이상 높아졌다.
1930년 스무트-홀리법 도입 당시 GDP에서 수출은 4.8%를 차지했다. 2023년에는 수출 비중이 7%로 늘었다. 2023년 유럽연합(EU)과 중국은 중국 GDP에서 대미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1%, 2.9%이다. 단순 계산으로 미국은 GDP의 7%가 보복관세 영향권에 놓이는 반면, EU와 중국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이 관세의 영향을 받는다는 분석이다.
보고서가 인용한 국제통화기금(IMF) 자료에서도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25%포인트 인상될 경우, 10년간 미국의 실질 수출이 19∼28% 감소한다고 설명한다. 반면 EU와 중국의 실질 수출은 각각 0∼1.1%, 5∼7% 감소하는 데 그치는 것으로 추정됐다. 실질 GDP도 미국은 최대 1.3% 줄어들어 감소 폭이 중국(-1.1%)이나 EU(-0.6%)보다 컸다.
다만 이는 관세 협상이 실패로 끝나 미국이 평균 관세율을 25%포인트 올리고, 각국이 즉각적인 보복 관세로 대응한다는 가정에서 이뤄진 분석이다. 보고서는 시장 전문가들은 현재 미국의 최종 관세 수준이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것보다는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현재 금융시장은 상호관세 정책 발표 직후 충격에서 벗어났고, 뉴욕증시도 지난 2월의 사상 최고치를 회복한 상태다.
그러나 관세정책 향방 및 영향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점은 시장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향후 무역 협상의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관세인상에 따른 경기둔화 및 물가 상승이 하반기 들어 점차 현실화할 경우 자산 가격이 빠르게 조정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