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동차 '미 관세'에도 2.3%↑…대미 수출 줄었으나 EU·중고차 수출↑
지역별 수출 미국 0.5%↓·중국 2.7%↓·아세안 2.1%↑·EU 14.7%↑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는 신선대부두, 감만부두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 영향 속에서도 6월 수출이 작년보다 4.3% 증가하면서 한 달 만에 수출 증가세를 회복했다.

주력 상품인 반도체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미 관세 영향권에 든 자동차 수출도 6월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면서 전체 수출을 견인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6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6월 수출액은 598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4.3% 증가했다. 이는 역대 6월 최대 실적이다.

월간 수출은 2023년 10월부터 15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한 뒤 올해 1월 감소로 전환했다. 이후 3개월 연속 증가 뒤 지난 5월 감소로 돌아섰는데,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를 회복한 것이다.

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에서는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149억7천만달러로 작년보다 11.6%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다시 썼다.

월간 반도체 수출액은 지난 2월 소폭 감소(-3%)했지만 3월부터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제품의 견조한 수요와 고정가격 상승 흐름에 힘입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수출 효자' 자동차의 수출도 63억달러로 2.3% 증가했다. 이는 6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자동차 수출은 미국 관세 영향 대미 수출은 줄었으나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이 전기차를 중심으로 늘어나고 중고차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

바이오헬스가 작년보다 36.5% 증가한 16억6천만달러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선박 (25억달러·63.4%↑), 컴퓨터(13억달러·15.2%↑), 자동차부품(18억달러·2.4%↑) 등 15개 품목 중 6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석유제품(36억2천만달러·2.0%↓)과 석유화학(33억6천만달러·15.5%↓)의 수출은 제품 가격이 연동되는 유가가 약세를 보이면서 감소 흐름이 이어졌다.

15대 품목 외에도 농수산식품(10억3천만달러·7.7%↑), 화장품(9억5천만달러·22.0%↑), 전기기기(15억8천만달러·14.8%↑) 수출은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트럼프 관세'의 직접 영향을 받는 대미 수출이 112억4천만달러로 0.5% 감소하며 보합세를 보였고, 대중 수출도 104억2천만달러로 2.7% 소폭 줄었다.

아세안 수출이 2.1% 증가한 97억6천만달러로 한 달 만에 증가로 전환했으며 EU 수출은 14.7% 증가해 58억달러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인도(15억8천만달러·2.3%↑), 독립국가연합(CIS)(11억달러·18.5%↑), 중남미(24억달러·3.3%↑), 일본(25억달러·3.0%↑), 중동(19억달러·14.8%↑), 대만(43억4천만달러·31.0%↑) 등으로의 수출도 증가했다.

한국의 6월 수입액은 507억2천만달러로 작년 대비 3.3% 증가했다.

에너지 수입은 원유, 가스 등 수입 감소로 14.7% 줄어든 85억5천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도체 장비 등 비에너지 수입은 7.9% 증가한 421억7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6월 무역수지는 90억8천만달러 흑자로, 2018년 9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올해 1월 잠시 적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2023년 6월 이후 계속 흑자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수출액은 작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0.03%)인 3천347억달러로 집계됐다.

상반기 반도체 수출은 HBM, DDR5 등 고부가제품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메모리 가격이 반등하면서 전년 대비 11.4% 증가한 733억달러를 기록, 역대 상반기 최대 실적을 다시 썼다.

자동차 수출은 하이브리드차의 수출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 부과 및 미국 현지 공장 생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1.7% 감소한 364억달러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상반기 대미 수출이 3.7% 감소한 622억달러를 기록했으며 대중 수출도 4.6% 감소한 605억달러로 집계됐다.

상반기 수입은 1.6% 감소한 3천69억달러를 나타냈다.

이로써 상반기 무역수지 흑자는 278억달러로, 전년 대비 48억달러 개선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상반기 우리 수출은 미국의 관세 조치, 경기 회복세 둔화, 중동 사태 등 불확실성에도 전년 수준을 유지했고, 새 정부가 출범한 6월에는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됐다"며 "정부는 당면 과제인 한미 협상에 총력 대응하고,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무역 금융 공급, 대체 시장 발굴 등을 포함한 수출 지원방안을 빠른 시일 내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289 부하들은 모두 수감됐는데... 우두머리만 구속 피할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7.09
53288 “카푸어 안 해요”… 2030 신차 구매 10년 만에 최저 랭크뉴스 2025.07.09
53287 창원 미용실 흉기난동 출동 경찰관 총기 오발로 부상 랭크뉴스 2025.07.09
53286 김병기 "이 대통령 공소 취소돼야... 검찰, 잘못 인정하는 게 용기" 랭크뉴스 2025.07.09
53285 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美에 너무 적게 지불"(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9
53284 나서는 곳 없나? 홈플러스 “인수, ‘전세’ 끼고 1조원 미만도 가능” 랭크뉴스 2025.07.09
53283 "포켓몬 카드 빨리 사려고 새치기 했다가"…사소한 말다툼이 결국 흉기 난투극으로 랭크뉴스 2025.07.09
53282 트럼프 "한국, 우리에게 군사 비용 너무 적게 지불" 랭크뉴스 2025.07.09
53281 트럼프 "머스크 신당 걱정 안해…제3정당은 늘 내게 도움 됐다" 랭크뉴스 2025.07.09
53280 서울 37.8도 ‘이글이글’… 1907년 이후 최악 폭염 랭크뉴스 2025.07.09
53279 美국무 "아르메니아-아제르 평화협정 조속 체결 기대" 랭크뉴스 2025.07.09
53278 트럼프 “반도체·의약품 관세 곧 발표…구리 관세는 50%” 랭크뉴스 2025.07.09
53277 [단독] 주담대 한도 ‘발등에 불’… 보험사, 6·27 대책 잘못 적용해 혼선 랭크뉴스 2025.07.09
53276 [속보] 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구리 관세는 50%” 랭크뉴스 2025.07.09
53275 [속보] 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반도체관세 매우 곧 발표할 것” 랭크뉴스 2025.07.09
53274 "층간 소음, 이 지경까지"…'쿵쿵' 소리에 내려갔더니, 펄펄 끓는 식용유 부은 이웃 랭크뉴스 2025.07.09
53273 브라질·인도 "교역 3배 확대"…美관세 위협 속 경협강화 모색 랭크뉴스 2025.07.09
53272 "울고 보채서" 11개월 딸 살해 후 베란다에 시신 6개월 방치한 父, 징역 13년 랭크뉴스 2025.07.09
53271 美, 북한 IT노동자 위장취업 도운 北·러의 개인·기업들 제재 랭크뉴스 2025.07.09
53270 이건희 회장의 이태원 집, 228억에 팔렸다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