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동차 '미 관세'에도 2.3%↑…대미 수출 줄었으나 EU·중고차 수출↑
지역별 수출 미국 0.5%↓·중국 2.7%↓·아세안 2.1%↑·EU 14.7%↑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는 신선대부두, 감만부두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 영향 속에서도 6월 수출이 작년보다 4.3% 증가하면서 한 달 만에 수출 증가세를 회복했다.

주력 상품인 반도체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미 관세 영향권에 든 자동차 수출도 6월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면서 전체 수출을 견인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6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6월 수출액은 598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4.3% 증가했다. 이는 역대 6월 최대 실적이다.

월간 수출은 2023년 10월부터 15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한 뒤 올해 1월 감소로 전환했다. 이후 3개월 연속 증가 뒤 지난 5월 감소로 돌아섰는데,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를 회복한 것이다.

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에서는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149억7천만달러로 작년보다 11.6%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다시 썼다.

월간 반도체 수출액은 지난 2월 소폭 감소(-3%)했지만 3월부터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제품의 견조한 수요와 고정가격 상승 흐름에 힘입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수출 효자' 자동차의 수출도 63억달러로 2.3% 증가했다. 이는 6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자동차 수출은 미국 관세 영향 대미 수출은 줄었으나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이 전기차를 중심으로 늘어나고 중고차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

바이오헬스가 작년보다 36.5% 증가한 16억6천만달러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선박 (25억달러·63.4%↑), 컴퓨터(13억달러·15.2%↑), 자동차부품(18억달러·2.4%↑) 등 15개 품목 중 6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석유제품(36억2천만달러·2.0%↓)과 석유화학(33억6천만달러·15.5%↓)의 수출은 제품 가격이 연동되는 유가가 약세를 보이면서 감소 흐름이 이어졌다.

15대 품목 외에도 농수산식품(10억3천만달러·7.7%↑), 화장품(9억5천만달러·22.0%↑), 전기기기(15억8천만달러·14.8%↑) 수출은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트럼프 관세'의 직접 영향을 받는 대미 수출이 112억4천만달러로 0.5% 감소하며 보합세를 보였고, 대중 수출도 104억2천만달러로 2.7% 소폭 줄었다.

아세안 수출이 2.1% 증가한 97억6천만달러로 한 달 만에 증가로 전환했으며 EU 수출은 14.7% 증가해 58억달러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인도(15억8천만달러·2.3%↑), 독립국가연합(CIS)(11억달러·18.5%↑), 중남미(24억달러·3.3%↑), 일본(25억달러·3.0%↑), 중동(19억달러·14.8%↑), 대만(43억4천만달러·31.0%↑) 등으로의 수출도 증가했다.

한국의 6월 수입액은 507억2천만달러로 작년 대비 3.3% 증가했다.

에너지 수입은 원유, 가스 등 수입 감소로 14.7% 줄어든 85억5천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도체 장비 등 비에너지 수입은 7.9% 증가한 421억7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6월 무역수지는 90억8천만달러 흑자로, 2018년 9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올해 1월 잠시 적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2023년 6월 이후 계속 흑자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수출액은 작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0.03%)인 3천347억달러로 집계됐다.

상반기 반도체 수출은 HBM, DDR5 등 고부가제품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메모리 가격이 반등하면서 전년 대비 11.4% 증가한 733억달러를 기록, 역대 상반기 최대 실적을 다시 썼다.

자동차 수출은 하이브리드차의 수출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 부과 및 미국 현지 공장 생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1.7% 감소한 364억달러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상반기 대미 수출이 3.7% 감소한 622억달러를 기록했으며 대중 수출도 4.6% 감소한 605억달러로 집계됐다.

상반기 수입은 1.6% 감소한 3천69억달러를 나타냈다.

이로써 상반기 무역수지 흑자는 278억달러로, 전년 대비 48억달러 개선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상반기 우리 수출은 미국의 관세 조치, 경기 회복세 둔화, 중동 사태 등 불확실성에도 전년 수준을 유지했고, 새 정부가 출범한 6월에는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됐다"며 "정부는 당면 과제인 한미 협상에 총력 대응하고,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무역 금융 공급, 대체 시장 발굴 등을 포함한 수출 지원방안을 빠른 시일 내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06 [르포] 서울 강남역에 20억짜리 금연구역 설치… 옆 골목으로 옮겨간 흡연자들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05 "계엄 왜 안 막았나"‥국무위원 '내란 방조' 혐의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04 심우정에게 필요한 것 [그림판]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03 검사장 승진한 임은정 ‘검찰 쓴소리’ 뉴스 모음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02 “친윤 검사들, 이삿짐 다시 풀 듯”…정진우·성상헌 인사에 혁신당 반발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01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검찰 고위직 줄줄이 퇴진 new 랭크뉴스 2025.07.01
50000 [단독] “은마아파트 재건축 조합장은 사이코패스” 단톡방 험담…항소심도 벌금 100만원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9 한성숙 중기장관 후보자, ‘음란물유포’로 벌금형 전과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8 내란 특검 “5일 오전 9시 출석” 사실상 최후통첩···윤석열, 출석 방침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7 [단독] 통일교 파일 “윤핵관, 원정도박 압색 흘려줘”…김건희 특검이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6 “나경원, 농성을 출판기념회 하듯”…드루킹 단식 김성태의 진단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5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데…'이 병' 감염 환자 살리려다 의료진 7명까지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4 시청역 참사 1주기 날, 또 인도로 돌진…40대 남성 참변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3 '시청역 참사' 1주기 날에…상암동서 차량 인도 돌진, 1명 사망(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2 "검찰 해체 표현 부적절" "충분 소통"… 정성호, 여권 강경파와 결 다르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1 시진핑, ‘권력 이상설’ 차단…중앙회의·학습 주재하며 건재 과시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90 윤 정부와 날 세운 임은정 깜짝 발탁, 좌천된 김태훈도 기사회생···검찰개혁 위한 ‘사전작업’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89 노동계 1만1천260원·경영계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88 내년 최저임금 시급 1만100원 넘는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49987 특검, 尹 오전 5일 출석시간 9시→10시 조정 요청 거부 new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