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코스피 지수가 장중 3130선을 돌파했다. 약 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제공

1일 오전 10시 12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5.13포인트(1.79%) 오른 3126.83을 기록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전장보다 17.94포인트(0.58%) 오른 3089.64로 출발한 뒤 상승폭을 키워 장 초반 3131.05를 기록했다. 지난 2021년 9월 28일(3134.46) 이후 약 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000억원, 4000억원 규모로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다. 개인은 홀로 5600억원어치 팔아치우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5.17포인트(0.66%) 상승한 786.67이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기관이 310억원 규모로 순매수하고 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60억원, 130억원 규모로 매도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상법개정안의 조기 통과 기대감이 국내 증시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그동안 상법개정안에 반대 입장을 보여왔던 국민의힘이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지주사 관련 종목이 강세를 나타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 기대감도 투자심리를 개선시켰다. 미국의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다음 달 8일 종료를 앞둔 가운데, 무역 협상 타결 가능성이 부각됐다. 간밤 뉴욕 증시에서는 미국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가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 마감했다.

캐나다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 재개를 위해 미국 기업 대상 ‘디지털세’ 부과 계획을 철회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아울러 유럽연합(EU)이 트럼프 정부 당시 도입된 보편관세(10%) 수용 의사를 미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협상 기대감에 더욱 힘이 실렸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33 트럼프 "일본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32 '시청역 참사' 꼭 1년 만에 또…전기차 돌진에 울타리 뽑혀나가 랭크뉴스 2025.07.02
50131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고려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30 美FBI, 취업사기·가상화폐 탈취 北일당 수배…보상금 68억원 랭크뉴스 2025.07.02
50129 그들에겐 수도권이 천국이었다…마침내 드러난 러브버그 비밀 랭크뉴스 2025.07.02
50128 李 "주택이 투자·투기수단 됐다"…대안으로 '주식' 꺼낸 진짜 이유 랭크뉴스 2025.07.02
50127 법사소위, 오늘 상법 개정안 심사…여야 합의 여부 주목 랭크뉴스 2025.07.02
50126 사랑의 묘약? 미의 표현?…15세 신라여인은 왜 ‘비단벌레 금동관’ 썼나[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7.02
50125 尹이 박박 기던 무명검사 때, 조은석은 펄펄 날던 스타였다 [특검 150일 ①] 랭크뉴스 2025.07.02
50124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생각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23 상암동서 전기차 인도로 돌진…벤치 앉아있던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2
50122 [단독] 여당, 상법 '3% 룰' 빼고 내일 본회의 처리한다 랭크뉴스 2025.07.02
50121 [단독] 트럼프와 상견례 못했는데…"中, 9월 전승절에 李초청 타진" 랭크뉴스 2025.07.02
50120 [李대통령 취임한달] '빠른 국정안정' 초점…내각구성·추경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2
50119 [속보] 트럼프, 日 상호관세율 24%에서 30~35%로 상향 시사 압박 랭크뉴스 2025.07.02
50118 일본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남남서쪽 바다 규모 5.0 지진 발생 랭크뉴스 2025.07.02
50117 [속보] 트럼프, 日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로 상향 가능성 시사 랭크뉴스 2025.07.02
50116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주중 대통령 서명 전망 랭크뉴스 2025.07.02
50115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2
50114 노 1만1260원 vs 사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 여전히 큰 간극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