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투데이]
◀ 앵커 ▶

매년 이맘때 나타나는 러브버그.

올해는 인천 계양산 정상에 대량으로 나타났습니다.

일상생활에 불편한 점이 있지만 전문가들은 방제보다는 공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김민욱 환경 전문기자입니다.

◀ 리포트 ▶

인천 계양산 정상.

나무 데크로 만들어진 계단을 시커먼 벌레들이 덮었습니다.

바닥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빽빽합니다.

몇 년 전부터 이맘때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인근에 대량 출몰하는 붉은등우단털파리, 이른바 러브버그입니다.

***

계양산 정상으로 향하는 등산로에서 만난 주민들이 취재팀을 걱정합니다.

"꼭대기 올라가려면 망 쓰고 가야 하는데. 가면 한 10초도 못 있어요. <아 그 정도예요?>"

[김성은/인천 중구]
"저 꼭대기 가면 한 30억 마리쯤 날아다녀요."

잠시 뒤 도착한 계양산 정상.

말 그대로 러브버그한테 점령당했습니다.

"계양산 정상에 잠시만 서 있으면 얼굴과 온몸에 러브버그가 달라붙습니다."

등산객들은 벌레를 쫓다가 허겁지겁 내려가고, 허공에 쳐놓은 끈끈이는 몇 분 만에 러브버그가 달라붙어 시커멓게 변합니다.

[인천 계양구청 공원녹지과 관계자]
"저기 시커멓게 보이는 거. 저거 전부 사체예요. 어제 5시간 동안 치웠어요."

탁 트인 공간에서 짝짓기 비행을 하는 특성 때문에 산 정상에 이렇게 많이 출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성득/인천 계양구]
"<작년 재작년에도 이랬나요?> 작년, 재작년에는 안 그랬었어요. 올해 갑자기 이러네."

러브버그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것은 지난 2015년입니다.

그러다 2022년 서울 은평구와 경기도 고양 일대에서 대량으로 나타나며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2023년에는 서울 25개 모든 자치구에서 목격됐고, 점점 영역을 넓혀가는 중입니다.

그만큼 시민 불편도 커지고 있지만 러브버그는 꿀을 먹으며 화분을 옮기고 사람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대발생해도 생존 기간은 길지 않고, 그동안 대발생했던 지역에서 다음 해에는 대부분 발생량이 감소했습니다.

[박선재/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6월 말에서 7월 초에 가장 많은 개체 수가 발견이 되고 있고요. 7월 중순이 넘어가면 줄어들고 사멸하는 걸로…"

러브버그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이 연구 중이지만 어차피 박멸은 불가능하고 그렇다고 화학 약품을 사용하면 다른 생물들도 피해를 입습니다.

[이후승/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
"위해하지 않다라는 거는 알려져 있고, 정책의 방향은 이 불편함을 최소화시켜주는 방향으로 가는 게 좀 필요하지 않을까…"

러브버그가 많은 곳에서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또 좋아하는 빛을 내는 조명 사용을 줄이는 등 공존의 해법을 마련할 시점입니다.

MBC뉴스 김민욱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05 "심각한 아동성범죄엔 사형’…美 아이다호주, 7월부터 시행하는 법안 보니 랭크뉴스 2025.07.02
50104 "점점 밀려오는 저거, 쓰나미 아냐?" 푹푹 찌는 폭염이 만든 '이상 현상' 포착 랭크뉴스 2025.07.02
50103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 발탁…검찰개혁 동력 확보 ‘사전작업’ 랭크뉴스 2025.07.02
50102 "사람이면 할 수 없는 일"…'ATM'·'노예'라 부르며 '학폭' 가해한 고교생들 결국 랭크뉴스 2025.07.02
50101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종합) 랭크뉴스 2025.07.02
50100 [단독] 부사관 양성 22년 ‘전설의 교관’, 합참 주임원사 내정 랭크뉴스 2025.07.02
50099 [단독] 더본코리아 ‘빽다방’ 본부급 격상 추진… 전화위복 계기 될까 랭크뉴스 2025.07.02
50098 이 대통령 “임명권력은 선출권력 존중해야” 작심 발언 랭크뉴스 2025.07.02
50097 "이러다가 에펠탑 무너지는 거 아냐?"…'20cm' 변형된다는데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2
50096 [속보] 트럼프 대규모 감세안 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 랭크뉴스 2025.07.02
50095 "이젠 한국이 더 맛있다"…본고장 미국 마저 홀린 '이 음식' 랭크뉴스 2025.07.02
50094 심우정 전격 사의, 검찰개혁에 반발 랭크뉴스 2025.07.02
50093 英법원, 58년전 성폭행·살인 혐의 92세 노인에 종신형 랭크뉴스 2025.07.02
50092 심우정, 검찰개혁 진용 갖춰지자마자 ‘물러날 결심’…내부선 “윤석열만큼 조직에 패악” 랭크뉴스 2025.07.02
50091 트럼프 감세 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표'로 가결 랭크뉴스 2025.07.02
50090 내란 특검, 재출석 거부한 윤석열에 “5일 나오라”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7.02
50089 쿠바, 美의 제재 강화에 "굴복 안해"…전력난에 블랙아웃 심화 랭크뉴스 2025.07.02
50088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연봉 1억이면 대출 6800만원 ↓ 랭크뉴스 2025.07.02
50087 "나라도 극장 안 가"…천만 영화가 뭐죠? 손익분기점 넘는 작품도 고작 랭크뉴스 2025.07.02
50086 심우정, 검찰개혁 앞두고 “사퇴”…이재명 정부, ‘검찰 물갈이’ 시작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