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주가지수가 큰 폭 상승하고 있지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셀트리온 주가는 박스권에 머물면서 시가총액 순위가 10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됐다. 특히 셀트리온은 주가 부양을 위해 올해에만 7차례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지만, 주가에는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례적인 상승장에 셀트리온이 소외된 모습을 보이자 소액 주주들은 단체 행동을 예고하며 서정진 회장 일가에 화살을 돌리고 있다. 셀트리온의 주가가 낮은 이유는 2세 승계 작업 때문이라며 소액 주주들이 규합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30일 셀트리온 주가는 15만9600원에 거래를 마쳤다(정규장 기준). 이달 코스피 지수가 10% 넘게 오르는 동안에도 셀트리온은 16만원 선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최근 6개월로 시계를 넓혀보면 코스피 지수가 28% 오르는 사이 셀트리온 주가는 오히려 11% 하락했다.

바이오 업종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지만 셀트리온이 주가 부양을 명목으로 올해에만 7차례에 걸쳐 약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 걸 고려하면 회사의 주가 부진은 유독 두드러진다.

인천시 연수구에 있는 셀트리온 공장 모습./뉴스1

소액 주주들은 주가 부진의 화살을 서정진 회장 일가의 승계 문제로 돌리고 있다. 서 회장이 최근 공식 석상에서 승계를 언급하자 소액 주주의 불만은 더 커지는 분위기다.

서 회장은 지난 5월 기자 간담회에서 자신의 유고 시 “회사 절반은 국가가 가져가고 절반은 2세에게 갈 것”이라며 과도한 상속세에 대한 부담을 토로하는 동시에 상속 계획을 우회적으로 밝혔다. 회사가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자사주 매입과 관련해서는 “주가 방어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라며 “상속세는 어차피 내야 하는 것이고, 오너 2세들이 안정적으로 경영하게 하는 방법이 제 지분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했다. 회사가 자사주를 사들여 소각하면 기존 주주의 지분이 자연스럽게 높아지는 것을 언급한 것이다.

앞서 서 회장은 2년 전 기자회견에서 “자사주 취득과 승계는 연결고리가 없다”면서 “증여세로 몇조원은 내야 할 것이기에 승계할 방법이 없다. 이렇게 회사가 성공할 줄 몰라서 상속 준비를 안 했다”고 했었다. 지난 2년 동안 승계, 상속과 관련해 상당한 태도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셀트리온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는 서 회장이 있다. 서 회장이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 지분을 98.1% 보유하고 있고, 셀트리온홀딩스가 셀트리온 주식 22.9%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서 회장이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승계할 경우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이 핵심인데,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 가치는 보유한 자산 가치를 기반으로 평가된다. 소액 주주들이 셀트리온의 낮은 주가와 승계를 연결해 생각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지난해 다수 주주의 반대로 한차례 무산됐지만, 셀트리온이 셀트리온제약과 합병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도 주주들에게 부담 요인이다. 셀트리온그룹은 지난 2023년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합병한 데 이어 지난해 셀트리온제약의 합병을 추진했다. 하지만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의 합병 비율을 놓고 셀트리온 주주의 반대가 거셌고, 주주 반대로 합병은 무산됐다.

증권 업계에서는 아직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효과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셀트리온 2024회계연도 연결기준 실적은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성적표였다. 지난해 셀트리온 매출액은 3조5573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920억원으로 전년대비 24% 감소했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영업이익이 예상보다 적었던 이유는 판관비 때문”이라며 “당초 합병효과로 PPA 상각비용이 제거되면 판관비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지만 신약 연구개발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판관비가 기대보다는 감소하지 않았다”라고 분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357 트럼프 "조만간 구리에 50% 관세" 발표에 구리 가격 사상 최고로 급등 랭크뉴스 2025.07.09
53356 한국은 '부자'...트럼프, "주한미군 방위비 9배 높여야" 랭크뉴스 2025.07.09
53355 삼성 갤럭시 ‘폴드7·플립7’, 오늘밤 전세계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7.09
53354 밤낮없는 무더위 지속…서울·대전·광주 낮 36도 랭크뉴스 2025.07.09
53353 '재벌가 며느리' 노현정 아나운서...남편 근황에 '충격' 랭크뉴스 2025.07.09
53352 금융 당국, 방시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검찰 고발 방침 랭크뉴스 2025.07.09
53351 40도 넘긴 7월 초 '역대급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9
53350 스테이블코인의 역습...투자판·정책 다 바꿨다 랭크뉴스 2025.07.09
53349 트럼프 ‘구리 50% 관세’ 발표에 구리 가격 1989년 이후 최대폭 급등 랭크뉴스 2025.07.09
53348 [팩트체크] 자녀 이름 몇 자까지 가능할까…이름의 변천사 랭크뉴스 2025.07.09
53347 윤석열 전 대통령 보좌한 '빅 4' 국무위원 운명은 랭크뉴스 2025.07.09
53346 "계엄 항명 안 한 것 후회"‥여인형의 '참회록' 랭크뉴스 2025.07.09
53345 윤석열 전 대통령 오늘 구속심사…“무관용 대응” 경찰 2천 명 투입 랭크뉴스 2025.07.09
53344 이제 美 공항에서 신발 안 벗어도 된다… “검사 의무 19년 만에 철폐” 랭크뉴스 2025.07.09
53343 서울대 문화관 새 단장… 이주용·최기주 부부 100억 원 기부 랭크뉴스 2025.07.09
53342 시간당 47.5㎜ 퍼부은 평택 청북…주상복합 건물서 '물난리' 랭크뉴스 2025.07.09
53341 “SK하이닉스 덕분에” 국민연금 주식평가액 2분기 35조원 폭등 랭크뉴스 2025.07.09
53340 [중견기업 해부] “IP 키운다더니”…3년 지나도 블핑 뿐인 양현석의 YG 랭크뉴스 2025.07.09
53339 ‘슬리퍼 활보’의 최후는?···윤석열, 오늘 구속영장 심사 랭크뉴스 2025.07.09
53338 삼성전자, 2분기 실적 부진에도… 증권가 “일회성 비용 해소, 하반기 이후 실적 개선 기대”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