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주가지수가 큰 폭 상승하고 있지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셀트리온 주가는 박스권에 머물면서 시가총액 순위가 10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됐다. 특히 셀트리온은 주가 부양을 위해 올해에만 7차례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지만, 주가에는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례적인 상승장에 셀트리온이 소외된 모습을 보이자 소액 주주들은 단체 행동을 예고하며 서정진 회장 일가에 화살을 돌리고 있다. 셀트리온의 주가가 낮은 이유는 2세 승계 작업 때문이라며 소액 주주들이 규합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30일 셀트리온 주가는 15만9600원에 거래를 마쳤다(정규장 기준). 이달 코스피 지수가 10% 넘게 오르는 동안에도 셀트리온은 16만원 선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최근 6개월로 시계를 넓혀보면 코스피 지수가 28% 오르는 사이 셀트리온 주가는 오히려 11% 하락했다.

바이오 업종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지만 셀트리온이 주가 부양을 명목으로 올해에만 7차례에 걸쳐 약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 걸 고려하면 회사의 주가 부진은 유독 두드러진다.

인천시 연수구에 있는 셀트리온 공장 모습./뉴스1

소액 주주들은 주가 부진의 화살을 서정진 회장 일가의 승계 문제로 돌리고 있다. 서 회장이 최근 공식 석상에서 승계를 언급하자 소액 주주의 불만은 더 커지는 분위기다.

서 회장은 지난 5월 기자 간담회에서 자신의 유고 시 “회사 절반은 국가가 가져가고 절반은 2세에게 갈 것”이라며 과도한 상속세에 대한 부담을 토로하는 동시에 상속 계획을 우회적으로 밝혔다. 회사가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자사주 매입과 관련해서는 “주가 방어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라며 “상속세는 어차피 내야 하는 것이고, 오너 2세들이 안정적으로 경영하게 하는 방법이 제 지분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했다. 회사가 자사주를 사들여 소각하면 기존 주주의 지분이 자연스럽게 높아지는 것을 언급한 것이다.

앞서 서 회장은 2년 전 기자회견에서 “자사주 취득과 승계는 연결고리가 없다”면서 “증여세로 몇조원은 내야 할 것이기에 승계할 방법이 없다. 이렇게 회사가 성공할 줄 몰라서 상속 준비를 안 했다”고 했었다. 지난 2년 동안 승계, 상속과 관련해 상당한 태도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셀트리온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는 서 회장이 있다. 서 회장이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 지분을 98.1% 보유하고 있고, 셀트리온홀딩스가 셀트리온 주식 22.9%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서 회장이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승계할 경우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이 핵심인데,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 가치는 보유한 자산 가치를 기반으로 평가된다. 소액 주주들이 셀트리온의 낮은 주가와 승계를 연결해 생각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지난해 다수 주주의 반대로 한차례 무산됐지만, 셀트리온이 셀트리온제약과 합병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도 주주들에게 부담 요인이다. 셀트리온그룹은 지난 2023년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합병한 데 이어 지난해 셀트리온제약의 합병을 추진했다. 하지만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의 합병 비율을 놓고 셀트리온 주주의 반대가 거셌고, 주주 반대로 합병은 무산됐다.

증권 업계에서는 아직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효과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셀트리온 2024회계연도 연결기준 실적은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성적표였다. 지난해 셀트리온 매출액은 3조5573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920억원으로 전년대비 24% 감소했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영업이익이 예상보다 적었던 이유는 판관비 때문”이라며 “당초 합병효과로 PPA 상각비용이 제거되면 판관비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지만 신약 연구개발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판관비가 기대보다는 감소하지 않았다”라고 분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42 트럼프 "일본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 부과할 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41 [단독]안동 병산서원 ‘윤석열 기념식수비’ 감쪽같이 사라졌다 랭크뉴스 2025.07.02
50140 '영끌' 틀어막기…금융위 "'연소득 내' 신용대출에 카드론 포함" 랭크뉴스 2025.07.02
50139 '심정지 1시간' 아빠, 간호사 자매는 연명의료를 선택했다 [유예된 죽음] 랭크뉴스 2025.07.02
50138 자영업자 소득, 월급쟁이와 다른데…국민연금 재정전망 착시우려 랭크뉴스 2025.07.02
50137 [단독]기재부 ‘예산처·재경부’로 쪼갠다···국정기획위, 분리안 사실상 확정 랭크뉴스 2025.07.02
50136 군함도 세계유산 10년에도…日, '강제노동 설명' 약속 지속 외면 랭크뉴스 2025.07.02
50135 '윤 석방·비화폰'의 주역‥결국 '법복' 벗었다 랭크뉴스 2025.07.02
50134 [2025 중앙재테크박람회] "서울 집값 초과열 상태…고강도 대출 규제로 빠르게 식을 것" 랭크뉴스 2025.07.02
50133 트럼프 "일본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32 '시청역 참사' 꼭 1년 만에 또…전기차 돌진에 울타리 뽑혀나가 랭크뉴스 2025.07.02
50131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고려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30 美FBI, 취업사기·가상화폐 탈취 北일당 수배…보상금 68억원 랭크뉴스 2025.07.02
50129 그들에겐 수도권이 천국이었다…마침내 드러난 러브버그 비밀 랭크뉴스 2025.07.02
50128 李 "주택이 투자·투기수단 됐다"…대안으로 '주식' 꺼낸 진짜 이유 랭크뉴스 2025.07.02
50127 법사소위, 오늘 상법 개정안 심사…여야 합의 여부 주목 랭크뉴스 2025.07.02
50126 사랑의 묘약? 미의 표현?…15세 신라여인은 왜 ‘비단벌레 금동관’ 썼나[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7.02
50125 尹이 박박 기던 무명검사 때, 조은석은 펄펄 날던 스타였다 [특검 150일 ①] 랭크뉴스 2025.07.02
50124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생각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23 상암동서 전기차 인도로 돌진…벤치 앉아있던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