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주가지수가 큰 폭 상승하고 있지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셀트리온 주가는 박스권에 머물면서 시가총액 순위가 10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됐다. 특히 셀트리온은 주가 부양을 위해 올해에만 7차례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지만, 주가에는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례적인 상승장에 셀트리온이 소외된 모습을 보이자 소액 주주들은 단체 행동을 예고하며 서정진 회장 일가에 화살을 돌리고 있다. 셀트리온의 주가가 낮은 이유는 2세 승계 작업 때문이라며 소액 주주들이 규합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30일 셀트리온 주가는 15만9600원에 거래를 마쳤다(정규장 기준). 이달 코스피 지수가 10% 넘게 오르는 동안에도 셀트리온은 16만원 선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최근 6개월로 시계를 넓혀보면 코스피 지수가 28% 오르는 사이 셀트리온 주가는 오히려 11% 하락했다.

바이오 업종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지만 셀트리온이 주가 부양을 명목으로 올해에만 7차례에 걸쳐 약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 걸 고려하면 회사의 주가 부진은 유독 두드러진다.

인천시 연수구에 있는 셀트리온 공장 모습./뉴스1

소액 주주들은 주가 부진의 화살을 서정진 회장 일가의 승계 문제로 돌리고 있다. 서 회장이 최근 공식 석상에서 승계를 언급하자 소액 주주의 불만은 더 커지는 분위기다.

서 회장은 지난 5월 기자 간담회에서 자신의 유고 시 “회사 절반은 국가가 가져가고 절반은 2세에게 갈 것”이라며 과도한 상속세에 대한 부담을 토로하는 동시에 상속 계획을 우회적으로 밝혔다. 회사가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자사주 매입과 관련해서는 “주가 방어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라며 “상속세는 어차피 내야 하는 것이고, 오너 2세들이 안정적으로 경영하게 하는 방법이 제 지분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했다. 회사가 자사주를 사들여 소각하면 기존 주주의 지분이 자연스럽게 높아지는 것을 언급한 것이다.

앞서 서 회장은 2년 전 기자회견에서 “자사주 취득과 승계는 연결고리가 없다”면서 “증여세로 몇조원은 내야 할 것이기에 승계할 방법이 없다. 이렇게 회사가 성공할 줄 몰라서 상속 준비를 안 했다”고 했었다. 지난 2년 동안 승계, 상속과 관련해 상당한 태도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셀트리온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는 서 회장이 있다. 서 회장이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 지분을 98.1% 보유하고 있고, 셀트리온홀딩스가 셀트리온 주식 22.9%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서 회장이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승계할 경우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이 핵심인데,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 가치는 보유한 자산 가치를 기반으로 평가된다. 소액 주주들이 셀트리온의 낮은 주가와 승계를 연결해 생각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지난해 다수 주주의 반대로 한차례 무산됐지만, 셀트리온이 셀트리온제약과 합병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도 주주들에게 부담 요인이다. 셀트리온그룹은 지난 2023년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합병한 데 이어 지난해 셀트리온제약의 합병을 추진했다. 하지만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의 합병 비율을 놓고 셀트리온 주주의 반대가 거셌고, 주주 반대로 합병은 무산됐다.

증권 업계에서는 아직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효과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셀트리온 2024회계연도 연결기준 실적은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성적표였다. 지난해 셀트리온 매출액은 3조5573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920억원으로 전년대비 24% 감소했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영업이익이 예상보다 적었던 이유는 판관비 때문”이라며 “당초 합병효과로 PPA 상각비용이 제거되면 판관비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지만 신약 연구개발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판관비가 기대보다는 감소하지 않았다”라고 분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73 [단독] 온실가스 2000만t 감축은 ‘착시’… 환경부 “경기침체 때문” 랭크뉴스 2025.07.02
50072 “검사 윤석열이 내란 윤석열 수사했으면 긴급체포 하고 남았다” 랭크뉴스 2025.07.02
50071 윤석열 쪽 “7월1일→3일 이후” 내란특검 조사 또 연기 요구 랭크뉴스 2025.07.02
50070 파월 美 연준 의장 “관세 아니었으면 금리 더 내렸을 것” 랭크뉴스 2025.07.02
50069 "쓰나미 인줄"…폭염에 포르투갈 해변 덮은 '거대 구름' 정체 랭크뉴스 2025.07.02
50068 "EU 회원국들, 무역수장에 美관세협상 '강경입장' 주문" 랭크뉴스 2025.07.02
50067 유엔, 이스라엘 가자전쟁·정착촌 관련 기업 60여곳 공개 랭크뉴스 2025.07.02
50066 이진숙, 오늘은 "방통위원 임명 좀"‥떼썼지만 반전 랭크뉴스 2025.07.02
50065 [사설] 미∙중 수출 감소세…신시장 개척으로 무역 영토 넓혀라 랭크뉴스 2025.07.02
50064 [사설] 검찰·사법부 개편, 국민 눈높이 맞게 숙의 과정 거쳐야 랭크뉴스 2025.07.02
50063 [사설] 부동산 쏠림 탈피...이 대통령 '머니 무브', 정책 뒷받침돼야 랭크뉴스 2025.07.02
50062 심우정 총장, 검찰개혁 파고 앞에 9개월 만에 물러나 랭크뉴스 2025.07.02
50061 김건희 '구명로비' 의혹 먼저 수사‥채상병 특검 "기필코 진실 규명" 랭크뉴스 2025.07.02
50060 [사설] 규제 혁파해야 성장하고 일자리 창출…기업 부담 입법 신중해야 랭크뉴스 2025.07.02
50059 양석조 물러나자 임은정‥검찰 고위 간부 인사 단행 랭크뉴스 2025.07.02
50058 김혜경 여사 옆에 이부진…여성 기업인들 만나며 첫 국내 단독 일정 랭크뉴스 2025.07.02
50057 완전체 BTS, 깜짝 발표…“내년 봄 새 앨범 내고 월드투어” 랭크뉴스 2025.07.02
50056 보육교사 성범죄에 호주 발칵…"유아 1200여명에 전염병 검사" 랭크뉴스 2025.07.02
50055 미국 5월 구인 규모 777만건…6개월 만에 최대 수준 랭크뉴스 2025.07.02
50054 “물건 보냈어요” 택배 송장 조작… 중고거래 소액 사기 교묘해져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