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람 숨진 집' 사고 물건에 관심 늘어
'귀신 없음' 인증서 발급 비즈니스도 호황
일반 주택 대비 20% 저렴해 투자수익률↑
사망자가 발생한 주택, 일명 ‘사고 물건’ 현황을 볼 수 있는 사이트. 오시마테루 홈페이지 갈무리

[서울경제]

일본 도쿄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그간 사람들이 꺼려하던 고독사 주택, 일명 '사고 물건'의 인기가 늘고 있다. 일각에서는 사고 물건에서 밤을 보낸 뒤 '귀신 없음' 인증서를 발급해주는 비즈니스도 호황이다.

30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일본의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살인이나 자살, 고독사 등으로 사람이 숨진 집을 의미하는 사고 물건의 인기가 크게 늘고 있다.

일본의 부동산 관련 법률인 '택지건물거래업법'에 따르면 집주인은 새 입주 희망자에게 해당 물건(부동산)에 대한 물리적 결함과 심리적 결함을 반드시 고지해야 한다. 일본의 민속신앙인 신토에서는 죽은 이가 미련을 남기면 그 영혼이 현세에 머물며 죽은 장소에 정착한다고 믿는다. 이에 따라 사고 물건은 새 집을 찾는 입주자들에게 심리적 거부감을 유발하는 기피 대상이었다.

그러나 최근 일본의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사고 물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었다. 도쿄의 한 부동산 컨설턴트인 고다마 가즈토시는 "예전엔 사람이 사망한 집이면 세입자를 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했다"며 "그러나 최근에는 사고 물건도 하나의 선택지로 보는 사람이 늘었다"고 전했다. 그는 밤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사고 주택에서 밤을 보내며 열화상 카메라, 전자기장 측정기, 온도계, 음성 녹음기 등을 이용해 데이터를 기록하며 초자연적 현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귀신 없음' 인증서를 발급해주는 비즈니스도 하고 있다.

일본 정부도 사고 물건의 거래를 늘리기 위해 정책을 재정비했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고독사가 급증하자 나이가 많은 세입자를 꺼리는 임대인들이 늘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1년 사망 후 3년이 지나면 해당 이력을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는 가이드라인을 새로 만들었다.

시장 과열과 제도 개선에 힘입어 사고 물건을 눈여겨보는 투자자도 늘었다. 사고 물건 중개 전문 마크스라이프에 따르면 고독사로 사망자가 발생한 주택의 경우 20% 가량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데 이에 따른 평균 수익률은 8.4%로 도쿄 중심가 원룸의 평균 수익률(3.55%)보다 훨씬 높은 상태다.

로이터통신은 앞으로 일본의 사고 물건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을 내놨다. 인구사회보장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일본 가구의 14%가 65세 이상 단독 거주자이며 20년 후에는 20%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070 "'엄카'로 지하철 공짜" 외치던 40대 아들…'1800만원' 토해내게 됐다는데 랭크뉴스 2025.07.04
51069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으로 농민단체 면담 랭크뉴스 2025.07.04
51068 트럼프-푸틴 6번째 통화 ‘빈손 종료’…우크라이나 전쟁 중단 이견 확인 랭크뉴스 2025.07.04
51067 연 7.7%? 야구팬이라면 무조건 챙겨야 할 적금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7.04
51066 "검찰개혁 자업자득" 이 대통령 발언... "속전속결" 호응한 민주당 랭크뉴스 2025.07.04
51065 美재무장관 "100개국엔 10% 관세…합의 못하면 기존 관세" 랭크뉴스 2025.07.04
51064 이렇게 힘 세지는 총리실 처음…김민석, 실세 총리? 참모 총리? 랭크뉴스 2025.07.04
51063 "내 남친한테 고백했지?"…편의점주 뺨 때린 女, '항암치료' 엄마까지 발로 찼다 랭크뉴스 2025.07.04
51062 [속보] 美재무 “상호관세, 약 100개국에 최저치인 10% 부과될 것” 랭크뉴스 2025.07.04
51061 ‘크고 아름다운 감세안’ 美 하원도 통과..트럼프 독립기념일 서명한다 랭크뉴스 2025.07.04
51060 "美, 내주 오슬로에서 이란과 회담 추진…핵 협상 재개 논의" 랭크뉴스 2025.07.04
51059 美재무 "상호관세, 약 100개국에 최저치인 10% 부과될 것"(종합) 랭크뉴스 2025.07.04
51058 '욱일기 논란' 고개 숙인 뉴캐슬, 오히려 좋다?…서경덕 "중요한 선례될 것" 랭크뉴스 2025.07.04
51057 트럼프 국정의제 담은 메가법안, 美의회 최종 통과…서명만 남아 랭크뉴스 2025.07.04
51056 ‘중국 원산지 세탁’ 막은 베트남, 한국 관세협상 참고서 됐다 랭크뉴스 2025.07.04
51055 "배런과 멜라니아부터 추방해라"…귀화자도 쫓아낸다는 트럼프, 역풍 맞았다 랭크뉴스 2025.07.04
51054 한국적 AI 모델 ‘오픈’ 합니다…SKT·KT 같은 날 소스 공개 랭크뉴스 2025.07.04
51053 러 "푸틴, 트럼프와 1시간 통화…우크라전 목표 물러서지 않겠다고 밝혀" 랭크뉴스 2025.07.04
51052 오스트리아, 시리아 난민 송환…시리아 내전 이후 EU 첫 사례(종합) 랭크뉴스 2025.07.04
51051 추석 전 검찰 개혁 법안 처리? “얼개 만드는 건 가능할 듯” 힘 실어 [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