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열차 내 강간·강제추행 역사보다 두 배 이상
실시간 CCTV 관제 안 돼 즉각 대응 어려움
"예산 부담에 시민 안전 뒷전" 지적도
지난달 31일 서울지하철 5호선 열차에 방화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범인이 불을 지르는 모습이 CCTV에 찍혔지만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관제센터는 범행 장면을 실시간 확인할 수 없었다. 서울남부지검 제공


지난해 서울지하철에서 발생한 성범죄 1,061건 중 절반 이상이 열차 안에서 벌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하철 5호선 방화 사건으로 열차 운행을 통제하는 관제센터가 열차 내 폐쇄회로(CC)TV 영상을 실시간 확인할 수 없다는 맹점이 드러난 가운데 밀폐된 열차 내부가 각종 범죄의 사각지대라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경찰의 '서울지하철 1~9호선 범죄 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지하철 내 성범죄는 △강간·강제추행 643건 △카메라 등 이용 촬영 368건 △공연음란 50건 등 총 1,061건이다. 이 중 지하철 역사 내 범행은 각각 202건, 229건, 25건으로 전체의 약 43%였고, 열차 내는 441건, 139건, 25건으로 약 57%를 차지했다. 특히 강간·강제추행은 열차 내 발생이 441건으로 역사(202건)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통계상 강간·강제추행으로 분류됐지만 열차 특성을 감안하면 모두 강제추행으로 보인다.

지난해 서울지하철 1~9호선 성범죄 발생 현황. 그래픽=이지원 기자


피해자의 저항이나 주변의 신고가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서 신체 접촉 중심의 범죄가 반복돼도 실시간 감시와 즉각 대응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문제는 최근 지하철 5호선 방화 사건을 계기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달 말 여의나루역에서 마포역 사이 터널 구간에서 60대 남성이 열차에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렀는데, 열차 내부 CCTV는 실시간 영상이 전송되지 않아 관제센터는 현장을 제때 파악하지 못한 사실이 드러났다. 한 객차에 평균 4대의 CCTV가 설치돼 있어도 영상은 차량기지에 도착한 뒤에야 확인할 수 있다.

지하철 범죄 발생 장소를 역사와 열차로 나눠 집계하기 시작한 2023년에도 성범죄 현장의 절반 가까이는 열차 내부였다. 전체 1,271건 중 △강간·강제추행 457건(57.4%) △카메라 등 이용촬영 160건(37%) △공연음란 17건(39.5%) 등 총 634건이 열차 안에서 벌어졌다. 이 외에 절도(33.2%), 폭행 및 상해(38%) 등 주요 범죄도 상당수가 열차에서 발생했다. 특히 최근 2년간 서울지하철 방화 사건은 3건 모두 열차 안이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시민 안전보다 예산 부담을 먼저 따져 실시간 관제시스템 구축을 차일피일 미룬 결과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관련 설비 구축에 약 1,20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해 그간 도입을 미뤘다고 해명한다. 공사 관계자는 "역사 내 CCTV는 역무실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이 갖춰져 있지만 열차 내 CCTV는 동시간대 운행하는 대수가 워낙 많아 용량 등 기술적, 재정적 한계가 크다"며 "실시간 모니터링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나 예산 문제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승객 안전을 최우선에 둬야 한다는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시민의 주요 생활 공간인 지하철이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된 채 방치돼선 안 된다"며 "실시간 감시체계 구축은 물론 위급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현장 인력 확보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도 "지하철 5호선 방화 사건은 밀폐된 열차 내부가 범행 장소가 되었을 때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일깨웠다"며 "열차 내부 CCTV가 실시간 감시 사각지대라는 사실은 묵과할 수 없는 큰 문제라 관계 당국의 빠른 조치를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205 최태원 SK 회장 장남, 컨설팅 회사 입사…‘경영수업’ 일환 랭크뉴스 2025.07.02
50204 토니상 박천휴 작가, 대통령 만나 “이 자리 나온 이유는…”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2
50203 한성숙, 재산만 440억원...최고 ‘부자 장관’ 등극하나 랭크뉴스 2025.07.02
50202 [2보] 심우정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 랭크뉴스 2025.07.02
50201 최형두 "국힘 대선후보 교체 과정, 책임감 느껴"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2
50200 소비자물가 두 달 만에 다시 2%대‥가공식품 4.6% 상승 랭크뉴스 2025.07.02
50199 오늘도 찜통더위…온열질환 주의해야 랭크뉴스 2025.07.02
50198 6월 소비자 물가 2.2%↑…가공식품 4.6% 상승 랭크뉴스 2025.07.02
50197 [속보] 심우정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 랭크뉴스 2025.07.02
50196 [속보] 심우정 검찰총장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 돼야” 랭크뉴스 2025.07.02
50195 퇴임하는 심우정 검찰총장, 다시 한번 검찰개혁에 우려 표명 랭크뉴스 2025.07.02
50194 [속보] 심우정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 랭크뉴스 2025.07.02
50193 '영끌' 원천봉쇄…금융위 "'연소득 내' 신용대출에 카드론 포함" 랭크뉴스 2025.07.02
50192 “나흘간 4500명 사망할수도”…역대급 비상 상황 경고한 전문가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2
50191 여객선서 딸 추락하자 바다 뛰어든 아빠…“20분간 안고 버텨”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7.02
50190 [단독] 미성년자 성폭행 혐의 현직 경찰관 긴급체포‥지구대 압수수색도 랭크뉴스 2025.07.02
50189 7월 첫날 밤부터 강릉 30.3도 '초열대야'…이렇게 더운 밤은 없었다 랭크뉴스 2025.07.02
50188 [단독] 신혼 버팀목대출 기준 상향도 취소…"왜 서민 전세대출 줄이나" 부글 랭크뉴스 2025.07.02
50187 과식한 다음 날 붓고 찌뿌둥하다면, 이 채소로 시작해요 [쿠킹] 랭크뉴스 2025.07.02
50186 트럼프 "日에 30~35% 부과할수도…일부국가 美와 무역 못할수도"(종합)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