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월 "한국 정부와 대화 필요하다" 언급
"러시아도 한국 진보 정부와 관계 회복 기대"
전문가 "러 특사 필요하나 한미 대화가 우선"
게오르기 지노비예프(앞줄 왼쪽 네 번째) 주한 러시아대사가 2월 24일 백봉정치문화교육원에서 진행한 조찬 회의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백봉정치문화교육원 홈페이지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가 대선 기간 더불어민주당 친명계 중진 의원을 만나 새 정부 출범 후 특사 파견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가치 외교를 내세웠던 윤석열 정부 때 멀어진 한러 관계 복원에 러시아가 적극적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북한과 혈맹 관계로 진화하고 있는 만큼 과도한 기대보다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지난 5월 말 민주당 중진 의원을 포함해 친분이 있는 대선 캠프 관계자들과 러시아 대사관에서 만남을 가졌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만약 민주당이 집권한다면 러시아에 특사 파견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지를 물었고, 민주당 측 참석자들은 확답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비공식 석상에서 건넨 말이었으나 러시아가 한국에 새 정부가 들어설 경우 대화 의사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지난 2월 백봉정치문화교육원에서 주최한 조찬회의에도 참석해 한러 간 대화가 필요하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당시 한 참석자는 "대사에게 한국 정부에 가장 바라는 점을 묻자 '제발 대화를 했으면 좋겠다. 대부분의 대화 채널이 단절됐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주한 러시아 대사관은 또 다른 민주당 의원에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중단된 양국 간 고위급 직통망(핫라인) 설치 논의 재개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정부는 지난 6·3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이뤄진다면 한러 관계를 복원할 수 있다는 기대를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단절된 외교관계를 회복하면서 한국과의 경제 협력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엄구호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러시아가 에너지 사업 등 한국과의 협력을 바라는 분야가 있고, 관련 제의도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국에서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러시아를 비롯한 주변국에 특사를 보냈으며, 이번엔 진보 정권이 들어선 만큼 직항 재개 등 관계 개선 시그널을 줄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도 지난 2017년 정부 출범 직후 송영길 당시 민주당 의원을 러시아 특사로 파견한 바 있다.

민주당은 한러 관계 복원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왔다. 대선 공약집에도 '한러 간 다양한 협력 잠재력의 발굴과 실현'을 명시했고, 한러 협력을 위해 대러 제재 해제 관련 의견들도 청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용기 민주당 의원은 대한항공 간부를 만나 인천-모스크바 직항 재개에 관한 러시아 측 의지를 전달했다.

일각에선 한러 관계 복원 시 러시아가 남북 대화 중재에 나설 수 있다는 기대도 흘러나온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에서 북미 대화를 주선할 의사를 전달한 바 있다. 러시아가 동북아 지역에서의 조정자 지위를 되찾기 위해 남북 간 중재자 역할을 모색할 수 있다는 게 문 정부 당시 고위 관료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특사 파견으로 양국 관계 개선 의지를 보여줄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과도한 기대를 경계했다. 러시아 입장에선 한국과의 경제 협력보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지 않은 만큼 북한과의 군사 협력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이다. 전직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러시아가 남북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가 있지만, 그만큼 한반도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해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러시아 직행 재개나 원유 수입 등은 대러 제재 사안이다. 한국이 섣불리 움직일 경우 오히려 한미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진호 한국국가전략연구원은 "한미 정상회담 등 새 정부의 한미 간 소통이 무르익은 뒤 러시아를 비롯한 주변국에 동시에 특사를 보내는 것도 방법"이라면서 "한미 신뢰 위에 러시아와의 관계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446 폭염에 해발 1000m 등산한 50대 사망…체온 40.5도 랭크뉴스 2025.07.07
52445 “국민연금처럼?” 퇴직연금 대수술, 방향이 잘못됐다! [수술대 오른 퇴직연금②] 랭크뉴스 2025.07.07
52444 김계환 前사령관, 순직해병특검 출석…'VIP 격노설' 집중 조사 랭크뉴스 2025.07.07
52443 [속보]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당대표 도전…날치기 혁신 거부" 랭크뉴스 2025.07.07
52442 대동강 한가운데서 보트 타고 불고기 구워… 北 관광상품 눈길 랭크뉴스 2025.07.07
52441 이재명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 62.1%···민주당 53.8% 국민의힘 28.8% 랭크뉴스 2025.07.07
52440 野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당대표 출마 선언 랭크뉴스 2025.07.07
52439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하고 당 대표 출마‥"날치기 혁신위 거부한다" 랭크뉴스 2025.07.07
52438 안철수 “날치기 혁신위에 깊은 자괴감, 당대표 도전”···혁신위원장 사퇴 랭크뉴스 2025.07.07
52437 [속보]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인적쇄신 수용 어렵다 해" 랭크뉴스 2025.07.07
52436 李대통령 국정지지율 60% 돌파… 국힘은 30% 아래로[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7.07
52435 [속보]김민석 총리 "국정 챙기는 '국가 종합상황본부장' 될 것" 랭크뉴스 2025.07.07
52434 검문받고 들어가는 ‘북한뷰 스타벅스‘… 7개월 새 이용객 12만명 넘어 랭크뉴스 2025.07.07
52433 [속보] 野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당대표 출마 선언 랭크뉴스 2025.07.07
52432 ‘2.31%’ 당신의 퇴직연금 수익률이 낮은 이유 [수술대 오른 퇴직연금①] 랭크뉴스 2025.07.07
52431 [속보]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당대표 도전” 랭크뉴스 2025.07.07
52430 도미노처럼 전봇대 와르르…기습 돌풍 덮친 미 라스베이거스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7.07
52429 이재명 정부의 기조와 네이버페이의 무감각 [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5.07.07
52428 25% EU 관세 피하러…수출 대상국 허위 표기 적발 랭크뉴스 2025.07.07
52427 "스님이 성추행" 신고한 직원, 19개 사유로 징계…종교재단 뭔일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