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윤 정부 인사 논란 반면교사로
오광수·이승엽 등 과감히 뜻 접어
‘즉시 전력감’ ‘무더기 인선’도 특징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와 취임 후 첫 통화를 하고 있다. 양 정상은 올해 한·싱가포르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뜻을 모았다. 대통령실 제공

‘안 되면 어쩔 수 없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한 달 동안 보인 용인술은 이렇게 한 줄로 요약된다. 임명 인사에 대한 논란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고집부리지 않고 과감하게 정리하고 넘어간다는 것이다. 여론에 민감한, 고집 없는 스타일이 뜻밖이란 정치권 평가가 적지 않게 나온다.

이 대통령은 사법연수원 동기(18기)이자 ‘검찰·사법 개혁’이란 주요 국정과제를 이끌 첫 민정수석으로 오광수 변호사를 발탁했지만, 재산 관련 의혹이 커지자 임명 5일 만에 사표를 수리하며 논란을 정리했다. 이 대통령은 여권 일부가 오 전 수석의 ‘검찰 특수통’ 출신을 문제 삼자 직접 설득에 나서기도 했었다. 하지만 여러 의혹이 추가 제기되자 민심의 선을 넘었다고 판단하며 뜻을 거둬들였다.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최종까지 유력 거론됐던 이승엽 변호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 변호사는 이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위증교사,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사건 등을 변호했던 이력으로 논란이 됐다. 본인이 고사하자 대통령실도 뜻을 굽히고 임명을 포기했다.

이 대통령은 인사 대상자와 관련해 논란이 불거질 경우 국민 눈높이에서 벗어나는지를 주변에 폭넓게 물어보며 의견을 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재명정부가 표방하는 국민주권정부의 특징은 끊임없이 주권자 의사를 묻고 반영하는 것”이라며 “타운홀미팅을 주재하고 SNS를 적극 활용하는 것처럼 항상 소통한다는 점에서는 인사행정 영역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정권 초반 인사 논란으로 조기에 국정 동력을 상실했던 과거의 실기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실제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자녀 입시비리’ 의혹 등 논란에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을 고수했다가 역풍을 맞아 지지율이 급락했다. 그렇게 임명한 조 전 장관도 결국 재임 36일 만에 사퇴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역시 여소야대 상황에서 여러 인선을 자기 뜻대로 밀어붙이다 정권에 독선적인 이미지만 누적시켰다는 평가다.

‘무더기 인사’도 특징 중 하나다. 이 대통령은 지난 29일 6명, 지난 23일 11명의 장관 후보자를 한꺼번에 지명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인사가 만사”라고 강조해온 만큼 인사청문회 생존율을 높이고 잡음을 최소화해 인선의 신속한 완료를 꾀하는 전략이란 분석이다.

여권 관계자는 “문재인정부 때 3명씩 찔끔찔끔 인사 발표를 해 ‘한 명만은 낙마시키자’는 식으로 접근하는 야당에 무방비로 당했다”며 “이번엔 그런 전례를 반면교사 삼아 여유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인식도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한 정부인 만큼 바로 실무에 투입할 ‘즉시 전력감’ 인선을 진행했다는 것도 특징으로 꼽힌다.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인 경제·산업 영역엔 기업인·관료 출신이, 정권 차원의 각종 개혁을 추진해나갈 정무적 영역엔 현역 의원들이 대거 배치됐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84 [속보]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 표명…오후 3시 입장 발표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83 [속보] 내란특검 "윤 전 대통령에게 7월 5일 오전 9시 출석 통보"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82 [1보] 심우정 검찰총장 사의 표명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81 [속보] 내란특검 “尹에 7월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80 [속보] 이 대통령 "주택이 투기수단 돼 주거 불안정 초래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9 [속보] 내란특검 "尹에 7월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불응시 체포영장 청구 시사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8 30㎏ 9천원인데 기사가 버는 돈 500원… 너무한 쿠팡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7 李대통령 "주택이 투기수단 되면서 주거 불안정 초래"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6 초심으로 돌아간 백종원...'중대 결정' 내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5 李대통령 "선출권력으로 국민주권 발현…최대한 국회 존중하길"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4 윤석열 측근 “김건희가 일반인과 같냐…저혈압 탓 휠체어 탄 건데”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3 한은 "관세전쟁 가장 큰 피해자는 미국이 될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2 [단독] 검찰 떠나는 ‘건진법사 수사’ 신응석 지검장…“많이 어려운 시기”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1 [속보] 李대통령 “임명권력은 선출권력 존중해야…국회에 존중감 갖길”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70 “빌딩 팔아 아파트 산다" 브랜드가 된 압구정 현대아파트[비즈니스 포커스]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69 [속보]이 대통령 “부동산에 한정된 투자수단, 주식·금융시장으로 대체 흐름 자리잡아야”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68 법원, 이재명 대통령 법인카드 의혹 재판 준비기일 예정대로 진행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67 李대통령 “국회 가면 선출 권력 존중하라” 국무위원들에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66 '나는 솔로' 출연 30대 남성 성폭행 혐의로 구속 송치 new 랭크뉴스 2025.07.01
49765 [속보] 정성호 “검찰 ‘해체’ 표현 부적절…수사-기소 분리, 국민 공감대” new 랭크뉴스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