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란 현지 청년 인터뷰]
“공습 멈췄지만 언제든 또 공격 올 듯
피난 가려면 돈 필요…갈 곳도 없다”
26일 이란과 이스라엘이 휴전을 약속한 이후 이란 테헤란의 재래시장인 타지리쉬 시장에서 장사를 다시 시작한 상인과 장을 보는 사람들 모습.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종일 울리던 굉음이 멈췄고, 사람들은 다시 테헤란으로 돌아오고 있어요. 하지만 새벽에 터지던 폭탄 소리는 여전히 생생해요.”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나고 자란 자흐라 호세이니(가명·25)는 이스라엘과의 ‘12일 전쟁’ 뒤 테헤란의 분위기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28일 테헤란에서는 이스라엘과 교전 때 숨진 군 장성과 핵 과학자 등 희생자들의 장례식이 국장으로 열리는 등 이스라엘과의 전쟁 여파는 수습 중이지만, 불안한 공기는 여전히 시민들을 감싸고 있다. 자흐라와의 인터뷰는 휴전이 시작된 24일부터 26일까지 소셜미디어를 통해 했다.

자흐라는 이스라엘의 첫 공습이 있던 지난 13일 새벽을 여전히 또렷하게 기억한다. “새벽 3시쯤이었어요. 자고 있는데 동생이 폭발음을 듣고 저와 가족들을 깨웠고, 그 후에도 몇 번 더 큰 소리를 들었어요. 모두 심하게 긴장을 했죠.” 그 뒤로도 “하루걸러 폭탄 소리가 4∼5번씩 기본으로 들렸고, 정말 많이 쏟아지는 날에는 7∼8번씩도 굉음이 울리고, 집 전체가 흔들렸다”고 자흐라는 설명했다.

지난 24일 이스라엘과 이란은 휴전에 합의했지만, 직후 이날 새벽 사이에도 양쪽은 미사일 공격을 이어갔다. 당시 기자와 소셜미디어로 소통하던 자흐라의 “인터넷 연결이 원활하지 않다”, “주택 인근 폭발로 정신이 없다”는 등의 답변은 테헤란 도심 내 위험한 상황을 가늠케 했다.

지난 13일 이스라엘의 선제공격으로 이스라엘 대이란 교전이 시작되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테헤란을 떠났지만, 그러지 못한 사람들은 더 많았다. 자흐라 가족도 현실적인 이유로 수도에 남게 됐다. 자흐라는 “피난을 가려면 돈이 필요한데 비용이 없어서 못 갔다. 어차피 지금 살고 있는 여기(테헤란)가 아니면 갈 곳도 없다”며 “많이 불안했지만, ’죽음을 피할 수 없다면, 일상을 이어가는 수밖에 없다’는 아버지 말에 진정하고 상황을 받아드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영국 가디언은 테헤란에 남아 있는 사람은 떠날 수 없는 처지인 경우가 많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동 수단조차 마련하지 못하는 등 피난을 갈 경제적 여력이 없거나, 정부가 휴가를 내주지 않는 공무원 등이 해당한다.

사람들이 떠나면서 상점도 문을 많이 닫았지만, 여전히 도시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필요한 식료품을 사고 은행 업무도 보며 일상을 이어가고 있다고 자흐라는 설명했다. 또, 해외와의 소통은 쉽지 않았지만, 자국 내 전화나 문자는 할 수 있어 소통에 문제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자흐라는 “인스타그램이나 엑스, 왓츠앱, 유튜브 등 대부분 앱이나 누리집 차단돼 있지만, 다들 우회접속(VPN)을 쓰며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며 “휴전 이후 현재 왓츠앱은 차단이 해제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시 이란 정부는 주민 동요를 막기 위해 강하게 언론 통제를 했다. 당시 국제 모니터링 단체인 넷블록스는 이란 내 인터넷 트래픽이 50%가량 급감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란 당국은 ‘왓츠앱’ 등 외산 메신저를 이용하면 이스라엘에 정보가 넘어간다며 차단하기도 했다.

26일 이란과 이스라엘이 휴전을 약속한 이후 이란 테헤란의 재래시장인 타지리쉬 시장을 걷고 있는 사람들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휴전 선언 이후 수도를 떠났던 사람들도 돌아오고 있지만, 자흐라는 “그들은 언제든 다시 공격할 수 있다”며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한 깊은 불신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솔직히 이스라엘이 왜 이란을 공격했는지, 그런 복잡한 얘기는 잘 모르겠다”고 말하면서도 “이스라엘은 늘 상대국에 ‘대화하고 싶다’, ‘지지한다’며 평화를 말해놓고는 결국 죄 없는 민간인을 공격해왔다. 이스라엘과 미국 언론을 믿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때문에 “망가진 일상이 바로 회복될 수 있을지도 회의적”이라면서도 앞으로 어떻게 할 건지 묻는 질문에 자흐라는 조심스레 희망을 이야기했다. “취업준비생이니까 계속 노력해봐야죠.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독학하고 있는데, 나중에는 한국 유학도 갈 계획이에요.”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68 ‘국민투표법 개정’ 논의…국정기획위, 선관위와 다음 주 간담회 랭크뉴스 2025.07.08
53167 [단독] '삼부 키맨' 연일 소환‥"원희룡 장관이 치고 나갔다" 랭크뉴스 2025.07.08
53166 7월 초에 닥친 40도 ‘살인 폭염’…일하다 픽, 픽 쓰러진다 랭크뉴스 2025.07.08
53165 대통령 ‘경고’ 먹고, 감사원 ‘주의’ 받고… 속타는 이진숙 랭크뉴스 2025.07.08
53164 7세 딸 주먹질에 발길질까지 무차별 폭행…한강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8
53163 [단독] 순수했던 우크라 사업이 삼부토건 끼며 ‘구호’→‘재건’ 변질? 랭크뉴스 2025.07.08
53162 [단독]‘자본잠식’ 김건희 측근 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특검 ‘대가성 여부’ 수사 랭크뉴스 2025.07.08
53161 “싸게 산다는데 웬 오남용 걱정?”…창고형 약국 가보니 랭크뉴스 2025.07.08
53160 김건희 특검, 김건희 측근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 수사 랭크뉴스 2025.07.08
53159 ‘블랙핑크 리사 연인’ 프레드릭 아르노 방한… 국내 백화점 4사 대표 만나 랭크뉴스 2025.07.08
53158 특검, 윤 정부 시절 184억 투자 받은 김건희 측근 업체 주목 랭크뉴스 2025.07.08
53157 “정말 크게 후회”…여인형, 내란 혐의 증인신문 포기 랭크뉴스 2025.07.08
53156 "대체 뭐길래 3분 만에 마감"…231억 짜리 '이곳'에 사람들 우르르 랭크뉴스 2025.07.08
53155 "이런 후보자를 어떻게 방어하나"... 부글부글 민주당, 이진숙 엄호 '이상기류' 랭크뉴스 2025.07.08
53154 강선우 후보자, '스쿨존' 과태료 늦장 납부 논란…"수행비서 운전" 랭크뉴스 2025.07.08
53153 "두 달 만에 또 '우르르' 짐싸게 생겼다"…9000명 해고한다는 '이 회사' 랭크뉴스 2025.07.08
53152 7번 찾아가고도 1%p 더 내게 된 일본 "이럴 수가" 랭크뉴스 2025.07.08
53151 3주 남기고 한미정상회담 조율‥'속도보다 국익' 강조 랭크뉴스 2025.07.08
53150 故 이건희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원에 팔렸다 랭크뉴스 2025.07.08
53149 117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서울, 퇴근길엔 '기습폭우'… 지하차도 곳곳 침수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