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 관료 사회에서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실각설이 나돌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고위 간부들의 잇따른 숙청 등이 근거로 제시된다. 일각에선 시 주석의 건강 이상설도 돌고 있다.

지난 17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제2회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회담(C5+1)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첫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플린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같은 시 주석 실각설을 주장했다. 그는 이날 X에 "중국을 주시하는 사람들은 중국공산당의 핵심 구성원, 특히 대중과 국가안보 부처의 신뢰 상실을 멸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에서 분명히 권력 이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썼다. 그러면서 "중국의 리더십 변화는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짚었다.

플린 전 보좌관은 시 주석의 후계자를 상징하는 듯 세 명의 주요 인사 사진을 함께 싣기도 했다. 중국 권력서열 6위인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 천지닝 상하이 당서기, 장여우샤 부주석 등이었다.

이와 관련, 30일 대만 자유시보는 최근 중국 군부의 움직임을 주목했다. 시 주석의 측근이자 중앙군사위 부주석인 허웨이둥, 먀오화가 실각한 배경에 군부 내 암투 가능성이 떠올랐다. 시 주석은 두 사람을 내세워 군부 실권자인 장여우샤 중앙군사위 부주석과 측근들을 숙청하려 했지만, 오히려 실패하고 군권 장악에 실패했다는 것이다.

자유시보는 "시진핑은 중앙군사위 주석을 유지하고 있지만, 명목상일 뿐"이라고 짚었다. 이어 "시진핑이 반대파와 협상해 본인이 물러나는 조건으로 측근인 딩쉐샹이 총서기, 후진타오 전 주석의 지지를 받는 천지닝이 총리, 장여우샤가 중앙군사위 주석을 맡아 집단지도체제를 복원하는데 합의했다"고 실각설을 풀이했다.

일각에선 시 주석의 영향을 받는 딩쉐샹의 집권을 막기 위해 왕양 전 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 후춘화 정협 부주석 등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고 한다. 두 사람은 후진타오 전 주석과 원자바오 전 총리 등이 지지하는 인물들이다.

2022년 10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폐막식에서 수행원에 이끌려 퇴장 당하는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가운데)이 시진핑 주석에게 무언가 말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중국 사정에 밝은 그레고리 슬레이튼 전 버뮤다 주재 미국대사도 시 주석의 실각설을 다룬 기고문을 지난 28일 뉴욕포스트에 냈다. 슬레이튼 전 대사는 "시진핑은 건강이 좋지 않아 오는 8월 당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4중전회)에서 은퇴하거나 이름뿐인 직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2022년 시진핑에게 굴욕을 당했던 후 전 주석 등 원로들이 막후에서 권력을 장악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시 주석의 아버지 시중쉰을 기리는 시중쉰기념관이 지난 5월 개관하면서 ‘관중혁명기념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지난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당 고위 간부들이 외국 고위 인사들을 접견할 때 시 주석이 자취를 감춘 것은 물론 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시 주석 관련 뉴스를 게재하지 않은 점 등을 실각의 징후로 들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221 "난 국물 없으면 밥 못 먹어"…이런 사람 많더니 한국인들 '나트륨 섭취' 무려 랭크뉴스 2025.07.02
50220 심우정 마지막 출근…"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 랭크뉴스 2025.07.02
50219 [속보] 한덕수, 12·3 불법계엄 방조 의혹 내란특검 출석 랭크뉴스 2025.07.02
50218 [속보] 내란특검, 한덕수 전 국무총리 오전 10시 소환 조사 랭크뉴스 2025.07.02
50217 [2보] 내란특검, 한덕수 전 국무총리 오전 10시 소환 조사 랭크뉴스 2025.07.02
50216 '김건희·순직해병' 특검 수사 개시‥임성근 소환 랭크뉴스 2025.07.02
50215 [단독] 윤 관저 유령건물 공사비 1억 공백…자금 출처 국정원 거론 랭크뉴스 2025.07.02
50214 [속보] 내란특검, 오전 10시 한덕수 전 국무총리 소환 조사 예정 랭크뉴스 2025.07.02
50213 [속보] 심우정 검찰총장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 랭크뉴스 2025.07.02
50212 11세 연우군, 장기기증으로 3명 살리고 하늘로 [아살세] 랭크뉴스 2025.07.02
50211 지하철서 '엄카' 찍던 40대 아들, 1800만원 토해야 하는 이유 랭크뉴스 2025.07.02
50210 [단독] 내란특검, 오늘 오전 10시 한덕수 전 국무총리 소환 랭크뉴스 2025.07.02
50209 ‘12일 전쟁’ 힘으로 이끈 평화, 트럼프式 외교 통했나 [중동전쟁①] 랭크뉴스 2025.07.02
50208 경운기 타고 밭일 가던 80대 노부부 경차에 치여 숨져 랭크뉴스 2025.07.02
50207 '민간인' 김건희에 '공무원' 범죄 적용? 이게 특검 최대 숙제 랭크뉴스 2025.07.02
50206 일본 날벼락...트럼프, ‘관세 폭탄’ 시사 랭크뉴스 2025.07.02
50205 최태원 SK 회장 장남, 컨설팅 회사 입사…‘경영수업’ 일환 랭크뉴스 2025.07.02
50204 토니상 박천휴 작가, 대통령 만나 “이 자리 나온 이유는…”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2
50203 한성숙, 재산만 440억원...최고 ‘부자 장관’ 등극하나 랭크뉴스 2025.07.02
50202 [2보] 심우정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 랭크뉴스 2025.07.02